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관련 용어 - bich gwanlyeon yong-eo

국제촉광 (國際燭光, international candle)
액체 펜탄을 연료로 하는 표준등(標準燈)의 불꽃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불꽃 중심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1m 위치에 있어서의 광도의 1/10을 1촉광이라 하는 것을 말한다. int C 또는 C로 약기한다. 1908년에 영국 ·미국 ·프랑스의 각 국립연구소의 협정에 의해서 결정되고, 백열 탄소 전구를 표준광원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1948년 국제도량형위원회에서는 칸델라(cd)를 광도의 단위로 채용하기로 결정하였다. 한국에서는 칸델라(cd) 이외에 럭스(lx) 등을 병용하고 있다. 1int C=1.018cd이다.

글로램프 (glow lamp)
글로방전은 아크방전보다 전류도 적고, 휘도(輝度)도 낮아서 조명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네온가스를 사용한 네온글로램프가 배전판(配電板) 등의 표시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아르곤가스를 바이메탈 스위치와 함께 넣고 봉한 글로 스위치가 형광램프의 점등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점등관으로 사용될 경우는 글로방전이 바이메탈의 동작열원(動作熱源)에 이용되고 있으며 자동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단가도 싸며, 보통 형광램프 2개 분의 수명이 있다. 그러나 점등에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결점이 있다.

국부조명 (局部照明)
전체 가운데 어느 한 부분만을 조명하는 방법.
실내 전체를 균등하게 비추는 전반조명(균일조명)에 비하여 희망하는 방향에서 희망하는 조명도(照明度)를 낼 수 있어 조명의 효과를 올리는 이점이 있다. 또 조명률이 높으므로 전력비가 적게 든다. 결점은 실내의 작업 변화에 따라 조명 시설을 바꾸어야 하는 점, 조명기구의 종류와 수량이 많아야 하는 점, 배선·설비비가 가중되고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사용할 수 없으며,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뚜렷하여 어두운 부분에서 일하기 어려운 점 등이다.

게디스 (Geddes, Norman Bel) [1893.4.27~1958.5.8]
미국의 무대 장치가. 국적 : 미국, 활동분야 : 예술
주요저서 : 《Magic Motorways》(1940)
주요작품 : 《기적》(1924) 《여자의 평화》(1930) 《데드 엔드》(1935) 클리블랜드 예술학교와 시카고예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조명효과와 배우의 움직임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의 무대를 생각하여, 주로 힘찬 선과 모양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조형적 장치를 고안하였다.
《햄릿》(1931)이나 아리스토파네스의 《여자의 평화》(1930)에서는 계단식 플랫폼을 다각적으로 사용해서 입체적인 무대를 구성하였고, 라인하르트가 연출한 중세극 《기적》(1924)에서는 프로시니엄스테이지로 장엄한 교회 내부를 구성하였으며, 베르펠의 《영원한 길》(1932)에서는 모세가 찾아간 가나안 땅의 입구를 흑(黑)과 적(赤)의 강렬한 색채 대조에 의해서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S.킹즐리의 《데드 엔드》(1935)에서는 뉴욕의 빈민굴을 사실적 중량감으로 무대에 재현하였다. 공업미술에도 관심을 나타내어 자동차 도로 시스템에 대한 구상을 담은 《Magic Motorways》(1940) 등의 저서도 있다.

그랑기뇰 (Grand Guignol)
19세기 말 프랑스 파리에서 유행한 살인이나 폭동 따위를 다룬 전율적인 연극.
1890년대부터 제1차 세계대전 전까지 유행하여 파리의 명물이 되었다. 조명이나 무대장치를 이용한 망령이나 기괴하고 끔찍스러운 등장인물의 출현, 폭력, 잔혹한 살인이나 강간, 폭동, 자살 등을 주로 다루었다. 1897년 M.모레가 파리의 샤프탈가(街)에 전문극장을 열고 어른을 위한 구경거리라는 뜻으로 그랑기뇰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난반사 (亂反射 scattered reflection)
물체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입사한 빛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 반사해서 흩어지는 현상이며 산반사(擴散反射)라고도 한다. 거울같이 매끄러운 평면에 입사한 빛은 정반대 방향으로만 고르게 반사하는 정반사(正反射:거울반사)를 하지만, 대개의 경우 아무리 매끄러워 보이는 평면이라도 빛의 파장과 같은 정도의 척도로 보면 결코 완전한 평면이 아니며, 여러 방향으로 향한 오톨도톨한 작은 면의 집합체로 여길 수 있기 때문에 한 방향에서 입사한 빛이 그 작은 면을 각각 2차적인 새 광원으로 삼아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여 흩어지는 난반사를 일으킨다.
어떤 한 물체가 어느 방향에서나 보이는 것은 이러한 현상 때문이다.

눈부심(Glare)
사람의 눈이 적응하는 수준 이상으로 발산되는 강한 빛 시 지각을 방해할 정도의 반사를 말한다.
발생 원인에 따라 : 직접 글래어 / 간접 글래어로 구분된다.
※ 직접 글래어의 방지 : 램프 앞에 루버(Louver)를 달거나 빛 차단용 날개를 담.
조명기구 앞에 렌즈나 디퓨저를 달아서 빛을 넓게 확산시킴

네일슨 (Neilson, James Beaumont) [1792.6.22~1865.1.18]
글래스고 출생. 제철용 열풍로(熱風爐)의 발명자이다. 글래스고 근방의 탄광 노무자의 아들로 태어나 가스 공장에 다니며, 가스 정제 ·조명장치 등을 개량하였다. 1824년 경부터 제철의 개량을 의뢰받아, 1828년 용광로에 보낼 바람을 미리 데워서 노 안을 고온으로 만드는 방법을 발명하여 특허를 받았다. 이 방법은 1832년 클라이드 제철소에서 대규모로 실시된 뒤 철의 생산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만년에는 노동자 교육에 헌신하였다.

니트 (nit)
MKS 단위계의 휘도(輝度)의 단위. 니트란 1cd/m2 또는 0.00001sb(스틸브)의 광도를 가지는 표면의 밝기를 가리킨다. 기호 nt. 1948년부터 쓰이기 시작한 단위로, 맑은 하늘의 밝기는 2×103~6×103nt이다

다운라이트 (Down Light)
빛을 아래쪽으로 비추는 조명기구. 매입용. 천정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으며 매달아 늘어뜨리는 형태도 있다.

