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 법 단열재 - bideu beob dan-yeoljae

단열재의 종류/ 비드법 단열재(EPS)의 특징





안녕하세요 패시브 전문가로이 지기입니다 : D

오늘은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하시던 단열재의 종류인
비드법에 대하여 소개해드리는 시간을 가지도록 할 텐데요.

먼저 단열재의 의미를 한번 살펴볼까요?

주택이나 건물 등 건축물에 대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열에 대한 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재료로
보온과 보냉을 위하여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여
경제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사용이 된답니다.


단열은 말 그대로 열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와 외부에 대한 온도가 섞이지 않고
따로 차단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일반적으로 많고 다양한 단열재의 종류가 있으며
또 그 안에서 두께와 성능에 따라 연 전도율이 다르게 나뉘고 있답니다.


또한 단열재의 특징에 따라 사용되고 있는
건물과 위치가 다르게 적용되기도 하는데요.

그러므로 어떠한 단열재를 써야 한다기보다는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건물의
위치와 환경에 맞추어 사용하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단열재의 종류 중 비드법
대하여 소개해드리려고 한답니다.



비드법 단열재 (EPS)는 쉽게말해
'
스티로폼'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스티로폼을 자세히 살펴보게 된다면
작은 알갱이들이 뭉쳐져 있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그 알갱이가 '
비드'입니다.

참~ 쉽죠?!^^


현재 로이하우스에서 사용하는 SIP(구조용단열패널)에도
비드법단열재 EPS 2종 3호가 사용되고 있어요.

여기서 2종은 뭐고, 3호는 또 뭘까요?!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비드법 1종은 우리가 흔히 아는 하얀색 스티로폼(왼쪽) 입니다.

거기에 흑연 등을 첨가해 단열 성능을 강화한 것이
(오른쪽)비드법 2종 단열재인 것이죠.

비드법을 스티로폼이나 네오폴 등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특정 회사의 제품명으로, 정확한 명칭은
비드법이나 압출법으로 쓰는것이 맞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작은 알갱이들이 바로 '비드'인데요.

비드의 발포 크기의 밀도에 따라 1호 ~ 4호
등급이 나누어지며 1호의 경우에는 비드 (알갱이)가 작고
아주 다단하기 때문에 밀도가 30kg/m² 이상이 된답니다.

호수가 (4호 쪽으로)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비드는 커지고, 밀도는 낮아지게 된답니다!

쉽게말해 '종'은 숫자가 클수록 좋고
반대로 '호'는 숫자가 작을수록 좋아요. 

비드법 단열재의
특징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볼까요?!

1. 단열성능(보온·보냉)이 우수합니다.
열전도율이 낮아 건축자재와 냉동실,냉장고 보온재로
가장 적합한 자재입니다.

2. 내구성이 튼튼하여 반영구적입니다.
외부 변화에 성질이 변형되지 않아
수명이 반영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차음성과 흡음성이 좋습니다.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고
내부의 소음은 흡수하여
건물의 벽과 천장에 많이 사용됩니다.

4. 공극이 많으므로 습기는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비드법(알갱이)사이사이 공극으로 습기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기초와 맞닿은 바닥은 피하여
벽과 같은 적절한 위치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 비드법 단열재가 뭔지
아시겠죠?!^^

우리 주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만큼
단가 뿐만아니라, 성능을 꼼꼼히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