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배근 이란 - bog baegeun ilan

기초타설을 하고 위해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거푸집과 철근과의 피복두께는 6cm로, 상부 슬라브의 피복 두께는 5cm로 타설 계획을 잡았습니다.

콘크리트와 철근이 최상의 구조강도를 발휘해 낼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타설 전 슬라브의  피복두께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거푸집조립이 완료된 후 정확한 레벨을 확인 하기 위해

레이져레벨기를 이용해서 수평레벨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타설 전 최종 확인 작업을 합니다.

레벨도 다시 확인하고, 피복, 형틀고정 등등....

철근배근이 제대로 이루어 졌나 감리를 하고 있습니다.

D13@300 (13미리철근을 300mm 간격)을 더블(복배근)으로 배근한 모습 입니다.

위에서 보게 되면 150mm 간격으로 간격이 일정하게 배근이 잘 됐습니다.

타설이 시작되고 레미콘과 펌프카가 도킹이 된 모습 입니다.

레벨오차를 줄여가며 타설에도 많은 신경을 써 가며

콘크리트를 분산시켜 타설하도록 지시 했습니다.

어제 타설이 완료된 모습 입니다.

오늘과 내일 비가 온다고 하니 콘크리트양생에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습윤양생이 가능해져서 수화반응과 양생열조절이 잘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복 받은 현장 입니다.

CAFE

철근용어및기호2

작성자공간장식|작성시간06.12.11|조회수2,123 목록 댓글 0

1.단위중량
1)단위 중량이란 철근의 IM에 대한 무게를 말한다.
2)철근의 종류별 단위중량

1 D10 - 0.56㎏/m
2 D13 - 0.995㎏/m
3 D16 - 1.56㎏/m
4 D19 - 2.25㎏/m
5 D22 - 3.04㎏/m

2.모형의 길이구하기

사각형 - L=(x+y)x 2
삼각형 - L=(x+y)+√(x2+y2)
원 형 - L=Dxπ=Dx3.14
(π=3.14)

3.철근과 길이구하기
1)이음길이 : 철근을 이을때 겹치는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2)정착길이 : 철근을 콘크리트에 정착할 때 정착되는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3)빼야할부분 : 철근의 피복
4)인장철근과 압축철근
①인장(TENSION)이란 : 늘어나는 것을 말한다.
②압축(COMPRESSION)이란 :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 철근 산출은 정착 및 이음을 계산하고 할중 3~5%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런 모든 작업은 SHOP DRAWING (삽드로잉)에 의한 BAR LIST(바리스트)산출로 정확한 수량 및 정위치 시공으로 부실공사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5)철근의 할증
6)기초판(FOOTING)
6)기둥
7)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철근 소요량 약식계산

4.이형철근 종류 및 중량
1)SD30A(연강) - 일반 강도 철근 (D Bar)일 경우이며,철근 끝 부분의 색상은 초록색으로 표시한다.
2)SD40(고강) - 고강도 철근 (HD Bar)일 경우이며, 철근 끝부분의 색상은 노란색으로 표시한다 (일명 하이바 라고 부르기도 한다.)

5.철근의 가공작업
※모든공사가 진행되면 먼저 철근을 가공하여야 하는데, 도면에 따라 작업의 공구가 달라진다.
1)가공치수의 허용 오차
항 목 허용오차
스트랍,띠철근,나선철근 ±0.5
이형철근D25 이하 ±1.5
이형철근 D19 이상 D41이하 ±2
가공후의 전길이 ±2

2)산소 절단시 문제점
철근의 산소절단은 철근 콘크리트조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보강재의 인장강도를 저하시켜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절단기(Cutter)를 사용해야 한다.