대비 (Contrast)
물체와 뒤배경과의 광도의 차이

디퓨저 (Diffuser)
광원으로부터 빛을 분산시키는 기구나 방식

등조명도곡선 (等照明度曲線 isolux curve)
지형도(地形圖)의 등고선(等高線)에 해당한다.
등조명도곡선의 관찰 및 계산으로부터 최대조명도 ·최소조명도 ·평균조명도 ·불규칙조명도 ·부분광속(部分光束) 등 조명도 분포의 모든 양이 산출된다. 직접 기계에 등조명도곡선을 그리게 하는 직화법(直畵法)도 연구되고 있다.

라임라이트 (limelight)
옛날 극장에서 사용된 무대조명, 특히 주요 인물의 집중적인 조사(照射)에 스포트라이트로 쓰인 강한 백색광(白色光).
칼슘 라이트(calcium light) 또는 드라몬드 라이트(dramond light)라고도 한다. 스코틀랜드의 T.드라몬드가 발명하였다. 수소와 산소의 혼합가스를 2,400∼2,700 ℃의 고온에서 태워 그 빛을 렌즈로 모아서 비추는 것으로, 19세기 후반에 유럽과 미국의 극장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이 말은 뜻이 변하여 ‘세상의 주목을 받는 입장’, 즉 명성이나 평판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로키 (low-key)
사진 인화에서 어두운 부분, 매우 어두운 부분 등 농도가 높은 부분의 면적이 크며, 약간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가지는 상태

룩스 (Lux)
조도란 물체의 표면에 들어오는 빛의 양으로,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아니다.

루미아 (lumia)
빛을 조작해서 스크린 위에 추상적인 형상과 색의 변화를 그려 보이는 예술. 미술용어이며, ‘빛의 예술’, ‘색채음악’이라고도 한다. 1922년, 덴마크에서 출생한 T.윌프렛이 피아노의 건반 조작을 따라 움직이는 빛으로 그 영상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고안, 뉴욕에서 최초로 공개하였다. 움직이는 색채로서 연극 또는 음악 연출에 응용하며 움직이는 벽화로서 건축조명으로도 사용된다. 1920년대에 크게 유행하였다.

룩손 (luxon)
눈동자의 넓이가 1mm2일 때, 휘도(輝度)가 매 m2의 1cd의 광원이 망막 위에 생기는 조명도를 말한다. 시신경의 흥분도는 망막면(網膜面)에서의 조명도와 관계가 있으므로 이 단위가 쓰인다. L.T.트롤란드의 제안(提案)에 따른 것으로 트롤란드라고도 한다.

루멘 (Lumenm,lm)
광원의 발광량을 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빛 에너지의 단위

루버 (Louver)
일정한 각도의 시점에서의 전구를 차폐하기 위한 장치유형
채광(採光) ·인공조명 ·일조조정(日照調整) ·통풍 ·환기(換氣)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통풍이나 환기를 위해서는 빗물이 스며드는 관계로 루버를 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채광 ·인공조명 ·일조조정에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루버 형식을 취하지는 않는다. 즉, 가로 ·세로 또는 격자창(格子窓)으로 하든지, 이것들의 변형을 응용해서 여러 가지 종류를 택할 수가 있다.
빛에 관해서 이것을 사용하면 광원면(光源面)은 그다지 밝게 보이지 않게 하고, 작업면만 밝게 할 수 있으며, 광선에 지향성을 갖게 하여 실내의 조도분포(照度分布)를 균일화할 수 있고, 직사 일광을 겨울철에는 실내에 들어오게 하고 여름철에는 차단하여 일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는 이상의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밖에서는 실내가 들여다보이지 않고,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보는 데 불편이 없는 것이 특색이다.

리플렉터 (reflector)
조명용 반사판. 주로 피사체를 역광으로 촬영할 때 많이 사용하며, 특히 데이라이트나 스토로보와 같이 주광원이 하나일 때 효과가 크다. 은(銀)리플렉터가 가장 많이 쓰이며, 접사용일 경우 흰 책받침에 한쪽은 은종이를 붙이면 은리플렉터와 백(白)리플렉터를 번갈아 쓸 수 있다.

명료성 (clarity)
대상을 명확하게 표현한다는 뜻을 뛰어 넘어 실제의 모습을 재현해내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뜻한다. 주로 대상의 모양, 양감, 질감, 등의 외형적 상태 표현을 의미한다.

메탈할라이드 전구 (Metal Halide Lamp)
금속 증기의 혼합체와 할라이드 계통 원소(나트륨,텔리엄,황동)의 분리에서 복사열이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고압 방전등

명도 (Value) 색의 어둡고 밝음을 표현하는 것으로 순백율 100으로 순흑을 0으로 측정한다.

명시도 어떤 사물의 표면에 비추어진 빛의 반사율

면광원 面光源 (surface light source)
점광원(點光源)에 대응하는 말이다. 1차 광원으로는 형광등을 몇 개 합친 루미패널이라는 조명등이 있고, 2차적으로는 젖빛유리나 아크릴 등의 패널 뒷면에 램프나 전구와 같은 광원을 늘어 놓아 균일하게 비치는 것이 있다. 전기장발광(電氣場發光)을 응용한 것도 있다. 이들은 모두 방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만들어진 이상적인 조명방법이다.

무영조명등 無影照明燈 (shadowless(operating) light)
광원(光源)을 집중하여 목적하는 부위에 그늘이 생기지 않도록 조명하는 장치이다. 2중 필라멘트를 가진 특수전구를 휘광(輝光)렌즈에 장치하고, 구리판에 니켈 및 크롬을 도금(鍍金)한 포물선형 반사경을 사용한다. 열의 방출을 적게 하기 위해서 열선흡수용 필터를 사용하고, 시신경이 피로하지 않도록 주광색(晝光色)을 내게 한다. 빛의 난반사(亂反射)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빛의 시야를 넓고 밝게 했기 때문에 어두운 그늘이 생기지 않는다.

