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제 의미 및 지내는 방법 - 49je uimi mich jinaeneun bangbeob

49재정의

많은 사람들이 49제라고 하지만 49재(四十九齋)가 맞는 표현이다.

사십구재(四十九齋)란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교 의식이다. 원칙적으로는 매 7일마다 7차례 재를 지내므로 칠칠재(7x7)라고도 정의한다.

구사론에 의하면 한 인간의 존재 양상은 4유(有)로 구분되는데 생명이 결성되는 찰나를 생유(生有),​ 이로부터 임종 직전까지를 본유(本有), 임종하는 찰나를 사유(死有), 이로부터 다시 생명이 결성되는 생유 이전까지를 중유(中有)라 한다. 결국 인간은 죽으면 중음(中陰)이라고도 불리는 중유의 상태로 얼마 동안 있게 된다. 49제는 정확히 49일동안 재를 지내는 것으로 7일마다 한번씩 제를 지내는 것이다. 그래서 49일 동안 7번의 재를 지내는데, 사람은 죽어서 7일마다 다시 생사를 반복하다가 마지막 49일째는 반드시 출생의 조건을 얻어 다음에 올 삶의 형태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불교에서 사십구재가 사자의 명복을 비는 의식으로 정착되고 중시된 것은 이런 관념에서 비롯된다.

사십구재는 사자의 중유 상태, 즉 중음신이 좋은 세계로 재생하도록 최종적으로 결정되길 기원하는 불공 의식이며, 이 날에 이르기까지는 좋은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49일 중 7일마다 경을 읽고 재를 올린다. 49제의 유래는 6세기경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으로 유교적인 조령숭배사상과 불교의 윤회사상이 절충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불교의식에서는 사람이 죽은 다음 7일마다 불경을 외면서 재(齋)를 올려 죽은 이가 그 동안에 불법을 깨닫고 다음 세상에서 좋은 곳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를 비는 제례의식이다. 


어떤 분들께서는 49재 마지막날에 고인이 살아생전에 입던 옷이나 소지품 등을 다 함께 태우기도 합니다. 49제를 하면서 49일동안 매일매일 음식을 해서 올려야 하는 크나 큰 정성도 필요하기에 요즘 시대에는 굳이 49제를 하지 않으려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예로부터 49재를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후손들이 정성을 다해서 49재를 지내면 그 조상의 혼령이 후손들에게도 복을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계산방법

49재 계산은 돌아가신 날이 기준이다. 돌아가신 날을 1로 잡고 그 다음 날부터 2,3,4,5,6,7일 날이 첫재 이재 삼재 사재 오재 육재, 마지막 칠재가 사십구재이다.

돌아가신 날을 포함하여 49일을 세면 된다. 요즘은 49재를 절에 맡겨서 스님이 대신 지낼 수 있고 유가족들이 직접 상을 차려서 지낼 수도 있다. 하지만 상차림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맡기는 경우도 많다.

예전에는 정화수를 한 그릇 떠다 놓고 지내기도 했다고 한다. (필자의 생각에는 무엇보다 안하는 것보다는 하는게 정성이 있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상차림 보다는 그 마음과 정성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요즘은 디지털 장례식도 있다고 합니다.)

49재 제사 순서

1) 시련(侍輦) : 영가를 초청하여 영단에 모심

2) 대령(對靈) : 영가에게 앞으로 진행할 일을 올바른 부처님의 법으로 한다 는 것을

설명한다.

3) 관욕(觀浴) : 영가의 모든 업장을 소멸하고 부처님의 정법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일종의 영가를 목욕시켜드리는 의식

4) 헌공(獻供) : 영가나 제사자나 모두 부처님께 공양을 드리는 의식

5) 신중헌공(神衆獻供) : 천지신명께 공양을 올리고 보살핌을 바라는 의식

6) 제사(祭祀) : 천도재

7) 봉송(奉送) : 영가를 환송하는 의식

8) 탈상(脫喪) : 상주를 벗어나 평상인으로 돌아가는 의식

49재 제사상 차리는 방법


그렇다면 49제의 상차림은 어떻게해야할까. 49제 제사상은 기존의 제사와 상차림은 비슷하다. 하지만 49재는 생선이나 육류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팥과 마늘, 소금과 고춧가루는 귀신을 쫓아낸다고 하는 음식들이라 사용하지 않는다.


간략하게 하는 방법은 유교식 제사가 아님, 재를 모실 경우에는 큰 대접에 물 한 그릇 그리고 작은 화분 하나 상위에 올려놓고, 밥, 국 만 대접해도 된다.

차나 정종 중 한 가지를 올리시고 상주부터 3배하면 된다. 그 외 삼색나물, 대추, 밤, 곶감, 배, 사과, 귤, 산적 정도만 진설 하면 된다. 과일은 3개 5개 7개 순으로 간장 수정과 식혜도 쓴다.

기본 적으로 갖춰야 하실 것은 촛불 을 밝히고, 향 을 피운후 불경을 차분하게 읽고 지장보살 정근을 모시면 된다. 평소에는 광명진언을 매일같이 암송하면 영가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

사람은 언젠간 죽고, 장례식을 치르게 된다. 49제와 삼우제 등의 제사 방법에 대해서 미리 알아두면 언젠간 쓸모가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삼우제란 어떤 것인지, 반려동물 장례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래 49재는 불교에서 돌아가신 분이 좋은 세상으로 가실 수 있도록 하는 의식인데요. 요즘은 종교와 무관하게 제사 형식으로 지내기도 합니다. 49재는 염라국 열분의 시왕께 고인을 잘 부탁 드린다고 비는 재인데요. 