6. 철근의 조립(배근)작업
1)조립시 필요한 공구
줄자,갈고리,다림추,조임대
2)철근의결속
두겹한번배기,8자매기,꼬인안장매기,벽매기
※결속선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20을 절반(1/2)으로 접어서 사용하면 상당히 편리하다.
3)피복두께
CO2,습기,산성가스의 영향으로 콘크리트 표면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중성화가 진행되는데 피복이 작으면 철근에 도달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결국은 녹이 팽창피복 콘크리트를 탈락노화를 촉진시킨다.
4)고임재,간격재
고임재(Bar Support),간격재(Spacer)는 조립된 철근상호간의 위치 및 피복두께의 확보나 충격,진동에 의한 배근의 흩어짐 방지를 하는것이며 특히,RC조 건물 내궁성 항상 중의 한가지 ㅇ인인피복 두께의 확보를 중요하게 생각해야한다.
5)슬래브 배근
슬래브 배근시 책임자는 시공하기전 슬래브판에 올라가 도면에 의해서 보사이 길이를 판단하고 스판마다 짧은쪽부터 먼저 주근을깔고 긴쪽은 부근으로 하여 시공에임한다.
※ 슬래브 철근 배근시 도면과 규정도니 배근을 하고 절대 복배근에 절곡을 하지말아야 한다.
6)슬래브 점검
슬래브가 끝난후 책임자 및 반장은 슬래브판을 다음 과 같은 내용을 반드시 점검한다.
가. 항상 스라브가 끝나면 다음 중 기둥을 주심도에 의해 크기를 파악하여 기둥위치를 잡았는가?
나.보 피복은 한쪽으로 모여있지않는가?
다.벽체 헌치는 잘되어 있는가?
라.슬래브 밴다가 기울어진 곳은 없는가?
마. 슬래브 고임재및 간격재에 많은 사람이 다녀도 쳐지지 않을 정도로되어있는가?
바.슬래브 철근 이음은 잘 되어있는가?
사.개구부보강은잘 되어 있는가?
아.다음 층 계단 이음길이는 충분한가?
※위점검 사항이 잘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부실의 원인이 되고 그로인해 시공업자는 큰손해를 볼것이다. 특히,기둥은 수정 작업할 경우 외관상 보기에도 흉할 분아니라,인건비의 이중부담으로 손실이 크다.
7)캔틸레버중요점
발코니에서 캔틸레버와 슬래브판에 단차이가 날 경우 슬래브근을 보 내부에 정착하여야 한다 만약 상부근을 휘어서 반대측 슬래브 상부근과 연하게 되면 상부근에 인장력이 생겨서터지게 된다, 이때 단면에서 돌출하려는 힘이 작용하므로 각부의 콘크리트가 부서지거나 크랙이 생긴다. 반드시 고임재 (Bar Support)로 상부근 을유지하여야 한다.
8) 옹벽배근
◈철근 시공방방법을 작업자가 임의로 해서는 안된다.돈면 및 시방서 규정대로 하여야 하며, 작업자가 임의로 시공을 하면 안된다. 특히,복근 웅벽배근시 주근을 세우고 그앞에 부근을 돌려서 다시 주근를 세워 부근을 돌린다면 아주 편리하다. 하지만,틀린 배근방 법이다. 옹벽에도 도면에 의하여 규정대로 배근을 하여야 합니다.

연락쳐HP:011-891-4817


다음검색

카페 검색

철근 지식 저장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반응형

전체 글

  •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상세식

    2022.04.16 by GoldenRain

  • 원형기둥과 나선철근 배근

    2022.03.31 by GoldenRain

  • 철근 가공길이의 단순화

    2022.02.10 by GoldenRain

  • 표에서 정착길이나 이음길이를 찾는 방법

    2021.04.27 by GoldenRain

  • 철근 고임재(Chair) 및 간격재(Spacer)

    2021.04.21 by GoldenRain

  • 기계적 이음(커플러)

    2021.04.20 by GoldenRain

  • 철근 용접 이음 - 가스 압접

    2021.04.20 by GoldenRain

  • 일반철근과 상부철근(블리딩현상)

    2021.04.19 by GoldenRain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상세식

KDS 14 20 52에서는 인장력을 부담하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보통 간편식과 상세식이라고 구분합니다. 여기서는 상세식을 살펴보겠습니다. 간편식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유튜브 동영상으로 내용 보기 ■ 표준갈고리를 갖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표준갈고리 만들기 ■ 압축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상세식 4.1-2 상세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간편식과 비교해보면 앞의 계수가 0.6에서 0.9로 바뀌었고, 오른쪽 아래쪽에 식이 추가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오른쪽 아래쪽에 추가된 부분을 무엇일까요? 여기서 c는 철근 간격 또는 피복두께에 관련된 치수이고, Ktr은 횡방향 철근지수를 나타냅니다. 이 상세식은 간편식보다 정착길이에..

이음과 정착 2022. 4. 16. 08:32

원형기둥과 나선철근 배근

원형기둥과 나설철근의 배근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 기둥의 구조적 역할 ▶ 구조도면에서 기둥의 표기 방법 원형기둥 원형기둥은 철근 배근을 고려해서 크기를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 장방형 기둥으로 구성된 건물에서 일정한 층만 원형기둥으로 처리한다면 장방형 기둥을 외접원으로 하는 원형기둥을 만드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래층 모서리 주근을 이어서 배근할 수 있기 때문에 철근을 배근하기가 수월해집니다. 그런데 이렇게 외접원의 형태로 원형기둥을 만들면 콘크리트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원형기둥에 보를 연결할 때는 원형기둥 중심에 맞추어 보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원형기둥은 방향성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보 주근과의 간섭을 피하는 것도 유리합니다. 그런데 보의 크기는 원형기..

부재별 배근 2022. 3. 31. 16:48

철근 가공길이의 단순화

구조기준에 적합하게 철근의 형상과 길이를 산출하면 정말 다양한 형상과 길이가 나옵니다. 보 철근상세도에서도 언급했지만, 어느 정도는 철근 가공길이를 단순화해야만 합니다. 현장에서는 mm 단위로 철근을 정확하게 절단한다는 것이 무의미하고, 또 이렇게 수치가 복잡해지면 개수도 많아지고 가공작업도 복잡해집니다. 복잡하게 많은 철근을 찾아서 배근해야 하는 것도 어려워집니다. ■ [배근 기본] - 구조도면에서 철근을 표기하는 방법 ■ [부재별 배근] - 철근상세도 - 보 300/500/700/1000 철근 가공길이를 단순화하는데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300, 500, 700, 1000단위로 맞추어서 단순화하는 것입니다. 보통 수직부재가 아닌 수평부재인 보나 슬래브에 단순화를 적용합니다. 위에 있는 도면..