무잡음등 無雜音燈 (noiseless lamp)
보통 형광등은 켰을 때 관 속에서 고주파진동을 일으키며, 이것이 전등선에 전해지거나 또는 직접 전파로서 방사(放射)되어 라디오관에 잡음장애를 일으키는 수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LC형 필터를삽입하거나 형광등의 양쪽 끝에 콘덴서를 붙인다. 또 형광등의 필라멘트 전극의 구조를 개량하여, 표면적을 크게 하고 전자방사 물질의 칠을 얇고 고르게 하여, 방전개시 때의 열전자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잡음의 발생을 아주 적게 한다.

무정전전원 無停電電源 (non-interrupting electric source)
보안용 ·병원용 ·컴퓨터용 전원 등과 같이 정전이 되면 매우 곤란한 부하(負荷)에 대하여 주전원이 정전되어도 정전이 되지 않는 전원.
무정전전원 방식에는 절환방식(切換方式)과 부동방식(浮動方式)이 있다. 절환방식은 주전원의 정전과 동시에 비상전원으로 절환하는 방식으로, 수술실의 조명과 같이 1초 이내 정도인 단시간의 정전이 허용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부동방식은 전지를 전원으로 하고, 항상 그 전지를 충전하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컴퓨터의 전원처럼 순간적인 정전도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매지큐브 (magicube)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플래시큐브이다. 정육면체를 4분하여, 각 부에 초소형인 섬광전구가 1개씩 들어 있다. 1회 발광(發光)시켜 사용한 후 90°회전시켜 다음 것을 사용한다. 4회 발광할 수 있다. 소형이며, 가볍고 편리하여 카메라의 초심자가 많이 사용한다. 플래시큐브와 같이 사용하면 카메라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매카이 (MacKaye, Steele) [1842.6.6~1894.2.25]
미국의 연예인으로 연기 ·연출 ·경영 ·극장 등 다방면에 걸쳐 활약하였다. 또한 장치나 조명 등 무대 기구면에서도 여러 가지 새로운 방법을 시도한 무대의 실제 가이기도 했다. 파리와 런던에서 연극을 익힌 후 뉴욕으로 돌아와 1879년 간접조명을 채용한 자신의 설계로 매디슨스퀘어 극장을 개설하였다. 여기서 상연된 자작극 《하젤 커크 Hazel Kirke》는 장기흥행의 신기록을 세웠고 《엉클 톰스 캐빈 Uncle Tom’s Cabin》과 필적하는 인기작품이 되었다. 그의 두 번째 극장인 라이세엄 극장에서는 처음으로 전기에 의한 조명을 사용하여 무대구성에 일대 전기를 가져왔다. 또 뉴욕에 미국 최초의 연극학교인 미국 무대예술학원을 설립하여 젊은 신인배우 양성에도 힘썼다.

맥베스조명도계 (Macbeth illuminometer)
시감(視感)으로 조명도를 측정하는 장치. 반사율을 알고 있는 시험판 N을 측정할 장소에 놓고 E에서 들여다보아 그 면의 휘도(輝度)와 같아지도록 S면의 휘도를 맞춘다. 이때의 눈금을 읽으면 측정하고자 하는 면의 조명도를 알 수 있다.
S면의 휘도는 용기(容器) T의 전구 L을 랙 R와 피니온 P로 앞뒤로 이동시켜 조정한다. 전구 L은 일정한 전류로 점등되어 있는데, 그 전류값은 시험파와 부표준기로 미리 정한다. 눈금은 10∼15 lx이나, 10배 및 100배인 부속 회색 필터를 F1 쪽 또는F2 쪽에 넣음으로써 0.1∼25,000 lx 범위에 걸쳐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오차는 3 % 정도이다. 

바닥붙이등
천장이나 벽에 직접 붙이는 조명기구. 백열등(白熱燈)이나 형광등을 커버 없이 붙인 것과 커버를 씌운 채로 설치한 것이 있다. 바닥붙이등은 펜던트처럼 거추장스럽지 않으므로 천장이 낮은 방에 적합한 방법이며, 커버 없이 붙이는 것은 특히 조명효율만을 목적으로 하는 방이나 작업장에 많이 사용된다. 백열등도 둥근 공 모양의 것이 있는데, 이런 형은 커버 없이 설치하여도 기능적인 아름다움이라는 점에서 보다 효과적인 경우가 있다.

바운스트라이트 (bounced light)
실내의 천장이나 벽 등에 비추어 그 반사광으로 조명하는 조명법, 또는 그 조명광. 인공광선을 이용하여 촬영할 때, 사진전구나 플래시의 빛을 직접 피사체에 비추지 않고 실내의 천장이나 벽 등에 비추어 그 반사광으로 조명하는 조명법, 또는 그 조명광. 조명이 부드럽고 강한 그림자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포트레이트(portrait:인물사진) ·상품촬영 등에 적합하며, 또 창가에서 사진을 찍을 때 자연광에 대한 보조광으로서도 사용된다. 바운스트플래시일 때, 플래시와 피사체의 거리는 플래시에서 반사면까지와 반사면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합한 것이 된다. 이 바운스트라이트로 촬영할 때는 반사면의 반사율에 의해서 빛이 약해지므로, 직접 조명할 때보다 조리개를 1단에서 2단 정도 더 열어야 한다.

방전램프
방전램프 안에 넣어지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우리는 직접 방사되는 빛을 보게 되거나 램프 내부에 도포되어 있는 발광물질에 의해 자외선이 빛으로 전환된 빛을 보게 된다. 다시 말해 형광램프는 한쪽의 텅스텐 와이어 전극 봉에서 다른 한쪽으로 전자가 방출되고 이 전자가 튜브내의 수은 원자와 충돌하여 자외선을 방출한다. 이 자외선이 램프 벽에 도포된 형광물질에 부딪히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방범등 (防犯燈)
범죄예방을 위하여 어두운 곳에 설치하는 조명기구. 옥외 조명은 비바람에 의하여 파손되기 쉬우므로, 안전 견고하고 구조가 간단한 방수형(防水型)이 좋다. 백열등 ·형광등 ·수은등 등이 사용되며, 형광등 ·수은등이 경제적이다. 점멸(點滅)은 자동점멸기를 사용해서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점등되고, 밝아지면 꺼지도록 하면 편리하다.

