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00x 3600 램 - 5600x 3600 laem

What version number is printed on the barcode label of the RAM sticks themselves? I'd be willing to bet its 4.32 or 4.33, which is Samsung c-die (crap die), which Corsair can't bin properly to save their life. It's about 50/50 whether you get a kit that can even run XMP, and then there's a 10% chance you get a kit that can't even run at all. Based on symptoms, it sounds exactly like when I binned the literal pile of 4.32 I've pulled from client builds and replaced because it's unstable, unreliable, and just downright garbage.

Corsair is a huge asshole in the memory industry because they change memory ICs (dies) like most people change their underwear, but they also don't change the SKU when they do this, so the consumer has no way to know what they're getting in advance, and since Corsair modules are listed on QVL lists with both the SKU and version (for this reason), you'll also never see a 4.32 or 4.33 kit on a QVL, because it is so terrible. And to make it even worse, that makes up 99% of what they're shipping in 3000-3600 in the Vengeance line.

Hello everyone,

Now i have bought AMD Ryzen 5600X and with X570 motherboard and CORSAIR Vengeance RGB Pro 2*8 (3600mhz) speed and this is the model number (CMW16GX4M2Z3600C18), now the question is CAN I RUN THE RAMS WITH 3600MHZ SPEED ON MY SETUP OR NO? 

AS I CAN SEE ON THE AMD WEBSITE THAT RYZEN 5600X SYSTEM MEMORY SPECIFICATION IS UP TO 3200MHZ ONLY ?

DOES THIS MATTER OR IT WILL WORK FINE WITH ME IN 3600MHZ AS WELL AS THE MY MB (AROCK X570 STEEL LEGEND) Supports MEMORY DDR4 4666+.

Thanks for your further response,

Ahmed.

DR4 3,200MHz 기반의 JEDEC 규격 CL22

메모리 오버클럭 세팅

3,600MHz / CL18-22-22-22-54-72에 1.35V

인텔 12세대 논케이 모델이 오버클럭이 안되는 오히려 퇴보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라이젠 국민램오버값이 3600으로 굳어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라이젠5 5600X에서 CL22 3200 메모리로 3600 CL18로 오버클럭했을 때의 차이입니다.

옵치에서 차이가 가장 크게 나고 의외인건

배그 최저프레임에서 인텔 12400F보다 5600X가 최저프레임이 훨씬 높습니다 .

게임 10종 평균도 있으나 파크라이같은 특정게임에서는 인텔 라이젠 차이가 많이 나서

통계적 오류가 많아 게임별로 인텔 라이젠을 비교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초기 국민 메모리 오버클럭을 이야기 할때엔 3,200MHz 메모리 오버클럭 셋팅이 널리 사용되고는 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현재엔 순정 3,200MHz 메모리가 보급되고 있으며 메모리의 오버클럭 수율이 어느정도 자리잡은 현 시점에는, 3,200MHz 보다 소폭 더 높은 3,600MHz의 메모리 오버클럭 셋팅이 새로운 국민 램오버 셋팅으로 조금씩 자리잡고 있다.

일전 XMP 메모리를 통해 최대 4,200MHz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내용을 전해드린 바 있는데, 금번 R5 5600X와의 DDR4 3,200MHz 순정 메모리를 3,600MHz로 오버클럭 한다면 어느 정도의 추가 성능향상이 가능할까?

■ 새롭게 PC구매하는 소비자, 기존 사용자 모두 활용 가능


금번 준비해온 메모리는 DDR4 3,200MHz 기반의 JEDEC 규격 CL22에 따르는 메모리를 준비해 봤는데, 그 중에서 금번 기사에선 마이크론 크루셜 모델을 기준으로 진행했다는 점 참고하길 바란다.

기사의 진행에 있어서는 3,200MHz 메모리를 기준으로 진행했으나, 메모리 오버클럭 자체에 있어서는 기존 2,666MHz의 클럭을 가진 메모리도 오버 클럭이 가능하다.

다만 메모리의 수율에 오버클럭의 실질적인 안정화에 있어서는 큰 편차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길 바라며, 각자의 안정화 및 다양한 실사용을 통한 안정성 검증도 필히 체크한 후 진행하길 바란다.

■ 국민 메모리 오버클럭, 이젠 3,200MHz 아닌 3,600MHz?


필자의 경우 금번 메모리 오버클럭 셋팅을 3,600MHz을 목표로 잡았는데 거기에 사용한 메모리 타이밍으로는, 준비해온 사진과 같이 CL18-22-22-22-54-72에 1.35V를 기준으로 진행했다.

이 외의 바이오스 설정이나 세부 램타이밍은 건들지 않았다.