부재별 배근 2022. 2. 10. 10:06

표에서 정착길이나 이음길이를 찾는 방법

철근의 정착길이를 구하는 식이나 이음길이를 구하는 식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구조도면에서는 표의 형태로 각각의 값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표를 보고 해당하는 값을 잘 찾기만 하면 되는데 표가 복잡한 경우도 있어서, 이 값을 어떻게 찾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이음과 정착] -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이음과 정착] - 표준갈고리를 갖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이음과 정착] - 인장 이형철근의 이음길이 표에서 이음길이를 찾는 방법 사실 이음길이는 정착길이를 산정하는 방법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이음길이를 찾는 방법이나 정착길이를 찾는 방법이나 모두 동일합니다. 따라서 이음길이를 찾는 방법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조도면마다 일반주기사항을 작성하는 방법은 차이가 있습니다. 작성 방법이 ..

이음과 정착 2021. 4. 27. 10:31

철근 고임재(Chair) 및 간격재(Spacer)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탄산화때문에 철근이 녹스는 것을 막기 위해 피복두께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피복두께를 유지하려면 철근을 고임재로 받치거나 간격재를 끼워서 배치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철근 고임재와 간격재의 배치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 탄산화(중성화)와 철근 부식 ▶ 철근의 순간격 철근 고임재 및 간격재의 배치 기준 철근 고임재는 기초나 슬래브, 보 주근처럼 횡방향 철근을 받치는 자재를 지칭하고 간격재는 기둥이나 벽체에 끼워서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속 부재를 말합니다. 철근 고임재와 간격재는 철재, 모르타르재, 플라스틱 등이 사용됩니다. 철근 고임재 및 간격재의 수량 및 배치 표준(표준시방서)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부위 종류 수량 또는 배치 간격 기초 강재, 콘크리트 8개/4m²..

배근 기본 2021. 4. 21. 23:45

기계적 이음(커플러)

철근 이음은 보통 겹침 이음(lap splice)으로 하지만 다른 방법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서는 D35를 초과하면 겹침이음을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또 철근 가격이 상승하면 겹침 이음의 경제적 손실이 커져서 다른 방법을 쓰는 것이 더 나을 때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기계적 이음(Mechanical splice)을 살펴보겠습니다. ▶ 인장 이형철근의 이음길이 기준▶ 용접 이음 - 가스 압접 기계적 이음(mechanical connection)은 나사식 이음, 충전식 이음, 압착식 이음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라도 성능기준은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의 125% 이상을 발휘해야만 합니다. 나사식 이음철근 단부에 나사 가공을 해서 커플러(c..

카테고리 없음 2021. 4. 20. 07:03

철근 용접 이음 - 가스 압접

겹침이음을 하지 않고 기계적 이음(Mechanical connection)이나 용접 이음으로 철근 이음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용접 이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가스 압접 이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인장 이형철근의 이음길이 ▶ 기둥 철근의 정착과 이음 가스 압접 가스 압접은 이음할 철근의 양단면을 가열하면서 용착하는 방법입니다. KS 기준에서는 SD600 이하의 철근 및 SD400W와 SD500W에만 적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철근 재료] - 강재의 기본적인 특성 ▶ [철근 재료] - 철근의 종류(형상과 재질) ▶ [철근 재료] - 철근의 종류(지름와 길이) ▶ [철근 재료] - 철근의 표시 방법 작업 순서를 보면 압접할 철근의 양면을 그라인더 등으로 면처리해서 매끄럽게 갈아냅..

이음과 정착 2021. 4. 20. 06:35

일반철근과 상부철근(블리딩현상)

철근은 콘크리트 속에 묻힌 채로 힘을 발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와의 결합상태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철근의 정착길이를 계산할 때도 상부철근처럼 철근 하부에 공극이 생기기 쉬워서 콘크리트가 잘 채워지지 못할 경우에는 정착길이를 더 길게 산정해야만 합니다. 이것은 블리딩때문인데 이 블리딩현상을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정착의 개념 ▶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 블리딩(Bleeding) 블리딩현상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현상입니다. 콘크리트는 아직 굳지 않은 유동적인 상태로 거푸집 속에 채워집니다. 콘크리트에 채워넣으면 일이 다 끝난 것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콘크리트는 아직 굳지 않은 반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구성성분이 가만히 있지 않고 변화가 생깁니다. 다음 사진..

이음과 정착 2021. 4. 19. 22:58

추가 정보

인기글

  1. -

    -

    구조 도면 약어 정리표

    2021.01.24 20:43

  2. -

    -

    구조도면에서 철근을 표기하는 방법

    2021.04.17 10:06

  3. -

    -

    슬래브 배근

    2021.02.27 05:01

  4. -

    -

    인장 이형철근의 이음길이

    2021.01.29 08:29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

TISTORY

철근 지식 저장소 © Magazine Lab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