밝기 (Brightness) 눈에 도달하는 빛에 대한 주관적 느낌 측정된 밝기와는 비례하지 않는다.

반사구 (Reflector Lamp)
램프의 상부 안쪽에 반사처리를 하고 안쪽 전면에 프러스트 처리를 하여, 발생되는 빛에 방향성과 확산성을 부여한 백열전구

반사 (Reflector)
어떤 사물에 비춰지는 빛이 반사되어 지각할 수 있는 사물은 그 사물의 색깔 뿐만 아니라 재질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반간접조명 (半間接照明, semi-indirect lighting)
광원(光源) 자체의 눈부심을 없애고, 비추어지는 대상에 강한 그늘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또한 대상의 깊숙한 곳을 인지(認知)하는 데 도움이 될 정도로 부드러운 그늘을 만드는 조명방법.

백열전구 (Incandescent Lamp) 필라멘트가 가열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전구

백열램프
백열램프는 진공이나 가스를 넣은 유리벨브 안에 텅스텐 필라멘트를 넣은 구조로 되어 있어 유리발브안에 들어가 있는 텅스텐 필라멘트의 온도를 상승시켜 열을 발생 하면서 빛이 발생한다. 백열전구의 수명은 램프의 기능이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50%수준으로 저하 됐을때 까지의 기간을 일반적인 수명으로 본다. 일반적인 용도의 텅스텐 필라멘트 전구의 수명은 약 1,000시간 정도이다.

보조광 (fill-light)
키라이트(key light)의 지나치게 강한 그림자를 약화시키고 그늘속에 가린 세부물체를 선명하게 보여줄때 이용하는 조명

보더라이트 (border light)
무대 전체를 고르게 조명하는 데 사용하는 조명기구. 금속제의 긴 통 안에 여러 개의 전구를 끼운 것으로, 전구는 1개씩 분리되어 있고 젤라틴 필터를 씌운다. 흰색 ·앰버색 ·파랑 ·빨강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전구의 용량은 40~300 W로 반사면에는 알루미늄 도금을 하고 전구면과 포물선면의 복합으로 이 장치의 효율을 높이게 되어 있다. 막의 바로 뒤에 제1보더라이트를 배치하고 2 m 간격으로 제2 ·제3보더라이트를 차례로 배치한다. 보통천장에 매달게 되어 있고 무대장치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정해야 하며 조종장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분산 (Diffuse) 빛을 광범위한 각도로 흩어지게 하는 속성을 가진 것 예) 석회, 나무, 벽돌 등

배플 (Baffle) 불투명 하거나 반투명의 소재들은 시선으로부터 전구를 차폐하거나 빛을 흡수하는 데 사용한다.

배광곡선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의 강도로 나오는가를 표시

방전램프 (Electric Discharge Lamp) 가스나 증기를 통한 전기적 흐름에 의해서 빛이 생산되는 종류의 램프

브루스터 (Brewster, David)
영국의 물리학자로 스코틀랜드 제드버러 출생. 에든버러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성직자가 되었으나 일찍부터 자연과학에 흥미를 가져 1800년경부터 광학(光學)의 실험연구에서 잇달은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초기의 만화경 제작과 입체거울의 개량(1849), 등대의 조명기구 개량(1833년 실용화) 등 광학기기에 관한 연구와, 형광(螢光)의 발견과 연구도 있다. 특히 빛의 반사와 편광(偏光)에 관련된 연구로서 반사에 의한 편광에 관한 ‘브루스터의 법칙’, 복굴절(複屈折) 연구, 쌍축결정(雙軸結晶) 발견 등이 알려져 있다.
《 에든버러백과사전》의 편집자로서 활약하였으며(1808∼1829), 《브리태니커백과사전》에 기고하고, 몇 가지 과학잡지를 편집하기도 하였다. 저서로 《뉴턴전》(1855)이 있다. 1859년 에든버러대학 총장이 되었다
브루스터의 법칙 (Brewster's law)
상대굴절률(相對屈折率)이 n인 투명한 물질의 표면에 tan θ=n으로 정해지는 특정한 각 θ로 입사한 빛의 반사광은 완전히 직선편광이 되어 입사면에 수직으로 편광한다는 법칙.
브루스터의 간섭무늬 (Brewster's interference fringe) 두 장의 같은 두께의 평행평면판 A,B를 서로 근소한 각도만큼 기울여 놓고 가는 광선속(光線束)을 입사시켰을 때 두 면 사이에서 2회 반사한 빛에 의해 생기는 간섭무늬.

비행장등대 飛行場燈臺 (aerodrome beacon)
공항등대라고도 한다. 비행장 또는 그 부근에 설치되는 항공조명의 일종이며, 광원(光源)의 중심을 포함한 수평면에서 상공의 어느 방향에서나 볼 수 있다. 그 불빛으로 인해 활주로에 진입하는 항공기의 조종사에게 눈부시지 않게 설치되어야 한다.
보통 지름 90 cm의 회전섬광장치에 1kW의 특수전구를 사용하여, 약 100∼260만cd의 2가지 빛깔의 불빛을 1분간에 12∼20회 정도 번갈아 점등한다.

브래킷 (bracket)
벽이나 기둥 등에 붙이는 조명기구. 형광등을 쓰기도 하지만, 대개 갓이 없는 둥근 공 모양이나 촛불형의 백열전구를 사용한다. 천이나 종이, 유리섬유제 가리개로 덮인 것, 또는 유리나 플라스틱제 커버가 달린 것이 많이 있다. 브래킷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서 기구나 붙이는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복도에서는 통행에 지장이 없는 높이, 서재에서는 좌측 벽면에서 책상에 가깝고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고, 침실에서는 조광(調光)을 할 수 있는 것, 옥외나 욕실에서는 방습(防濕) ·방청(防)이 된 것을 사용하며, 현관이나 응접실 등에는 디자인적인 효과를 고려한 것을 사용한다.

