10g은 몇 ml - 10geun myeoch ml


아카이브
모든 지식의뢰 및 지식맨의 처리기록

등록된 기록 총 22,672,465 건

search

< >

문서번호 : 11,187,983

의뢰정보

의뢰일시 : 2010년 01월 13일 (수요일) 10시 42분

의뢰인번호 : 18321

의뢰경로(또는 유형) : SMS문자

의뢰비용 : 200원

의뢰내용 :

g과 ml의비교 10g은몇ml인가요?

처리정보

처리일시 : 2010년 01월 13일 (수요일) 10시 43분

처리유형 : -

처리자 : ccg3485님 (-, 채택된지식 -)

처리내용 :

ml는 부피의 단위이고 g은 질량의 단위 입니다 만약에 물이라고 한다면 1g 하고 1ml 하고 똑같다고 보면 됩니다 물의경우 10g은 10ml가 되겠네요

출처1 : //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

검증결과 : 채택




아카이브
모든 지식의뢰 및 지식맨의 처리기록

등록된 기록 총 22,672,465 건

search

< >

문서번호 : 971,021

의뢰정보

의뢰일시 : 2007년 10월 04일 (목요일) 11시 53분

의뢰인번호 : 48980

의뢰경로(또는 유형) : SMS문자

의뢰비용 : 200원

의뢰내용 :

10g은 몇ml??

처리정보

처리일시 : 의뢰일시와 동일함

처리유형 : -

처리자 : nylh4435님 (-, 채택된지식 -)

처리내용 :

g은 무게단위고 ml는 부피단위라 물질에 따라 다릅니다. 다만 순수한 물의경우 1L= 1000ml이므로 10g = 10ml입니다

출처1 : //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

검증결과 : 채택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매리야~

    '11.4.2 6:34 PM (118.36.xxx.178)

    네 같아요.

  • 2. 되십니다

    '11.4.2 6:39 PM (118.35.xxx.226)

    어이가 없군요
    하나는 무게이고 하나는 부피인데 같다니... 밀도가 높으면 같은 부피라도 무게가 더 나가잖아요

  • 3. 매리야~

    '11.4.2 6:43 PM (118.36.xxx.178)

    그램은 무게의 단위이고
    밀리리터는 부피의 단위이긴 하지만

    실제로 저울에 재면 무게는 거의 비슷하게 나와요.

  • 4. ..

    '11.4.2 6:43 PM (121.148.xxx.208)

    중량과 부피는 분명 다르지요.

  • 5. ...

    '11.4.2 6:43 PM (125.146.xxx.100)

    물만 동일해요..
    //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2&docId=33016056&qb=7IaM6r...

  • 6. 되십니다

    '11.4.2 6:44 PM (118.35.xxx.226)

    매리야~님 요리할땐 대충 짐작으로 해도 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만,, 대충 그렇게 보셔도 무방합니다. 라는 표현과 "같아요" 는 엄연히 다르지요~ 그런 뜻으로 대답한겁니다^^

  • 7. 그믐달

    '11.4.2 6:47 PM (116.124.xxx.127)

    물이면 괜챦겠지만 점도가 높은 오일이나 글리세린...과 가벼운 파우더류의 용량과 부피는 차이가 납니다.

  • 8. 매리야~

    '11.4.2 6:50 PM (118.36.xxx.178)

    물론 밀도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의 차이는 있겠지만
    요리할 때는 비슷하지 않을까요.

    첫 댓글을 "비슷하다"라고 달 걸 그랬나봐요.

  • 9. ..

    '11.4.2 6:51 PM (221.138.xxx.111)

    가루류는 같지 않아요.
    제빵기 처음 사고 완전 실패했던 경험 있답니다.
    밀가루 530g 이었는데 ml 로는 800도 넘었어요.

  • 10. 매리야~

    '11.4.2 6:55 PM (118.36.xxx.178)

    네 점 두개님.
    제가 초등학교때 공부를 열심히 안 해서 그런가보네요.

    보통 요리할 때는 밀리리터 = 그램을 비슷하게 사용하기에
    저렇게 댓글을 달았는데...

    원글님 죄송해요.

  • 11. 정확

    '11.4.2 7:23 PM (118.217.xxx.12)

    모드들 틀리셨습니다 . 흐흐흐

    부피와 질량의 개념에 밀도(density) 개념이 도입 된 것은 일견 발전인데...

    실은 비중(specific gravity) 이 맞습니다.
    비중은 같은 부피의 물질의 중량을 물의 그것과 비교한 개념입니다.

    산소, 질소 등 기체는 밀도가 100 이라도 비중은 낮습니다.

    10ml 는 부피 10 g 은 질량 --- 섭씨 4도의 물의 경우만 동일합니다. (거의 동일)

    물엿을 생각해 보세요. 밀도가 아니고 비중입니다.