오버클럭 안정화에 있어서는 CPU 연산 및 오버클럭 안정화 테스트로 사용하는 Prime95를 진행했으며, 만약 메모리 오버클럭이 실패했거나 메모리 오버클럭이 불안정할 경우 해당 Prime95에서 워크 스탑이 뜨거나 블루스크린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필자의 경우 해당 Prime 95에서 Smallest FFTs로 최대 전력 및 CPU 부하 테스트와, Large FFTs를 통해 메모리 안정화 테스트 위주로 1시간 통과한 후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본격적인 게이밍 벤치마크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Aida64를 통한 메모리 대역폭 및 레이턴시 등의 벤치마크를 진행해 봤다.

게임 벤치마크 이전 아이다 64 메모리 벤치마크를 기준으로는 읽기/복사/쓰기 값에 있어 평균적으로 10%이상 성능향상 확인되었으며, 레이턴시에 있어서도 소폭 더 빨라진 지연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언급했듯 일반적인 메모리 1차 타이밍을 중점으로 셋팅 한 결과값인 만큼 별도의 오버클럭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용자라 한다면, 추가적인 메모리 타이밍 다이어트 및 세부 램타이밍을 조절하여 필자 보다 더 높은 성능향상이 가능하다는 점도 참고하길 바란다.

■ 3,200 vs 3,600 CL18 메모리 오버클럭, 성능 차이는?


먼저는 순정 상태에서의 게이밍 성능인데 준비해온 게임 벤치마크로는 메모리 오버클럭의 영향이 비교적 큰 편에 속하는 온라인 게임 위주로 선택하여 준비해 봤다.

일단 순정상태에서의 성능인데 LOL을 포함하여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그리고 최근 글로벌 런칭을 통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주는 로스트아크로 준비해 봤는데, 전반적인 게이밍 성능에 있어서 RTX 3070Ti FE와의 조합 때문인지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3,200MHz CL22 메모리를 3,600MHz CL18로 오버클럭 하였을때에는 3,200MHz CL22 순정 메모리 대비 평균 2% 높게는 6%이상 성능향상을 보여주어, 더욱 쾌적한 게이밍 플레이를 기대해 볼 수 있었다.


앞선 벤치마크가 메모리 오버클럭으로 인해 얻는 평균 프레임의 상승치였다면 금번 벤치는 동일한 게임에 있어서 1% Low FPS를 체크하여 비교해 봤다. 일부 게임의 경우 자체 벤치마크를 통해 진행되어 별도의 1% Low FPS를 체크하지 못하여 금번 1% Low 벤치마크 데이터에서 일부 제외되었다.

1% Low FPS에 있어서도 앞서 살펴본 평균 프레임과 같이 확실한 성능 향상을 보여주는데 배틀그라운드의 경우엔 평균 4%가까운 성능 향상을, LOL과 로스트 아크는 3~4% 가량의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오버워치의 경우엔 10%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즉 순정 메모리를 기준으로 약간의 메모리 오버클럭을 겸하면 평균 프레임은 물론, 순간적인 프레임 드랍을 체감하는 1% Low FPS에 있어서도 상당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메모리 오버클럭이 어렵다면? XMP 제품을 노려보는것도 좋은 방법


금번 기사에서는 다양한 PC 성능 향상 방법 중에 R5 5600X를 통해 순정 3,200MHz 메모리를 가지고 3,600MHz CL18로 오버클럭하여 성능 비교를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본문의 벤치마크 내용을 짧게나마 정리해 보면 3,200MHz 순정 메모리 대비 3,600MHz로 메모리 오버클럭을 적용했을 경우, 평균 프레임에 있어서 2~3% 추가 성능 향상을 그리고 Low 1% 프레임에 있어서는 평균 4%에 게임에 따라서 높게는 7% 이상의 성능 향상을 노려볼 수 있었다.

물론 오버클럭이라는 요소에 있어서 다소 부정적이거나 또는 어려워하는 소비자들도 있으리라 생각되는 만큼, 그러한 사용자 또는 소비자라 한다면 최근 저렴해진 DDR4 3,600MHz XMP 메모리를 구입하여 활용해 보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된다.

끝으로 AMD 플랫폼의 경우 A320부터 X570에 이르는 모든 칩셋에서 메모리 오버클럭을 지원하는 만큼 필자가 소개한 R5 5600X뿐 아니라 R7 5800X 또는 5900X와 같은 CPU를 사용하는 소비자라 한다면, 이러한 내용을 잘 확인한 후 한번쯤 메모리 오버클럭에 도전해보거나 또는 XMP 메모리의 활용을 노려보는건 어떨까?

//kbench.com/?q=node/230294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