사바나효과
상점 안쪽의 벽면을 매장에 비해 2~3배의 밝기로 처리하면 상점 앞에 섰을 때 상점의 내부가 잘 들여다 보여 고객이 들어가기 쉬운 느낌이 드는 상점이란 생각이 들게 하며 내부를 더욱 넓게 보이게 한다.

삼파장 인간의 눈이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파랑, 초록, 빨강 부근의 파장대의 빛 샹제리제 (chandelier)
장식을 호화롭게 한 집합등(集合燈). 프랑스어의 샹델(chandelle:양초)에서 비롯된 말로 본래는 초를 세우는 기구(촛대)라는 뜻이었으나 지금은 장식효과를 주목적으로 한 조명기구의 명칭이다. 고대의 ‘매단 등’을 뜻하는 라틴어 칸델라브륨(candelabrum)에서 어원이 유래됐다는 설도 있다. 샹들리에의 형체는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기름을 넣은 큰 쟁반을 천장에서 늘어뜨린 기능 위주의 것이었으나 비잔틴 시대로부터 르네상스 시대에는 조명 본래의 목적뿐만 아니라 실내장식 포인트의 하나로서 중요한 구실을 하게 되었다.
17세기 후반에는 나무와 청동에 크리스털로 치장하여 한층 더 장식적 효과를 높인 것이 사용되었다. 18세기 후반 프랑스에서는 우수한 공예품으로 만들어져 궁전이나 대저택을 더욱 호화스럽게 한 촉등식(燭燈式) 샹들리에가 선보였고 그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19세기에 이르러 백열전구가 발명되면서 연소하는 과거의 광원(光源)에 비하여 안전성이 높아 샹들리에를 만드는 데 더 자유롭게 창의력을 구사할 수 있어 공예적으로 상당히 우수한 것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장식전구를 많이 설치한 다등식(多燈式)과 크리스털 유리나 합성수지(플라스틱)를 조형적(造形的)으로 꾸미고 비교적 큰 백열전구를 여러 개 내장한 것 등, 다채롭게 만들어진다. 샹들리에는 호화스러운 분위기를 필요로 하는 장소, 격식을 중시하는 곳, 예를 들면 궁전 ·극장이나 호텔의 로비, 연회장 등에 많이 사용된다. 개인주택에도 소형의 크리스털 유리제품이나 석유 램프형의 소형 샹들리에가 거실에 주로 사용된다.
서클라인 (circline)
링 라이트라고도 한다. 광원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배광(配光)이 사방에 균일하므로 천장 등을 전체로 조명하는 것으로 많이 이용하며 스탠드 등의 국부조명(局部照明)에도 사용한다.

서멀스타터 (thermal starter)
글로스타터는 글로(glow)가 발생하는 열로 바이메탈 전극을 동작시키는 데 대해, 서멀스타터는 발열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기동전류를 보냄으로써 발생하는 열로 바이메탈 전극을 동작시킨다. 최근에는 바이메탈 대신 가느다란 선의 신장(伸長)을 이용한 것이 있어, 시간이 단축되므로 서멀스타터의 결점이 보완되었다.

섬광전구 (閃光電球, flash bulb)
유리전구의 내부에 알루미늄선 또는 지르코슘선과 산소를 봉입하여 사진촬영에 사용하는 전구.
플래시 벌브라고도 한다. 전구의 필라멘트에는 지르코늄 분말의 점화제가 칠하여져 있어 전류가 통하면 필라멘트가 가열되어 점화제가 발화하며, 그 열로 알루미늄선이 순간적으로 산화 연소되면서 발광을 한다. 알루미늄선은 산화가 쉽게 되도록 0.02~0.04 mm 정도로 미세하게 가공되어 있다. 선의 굵기 ·양 ·봉입방법에 따라 밝기와 발광시간이 조절되어 있다. 발광 때 전구의 내부가 고온 ·고압이 되므로 구가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피막이 구의 내면과 외면에 칠해져 있으며, 컬러용은 발광의 색온도를 태양광에 맞추기 위해 외면의 피막을 청색으로 착색하고 있다. 야간이나 실내에서 사진촬영할 때 부족한 채광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된다.
속점등 速點燈 (rapid start)
형광등의 점등을 1초 이내(글로 램프를 사용할 때는 3초 정도)에 점등시키는 즉시 점등방식.이 형광등은 전극간전압(電極間電壓)을 조정함으로써 광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어 극장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 보통의 형광등보다 수명이 길다.

색대비 (Color Temperature) 광원에서 발생되는 색감이 차가운가 따뜻한가를 표시 K(Kelvin)으로 표시수은등 (Mercury Lamp) 수은증기의 복사열이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고압방전등

SL램프
(Self-Ballast Lamp) 램프 자체에 작은 안정기가 설치된 램프

실루엣효과 상점 내부가 밝아지면 고객이 서 있는 쪽은 어두운 느낌이 들게 하는 효과.

스네이크 현상
새로운 제품의 형광 램프를 점등 하였더니 램프의 내부에서 꿈틀 거리는 현상을 말한다. (뱀이 꿈틀 거리는 것처럼 보이므로 스네이킹 현상이라고 함) 그러나 불량은 아니다. 일단 소등하고 잠시동안 있다가 다시 점등하면 대부분 고쳐진다. 만약 언제까지나 고쳐지지 않은 경우 전압이 너무 높거나 등기구의 부적합 또는 드물지만 램프가 불량인 경우도 있다. 그러나 꿈틀거리는 현상이 생겨도 램프가 파괴되는 경우가 없다.

스트로보스코프 (stroboscope)
주기적으로 깜박이는 빛을 쬠으로써 급속히 회전(또는 진동)하는 물체를 정지했을 때와 같은 상태로 관측하는 장치.

실드빔전구 (sealed beam lamp)
튼튼하며 반사경이 더러워지지 않고 효율이 좋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자동차의 전조등용(前照燈用)으로 개발되어 종래의 조립식 전조등 대신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전거용 ·전차용 등 투광기(投光器)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서멀스타터 (thermal starter)
형광방전등의 점등관(點燈管). 글로스타터는 글로(glow)가 발생하는 열로 바이메탈 전극을 동작시키는 데 대해, 서멀스타터는 발열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기동전류를 보냄으로써 발생하는 열로 바이메탈 전극을 동작시킨다 최근에는 바이메탈 대신 가느다란 선의 신장(伸長)을 이용한 것이 있어, 시간이 단축되므로 서멀스타터의 결점이 보완되었다.