    잘난척 죄송해용^^

  • 12. ,

    '11.4.2 7:31 PM (110.14.xxx.164)

    똑같지 않습니다 대충 비슷하다 생각하셔야지요

  • 13. T

    '11.4.2 8:41 PM (59.6.xxx.67)

    정확님.. 딴지가 아니라.. 몰라서.. ^^;;
    밀도와 비중은 사실 같은 개념 아닌가요? ㅡ_ㅡ;;
    밀도가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이고..
    비중은 같은 부피의 표준물질에 대한 질량비를 나타내서.. 단위가 없다는 것 말고
    밀도와 그 숫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체의 경우 밀도가 100이라도 비중이 낮다는 말씀이 무슨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어요. ㅠㅠ
    밀도가 높으면 당연히 비중도 높은거 아닌가요?
    밀도, 비중 모두 온도와 압력에 영향을 받는 값이라고 알고 있구요.
    제게 가르침을 주세요. ㅎㅎ

  • 14. ....

    '11.4.2 9:47 PM (115.136.xxx.29)

    어휴 뭐가 그렇게 어이가 없고 황당하다고들 하신지?? 원글님 계량스푼 이야기하는거 보고 가볍게 단 댓글에 다들 너무 정색하시네요

  • 15. 정확

    '11.4.2 10:33 PM (118.217.xxx.12)

    T님 잘못했어요 흑흑...

    밀도도 비중도 여기에 해당하는 개념 맞네용... 엉엉엉 (심각 반성중)
    저 실은 평생을 인문계로 살았어요... 봐주세요...

    님 말씀대로
    밀도는 물질의 단위부피 당 질량이고 (전기물리에서 면밀도, 선밀도 이딴거 빼고)
    비중은 단지 그 밀도를 물과 비교해서 인덱스로 만든 것 같으네용...

    제가 잘 모르고 그랬으니 꼭 봐주셔용... 헤헤

  • 16. ㅎㅎㅎ

    '11.4.2 10:53 PM (118.220.xxx.241)

    정확님~~너무 귀여우세용~~^^

  • 17. .

    '11.4.2 11:58 PM (112.153.xxx.33)

    요리하면서 대략적인걸 물은거 같은데
    같다고 했다고
    뭘 그리 어이가 없고 초등학교탐구생활 수준이라고 몰아부치기까지....--;;

  • 18. 되십니다

    '11.4.3 12:27 AM (118.35.xxx.226)

    점님. 요리하면서 십밀리리터나 십그램이나 그다지 차이가 없는건 다들 알거예요. 물었던 분도 그런 의미로 물었고요. 첫 댓글도 그렇게 단거고, 단지 "같다"라고 한건 잘못한 거다 라고 대답한겁니다.(제가 첨으로 흥분했네요..죄송해요)

  • 19. 요리는..

    '11.4.3 12:44 AM (121.88.xxx.151)

    과학이다.. -_-

  • 20. 정확

    '11.4.3 1:18 AM (118.217.xxx.12)

    비중 (물리학) [比重, specific gravity]출처: 브리태니커관련태그
    물리학

    상대밀도라고도 함.
    표준물질에 대한 어떤 물질의 밀도의 비.
    고체와 액체의 경우 일반적인 표준은 4℃의 물이다. 물의 밀도는 4℃에서 1.000㎏/ℓ이다. 기체는 보통 건조한 공기와 비교하는데, 건조한 공기의 밀도는 표준상태(0℃, 1기압)에서 1.29g/ℓ이다. 예를 들어 액체수은의 밀도는 13.6㎏/ℓ이므로 비중은 13.6이다. 밀도가 표준상태에서 1.976g/ℓ인 이산화탄소 기체의 비중은 1.53이다. 비중은 같은 단위를 가진 두 양의 비율이므로 단위가 없다. 부력과 비중은 깊은 관련이 있다. 어떤 물질의 비중이 유체보다 작으면 그 물질은 유체 위에 떠 있을 것이다. 헬륨을 가득 채운 기구는 하늘을 날아다니고 기름은 물 위에 유막(油膜)을 형성하며, 납은 수은 위에 떠 있게 된다. 물질의 비중은 그 물질의 특성이다.

    한 물질의 비중은 서로 다른 시료에서도 그 시료가 순수하고 조성이 같으며 빈 곳이나 함유물이 없다면 같은 값을 갖는다. 그래서 비중은 미지의 물질을 확인하는 데 이용된다. 비중은 그밖에도 여러 분야에서 이용된다. 보석학자들은 비슷한 보석을 구별해내는 데 이용한다. 화학자들은 반응의 진행 정도나 용액의 농도를 확인하는 데, 자동차 역학에서는 전지의 유체와 부동액을 시험하는 데 이용된다.

    비중은 역사를 통해서 광석을 선광하는 데 이용된 기본적인 방법이다.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는 선광법에는 패닝(panning), 지깅(jigging), 쉐이킹(shaking), 나사선형 선광(spiral separation), 중액선광 등이 있다. 철·마그네시아·중금속이 풍부한 암석은 비중이 크고, 알칼리·실리카·물이 많은 암석은 비중이 작다. 비중은 쉬운 방법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화학과 공업에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비중을 측정하는 것은 새로운 액체 화합물의 특성을 밝히는 과정의 일부로 쓰인다. 탄소와 수소, 산소만을 포함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의 비중은 1보다 작다. 비중을 측정하는 기구들로는 졸리 저울, 웨스트팔 저울, 비중병, 액체비중계 등이 있다.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