사람이 죽고 7일마다 7번 칠칠재 또는 사십구재, 여기에 100일 1년소상 3년대상 하여 총 열번 천도재 또는 사십구재라고 합니다. 

오늘은 49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49재의 의미와 49재 지내는 방법, 49재 전에 하지 말아야할것, 49재 상차리는법, 49재 비용등 49재와 관련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49재 알아보기>

1. 49재의 의미

2. 49재 지내는 방법

3. 49재 전에 하지 말아야할것

4. 49재 상차리는법

5. 49재 비용 

1. 49재의 의미

49재는 불교식 장례절차의 하나로 고인의 사망일, 즉 기일을 기준으로 49일째 지내는 것인데요. 불교에서는 칠일마다 총 7번 재를 지내기에 칠칠재라고도 하는데요 현대에서는 불교신자의 경우에도 49재 한번만 지내는게 일반적입니다.

49재를 지내고 안지내고는 유족들이 선택하게 되며  절에서 지낼 수도 있고, 댁에서 간단히 지내기도 합니다. 납골당, 수목장에 모신 경우에는 해당 장지에서 지내기도 합니다.

49재(천도재)란 갓 죽은 영혼이 황천세계로 가는길을 쉽게 갈수 있도록 후손들이 도와주는 의식입니다. 그런데 보통은 칠일마다 일곱 번을 재를 지내게 되며, 칠일마다 일곱 번 재를 지낸다 하여 49 재라고 하는데 일곱 번이 아니고 열번 즉 10재를 지내야 하는 것입니다. 10재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재 - 칠일째 - 진광대왕(부동명왕) - 도산지옥

2 재 - 14일째 - 초강대왕(석가모니불) - 화탕지옥

3 재 - 21일째 - 송제대왕(문수보살) - 한빙지옥

4 재 - 28일째 - 오관대왕(보현보살) - 검수지옥

5 재 - 35일째 - 염라대왕(지장보살) - 발설지옥

6 재 - 42일째 - 변성대왕(미륵보살) - 독사지옥

7 재 - 49일째 - 태산대왕(약사여래불) - 거해지옥

8 재 - 100일째- 평등대왕(관세음보살)-철상지옥-100일 탈상

9 재 - 1 년째 - 도시대왕(대세지보살)-풍도지옥-제사로 대처

10재 - 3 년째 - 오도륜대왕(아미타불)-흑암지옥-제사로 대처

2. 49재 지내는 방법

49재는 고인의 사망일 즉 기일을 기준으로 49일이 되는 날에 고인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추모제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불교식 장례절차의 하나인데요. 주로 절에서 추모제를 지내거나, 납골당 혹은 산소에서 간단하게 제사형식으로 지내셔도 무방합니다. 불교식 절차이기 때문에 49재 음식을 준비함에 있어서도 육류나 생선 등을 배제하고 음식준비를 하는 것이 기본인데요. 현대에서는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 등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즉, 형식보다는 고인을 추모하는 마음 등에 더 중점을 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산소에서 49재를 지내고자 하신다면 간단한 제수음식과 술, 돗자리 등을 준비하셔서 제수음식을 차려놓고 고인의 극락왕생을 기원하시면 됩니다. 특별한 절차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며, 일반 제사와 같이 진행하시면 무난합니다.

3. 49재 전에 하지 말아야할것

49재 전에 하지 말아야 할것은 사회통념상 다른 상갓집에 안가시는게 제일 일반적입니다. 또한 모임나가서 근엄하게 얼굴 굳히고있기도 뭐하고 그렇다고 발랄하게 웃기도 뭐하니 당분간 모임 안나가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회(고기)랑 성관계는 상주라서 즐거움을 추구하지말라(상주=죄인인데)라는 뜻이라 이건 좀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스스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즉, 일반적으로는 49재전에 하지 말아야할것은 일반적으로 다른 상가집에 안간다 정도 입니다. 

4. 49재 상차리는법

유교식 제사가 아님, 재를 모실 경우에는 큰 대접에 물 한 그릇 그리고 작은 화분 하나 상위에 올려놓고, 밥, 국 만 대접해도 됩니다. 차(녹차나 영가께서 평소에 기호하시던 차)나 술(정종)중 한 가지를 올리시고 상주부터 3배하시면 됩니다.

그외 삼색나물(도라지, 시금치, 숙주나물), 대추, 밤, 곶감, 배, 사과, 귤(밀감), 산적(나물 부침) 정도만 진설 하면 된다. 불교에서는 고기는 절대 올리지 않습니다.

기본 적으로 갖춰야 하실 것은 촛불 을 밝히고, 향 을 피운 후 불경 (금강경, 지장경)을 차분하게 읽고, 지장보살 정근(지장보살, 지장보살, 지장보살 ~ 계속 읊으면 됩니다. 시간을 정해서 10분이고 20십분 정도 한다.)을 모시면 됩니다. 하나! 읊으면 좋으나 읊지 않고 생략해도 됩니다.

5. 49재 비용 

최근에 49재 비용에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천만원정도를 하는곳도 있다고 합니다. 불교에선 영가재 기간도 따로있고, 중생구제와 열반을 목표로하는 종교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49제 비용이 비싼 절은 엄청 비싸니 가난할 경우 49제를 지내고싶어도 지내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큰 절간이 아니라 할지라도 자그마한 사찰도 49제를 지내드립니다. 큰절은 그만큼 비용이 비싼 편이고, 통상적으로는 절에서 하실 경우 500만원정도라고 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