아크등 (arc lamp)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아크의 발광을 이용한 등. 아크등의 원리로서의 아크방전은 영국인 H.데이비에 의해서 1802년에 발견되었다. 아크등에는 전극의 재료에 따라 탄소 아크등 ·텅스텐 아크등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아크에 의해서, 전극이 백열(白熱)하여 발광하지만 수은 아크등은 수은증기 속에 아크를 만들어 아크 그 자체의 발광을 이용한다. 수은 아크등에는 증기의 압력에 따라 저압(0.1 mmHg 전후) ·고압(103 mmHg) ·초고압(104 mmHg 전후) 등이 있다.

안정기 (Ballast) 방전전구를 점등하거나 작동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전압,전류 및 파장형태의 조건을 부여하는 장치. 예)형광등, 할로겐램프

완화조명 緩和照明 (adaptational lighting) 시야가 갑자기 어두워지거나 밝아질 때는, 일시적으로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눈의 휘도순응(輝度順應)이 밝기의 변화에 따르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눈의 휘도순응은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옮길 때는 빠르나, 반대의 경우에는 늦다. 이 때문에 터널의 출입구 등에는 외부광도와 내부광도를 점점 줄여서 순응할 수 있도록 조명해 놓고, 특히 입구 바로 앞의 도로에도 측벽이나 식수로 휘도를 완화하도록 한다.

아이리스인 (iris-in)
시나리오 용어로, 화면 중앙의 한 점으로부터 원형으로 퍼져 나가며 전체 화상을 떠오르게 하는 기법. I.I.라는 약칭을 사용하며, 오픈 아이리스 서클 인(open iris circle in)이라고도 한다. 아이리스는 조리개, 즉 카메라 렌즈 사이에 장착된 얇은 금속판으로 촬상면(撮像面)에 들어오는 입사광 양을 조절하는 기구를 말한다.

연색성 (Color Renditin)
광원이 물체의 색을 어떻게 보이게 하느냐 하는 효과. 같은 색도의 물체라도 어떤 광원으로 조명해서 보느냐에 따라 그 색감이 달라진다. 가령 백열전구의 빛에는 주황색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 빛으로 난색계(暖色系)의 물체를 조명하면 선명하게 돋보이는 데 반해 형광등의 빛은 청색부가 많으므로 흰색 ·한색계(寒色系)의 물체가 선명해 보인다. 의복 ·화장품 등을 살 때 상점의 조명에 주의해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조명으로서 가장 바람직스러운 것은 물론 되도록이면 천연 주광(晝光)과 가까운 성질의 빛인데, 이러한 연색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색 형광 방전관을 사용하든지(천연색형), 형광 방전관과 백열전구 또는 기타 종류의 형광 방전관을 배합하든지(딜럭스형) 한 램프가 고안되고 있다.

월와셔 (Wall Washer) 벽면 가까이에 위치하여 수직면을 고르게 조명하는 기구

역광 (back light) 피사체 뒤에서 비치는 광선 역광은 피사체의 테두리를 강조하여 배경으로부터 분리시키며, 키라이트에 의한 그림자 속의 디테일을 살려 주기도 한다.

ER Lamp 광원의 2인치 정도 앞쪽에 빛이 모이도록 만들어진 타원반사경 램프

외등 (Exterior Lights) 옥외용 등기구. 예) 정원등

요오드전구 (iodine lamp)
요오드의 봉입에 의해서 보통 가스들이전구와 같이 텅스텐선의 증발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 외에, 증발한 텅스텐과의 사이에 투명한 요오드화 텅스텐이 생겨, 일종의 열화학평형(熱化學平衡)에 이르며 소등한 후에는 텅스텐을 심선(心線)에 복귀시키는 이른바 요오드사이클 효과가 있어 대단히 유효하다. 연필 크기만한 것으로 1 kW의 능력이 있으며, 밝고 수명이 길며 교환이 쉬워서 투광기에 사용된다.

ILS 램프 (Internally Silvered Lamp) 기화된 알루미늄이나 은으로 코팅된 반사경을 갖고 있음

유지율 (보상율) (Maintenance Factor;MF)
주어진 면적에 떨어지는 초기 광량에 대한 시간이 지난 후의 광량의 비율

윤곽투영기 輪廓投影器
나사 ·게이지 ·기계부품 등의 피검물을 광학적으로 정확한 배율로 확대 ·투영하여 스크린에서 그 형상 ·치수 ·각도 등을 측정하는 장치. 광원 ·집광렌즈 ·재물대(載物臺) ·반사경 ·투영렌즈 ·스크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할 물건을 광학적으로 투영 ·확대하기 위한 광원으로는 보통 텅스텐 전구가 많이 사용되지만 밝기를 강화하기 위해 초고압 수은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조명 방법은 투과 조명과 반사 조명이 있는데, 투과 조명은 검사할 물건의 실루엣을 비추는 것이고, 반사 조명은 표면을 보기 위한 것이다.

잔상 (After Image)
빛의 자극이 제거된 후에도 발생되는 시각적 효과

장식적 효과(deocorative effect)
드라마의 경우 영상적 효과를 위한 목적 피사체의 심리적 상태, 분위기, 연출의 의도, 궁극적으로는 작품의 메시지 전달에 이바지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3가지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술적으로 통제된 조명은 특정부분을 강조하여 관심을 집중시키기도 하고 피사체가 놓여 있는 환경이나 공간안에서의 위치 관계, 축적, 원근감을 나타낸다.

