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c 하루 권장량 식약청 - bitaminc halu gwonjanglyang sig-yagcheong

“과다 복용 댄 부작용”…하루·상한섭취량 제시
건식 최대함량 기준 마련키로…6월 15일 토론회

“비타민과 무기질도 필요이상 먹으면 부작용이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일반적으로 비타민 무기질은 부작용이 없는 영양소이기 때문에 많이 먹을수록 좋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과량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소비자 경고를 발령했다.

식약청은 일상식사와 강화식품, 건강기능식품을 통한 비타민 무기질의 과잉섭취를 막기 위한 조치로 한국영양학회와 공동으로 2년 간에 걸쳐 위해평가를 실시, 비타민 8종과 무기질 9종 등 총 17종의 영양소에 대한 일일권장량과 상한섭취량 등 소비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식약청은 특히 우리 국민이 가장 널리 사용하는 건강기능식품인 비타민 무기질 섭취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앞으로 건강기능식품에 들어가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최대함량 기준을 제시할 방침이다.

한편 식약청은 비타민 무기질의 위해평가를 위한 자료가 충분한 비타민 8종, 무기질 9종 총 17종의 비타민 무기질에 대한 상한섭취량을 <별표>와 같이 결정했다.


비타민·무기질의 일일권장량 및 상한섭취량
(성인남성기준)























지용성비타민


일일권장량


상한섭취량



비타민A(㎍ RE)


750


3000



비타민D(㎍)


5


60



비타민E(㎎ α-TE)


10


540






















































수용성비타민


일일권장량


상한섭취량



비타민B1(㎎)


1.2


-



비타민B2(㎎)


1.5


-



비타민B6(㎎)


1.5


100



비타민B12(㎍)


2.4


-



비타민C(㎎)


100


2000



비오틴(㎍)


30


-


나이아신(㎎
NE)


16


35㎎(니코틴산),1000㎎(니코틴아마이드)


엽산(㎍
DFE)


400


1000


판토텐산(㎎)


5


-



 



















































무기질


일일권장량


상한섭취량



칼슘(㎎)


700


2500



마그네슘(㎎)


340


-



철(㎎)


10


45



아연(㎎)


10


35



구리(㎍)


800


10000



망간(㎎)


3.5


11


요오드()


150


3000


셀레늄(㎍)


50


400


몰리브덴()


-


600


* 한국영양학회,한국인영양섭취기준위원회,2005

상한섭취량은 일상식품, 강화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모든 급원으로부터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무기질의 최대 섭취 수준을 말하며, 이중 건강기능식품은 특별히 높은 함량의 비타민 무기질 급원이 될 수 있으므로 과잉 섭취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고 필요 이상 섭취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대함량 기준 설정이 중요하다.

상한 섭취량은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비타민 무기질 최대 함량 기준 설정의 첫걸음으로, 식약청은 이를 근거로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 무기질 최대 함량을 별도로 결정하고 이와 관련한 토론회를 6월 15일 개최할 예정이다.

식약청 건강기능식품규격팀 권오란 팀장은 “이번에 발간되는 자료는 소비자가 비타민 무기질을 함유한 영양보충용 제품을 선택하고 섭취할 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전문 제조업소에게는 비타민, 무기질 영양보충용 제품을 제조하는 가이드라인으로, 행정 당국에게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관리의 지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식품음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