장일재배 長日栽培 일조(日照)
시간이 짧은 겨울에 낮의 길이를 길게 하여 재배하는 것으로 낮의 길이를 길게 하는 데는 밤에 전등이나 다른 인공광선을 이용한다. 이것은 영양생장(營養生長)을 길게 하는 것이 되고 또한 개화를 촉진하게 한다. 해가 진 후부터 몇 시간 전등을 이용하여 조명하면 밤이 짧아진다. 예를 들면, 봄에 피는 장일성 식물을 겨울부터 이른봄까지 밤에 장시간 전등으로 조명하면 꽃이 빨리 피게 되고, 가을에 피는 국화의 억제재배는 8월 하순부터 일조시간이 13시간 이하로 되면 꽃눈이 분화되는데, 이를 저지시키기 위하여 해진 후부터 3시간 정도 전등으로 조명하면 12월부터 꽃눈이 분화되어 개화한다.

전구 (Lamp) 빛을 발하는 인공광원

전기루미네선스 電氣- (electroluminescence)
전기장발광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변환되는 현상을 말한다. 보통의 형광체에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을 조사(照射)함으로써 형광을 내게 되므로 자극방법이 이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전기루미네선스는 1923년 실리콘카바이드(SiC) 검파기에 전압을 걸어주면 전극 부근이 발광하는 사실에서 이미 알려져 있었으나, 1936년 G.데트리오가 2장의 전극판 사이에 형광물질을 끼워넣고 교류전압을 걸어주었을 때 발광하는 것을 발견한 것이 가장 유명하며, 그후 많은 물질에서도 확인되었다.

점광원 點光源 (point source of light)
즉 빛을 발하는 근원을 점으로 생각한 것을 점광원이라 한다. 가상적인 것이나, 실제로는 아크등(燈) ·초고압 수은등과 같이 발광면적이 비교적 작은 광원, 즉 광학상 근사적으로 점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광원을 가리킨다.

전구식 형광램프
긴 형광램프를 작게 구부려 접어서 소형화하고 안정기도 내장시키고 나사식 베이스를 붙인 일반 백열전구의 기구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형광램프 입니다. 같은 밝기의 전구에 비하면 전기료가 싸고, 수명이 긴 절약형 램프를 말한다

조광기 (Dimmer)
전구의 빛을 조절하는 기구 종래는 금속저항을 전기회로에 삽입하는 저항기식과, 변압기로 전압을 변화시키는 변압기식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반도체가 개발됨에 따라 반도체 조광방식이 널리 채택되었다. 저항기식과 변압기식의 경우, 조광기의 조작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 프로그램의 복잡화, 장치의 소형화에 한도가 있었으나, 반도체방식은 약전조작(弱電操作)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광기의 원격조작 또는 자동조작까지도 가능하게 되었다.

조도 조도란 물체의 표면에 들어오는 빛의 양으로,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아니다.

조명기 (illuminometer) 조도계 빛을 측정하는 기기를 말한다.

조명기구 (Luminaine)
램프와 램프를 보호하고 고정시키는 부분. 빛에 방향을 주는 부분과 전원연결장치. Fixture라고도 함

종량전등 從量電燈
계약전력제의 기본요금과 사용전력량을 합리화시킨 전력요금을 매월 계산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전력 공급방법.
조명 또는 소형 전기기기의 콘센트 수가 5개 등(燈) 이상인 것에 적용되며, 전력수요 중에서 전등수요의 대부분은 이 방식에 따라 공급되고 있다. 전등과 소형 전기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미터를 달지 않고 설비의 규모로서 요금을 결정하는 방식을 정액전등(定額電燈)이라고 하는데 이것과 대조적인 방식이다. 한국의 전기요금 구조는 1973년 12월 1일 이후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의 이용은 제2의 생산이라는 인식하에 에너지 절약,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의 제고를 위하여 요금구조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즉, 종래의 소비촉진적 체감제(遞減制)에서 소비규제적 체증별(遞增別) 요금형태로 바뀌고, 서비스 가치에 따라 요금종별도 용도별로 구분하고 있다.

조명도
피트 촉광이나 룩스로 나타낸 전체 장면의 조명의 세기. 최상의 밝은 상태를 그 세기의 절반 상태까지의 거리로 나누어 측정하며, 피트촉광이나 룩스 또는 미터로 계산한다.

조명초점 (lighting focus) 조명의 소스가 집중적인 스포트라이트로부터 산발적으로 널리 퍼지는 현상

조명측정기 (light meter) 빛의 반사나 투사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 노출측정기(exposuremeter), 또는 포토미터(photometer)라고 도 한다.

조명율 (Coefficient of Utilization ;CU) 한 기구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속량과 작업면위에 도달하는 광속량의 비율

조명표 (light plot)
제작을 위해 조명기기와 활용에 대한 계획안. 무대 상의 여러 장소에 위치하게 될 각각의 조명을 그려넣은 것으로서 조명기의 종류나 조명의 순서 및 광량 등이 명시된다.

조명효과 (lighting effect)
조명에 의해 프로그램 내용상 얻게 되는 화면 효과 효과는 계절, 시간, 분위기, 심리, 정경 등 프로그램 내용에 따르게 된다. 특수 조명기구를 사용하며 효과를 북돋는 특수 조명효과도 있다. 예를 들면 오로라머신, 미러 볼 등을 호리존트(horizont: 조명을 받으면 공간적 느낌을 주는 무대 뒤의 둥근 배경에 투영하는 달이나 그름을 나타내는 연출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조명디자이너 (lighting designer)
텔레비전 조명기사, 촬영감독, 조명주임의 지시를 받아 조명의 위치, 광량조절, 전기기술등의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한다.

주광 (key light) 피사체의 형태, 표면의 모양과 질감을 표현하고 노출의 기본치를 결정한다.

조명비율 (lighting ratio) 주광선과 보조광선의 비율. 보조광선을 기준으로 해서 두가지를 중첩시키거나 한가지씩 독립시켜 양자간의 비율을 측정한다.

직접조명 (Direct Lighting) 비추는 표면의 방향에서 대개 아래쪽으로 빛이 90 ∼ 100%로 방사되는 방식

천광 (Sky Light) 대기로부터 빛의 방향이 재조절되어 투사되는 태양으로부터의 빛

채광
채광은 인공조명에 대하여 자연조명 ·주광조명(晝光照明)이라고도 한다. 채광에 의하여 실내의 밝기가 알맞도록 창이나 건물의 형태 ·벽 ·천장의 시공방법 등을 연구하는 것을 채광설계라고 한다. 좋은 채광이란 보아야 할 대상물을 확실히 볼 수가 있고, 피로감이나 불쾌감을 일으키게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밝기와 분위기의 양면이 적당히 조절되어야 한다.

채광의 법규
채광에 유효한 창의 면적에 대하여는 건축법시행령 제51조에 규정하고 있다. 즉 채광을 위한 부분의 면적은 그 방의 바닥면적에 대하여 1/10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 창문 앞에 높은 건물 등이 접근하여 있는 곳에서는 그 창의 채광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건물의 높이와 창에서 건물까지의 거리의 관계를 정하여 채광에 유효한 창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천창(天窓)은 채광이 유리한 것이므로 실제의 창 면적의 3배로 쳐서 계산해도 좋으며, 특수한 건물인 영화관 ·극장, 지하의 공작물 내에 설치한 사무소 ·점포 등에는 창이 없어도 상당한 조명장치를 하였을 때는 인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측광 (photometry)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 또는 어떤 면이 받는 빛의 양을 재는 일. 측정대상이 되는 양을 측정량이라 하는데 광도 ·휘도 ·조명도 ·광속 및 투과능 ·반사능 ·혼탁도 등이 포함된다. 측정량의 종류에 따라 광도계 ·조명도계 ·광속계 등이 있다.
측정하려는 빛의 세기를 단독으로 직접 측정하는 독립측광법과, 이미 세기를 알고 있는 빛과 비교함으로써 측정하려는 빛의 세기를 구하는 비교측광법이 있다.
또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서 눈을 사용하는 시감측광(視感測光)과 광전지 ·광전관을 이용하는 물리측광으로 나뉜다. 색이 다른 두 빛을 측정하는 것을 이색측광(異色測光), 같은 색의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경우를 동색측광이라 한다. 이 중 옛날부터 사용해온 시감측광은 비교측광법의 일종이며, 이때 측정할 수 있는 것은 휘도(輝度)이고, 광도 ·조명도 ·광속 등은 휘도로 환산하여 측정한다.

칸델라 (Candela)
광도의 단위

코니스조명 (Cornice Lighting)
벽에 평행한 패널 뒷부분의 천정에 부착된 광원으로부터 오는 조명. 조명은 벽을 비춘다.

코브조명 (Cove Lighting)
몰딩이나 선반 혹은 수평면이 우묵하게 들어간 곳에 숨겨진 광원으로부터 오는 조명. 조명빛은 벽의 상부와 천정면에 분포된다.

탐조등
야간에 적의 항공기 ·선박 ·부대 등을 탐색하거나, 특정지역을 조명, 또는 발광 (發光) 신호용으로 사용되는 대형 등화에 사용된다.

텅스텐 할로겐 전구 (Tungsten Halogen Lamp)
기화된 텅스텐 입자를 텅스텐에 재위치시키는 할로겐 가스를 봉입한 백열광원

투과율 (Transmittance;R)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율

텅스텐전구 (tungsten lamp)
텅스텐을 필라멘트로 사용한 전구. 에디슨에 의해 탄소를 필라멘트로 한 전구가 발명된 이래, 많은 필라멘트 재료가 연구되어, 마침내 고온에 견디는 텅스텐필라멘트가 발명됨으로써 전기조명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텅스텐은 녹는점이 3,400 ℃로서 탄소 다음으로 높고, 고온에서 사용해도 증발이 적으며, 또 가느다란 필라멘트 모양으로 쉽게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구 내부는 20 W 이하의 것에서는 진공이지만 그 이상의 것에는 질소와 아르곤의 혼합가스가 들어 있다

투광기 (Projector)
렌즈와 거울에 의해 한정된 각도와 각도의 증감에 의해 빛을 집중하는 기구

PAR 전구 (Parabolic Aluminized Reflector Lamp)
빛의 조절이 정확한 타원형 알루미늄 반사경을 가진 램프 용도 : 다운라이트, 액센트 조명, 외등, 정원기구 등

포트
기호 ph. 1cm2 당 1lm(루멘)의 조명도를 말한다. 1919년 프랑스에서 결정되었는데, 흔히 쓰이는 것은 mph이다. 또한 포트세크(photsec)는 CGS계의 노출(露出) 단위로서 사용된다.

플로어스탠드 (floor stand)
플로어램프라고도 한다. 이에 대해 책상 위에 놓는 것을 램프스탠드 또는 테이블램프라고 하여 구별한다. 조명은 그 방의 종류라든가 용도에 따라서는 단순히 밝기를 목적으로 하는 것 외에 특수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플로어스탠드는 이와 같은 조명의 하나로 사용한다. 주택에서도 거실 등에서는 한방에 등을 1개만 사용하지 않고, 플로어스탠드나 브라킷 등 또는 간접조명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텔의 침실에서는 천장등(天障燈)을 사용하지 않고, 플로어스탠드나 베드라이트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푸트캔들 (foot-candle)
야드-파운드법에서의 조명도 단위. 기호 fc. 1 lm(루멘)의 광속(光束)으로 1 ft2의 넓이를 똑같이 비출때의 조명도이다. 1 fc=1 lm/ft2=10.764 lx(럭스)이다.

할로겐 램프
백열전구를 더욱 발전 시킨 것이 텅스텐 할로겐 램프이다. 할로겐 램프의 내부는 할로겐 가스로 채워져 있다. 할로겐 가스는 램프 내부의 텅스텐 필라멘트가 증발하는것을 방지함으로써 램프의 흑화 현상을 방지한다.
이 램프의 가장 큰 장점은 25lm/w에 이르는 높은 광속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약 2,000시간 더 길어진 램프의 수명과 일정하게 유지되는 광속, 백색의 광원색과 소형화된 사이드등도 할로겐 램프의 특징이다.

현휘 (Dazzle)
시각을 압도하거나 감소시킬 만큼 강렬한 빛이나 대비가 강한 동일한 모양의 문양과 배경형태

형광 (Fluorescence)
자외선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전환하는 물질의 속성으로 형광등 안쪽벽에 칠해지고 형광코팅은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전환시킨다.

휘도 (Luminance)
입사 또는 반사에 의한 밝기 정도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