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블록체인 오픈 소스 - C beullogchein opeun soseu

블록체인공화국(ROB-RepublicOfBlockchain)⑧
최영규 미디움 수석 설계자(Chief Architect)

◇오픈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

리눅스 재단(LF)과 미국 보험 서비스 협회(AAIS)는 지난 2021년 4월 12일 OpenIDL(Open Insurance Data Link platform)이라는 공동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번 오픈소스 프로젝트에는 하노버(The Hanover), 셀렉티브 보험 그룹(Selective Insurance Group) 등 주요 글로벌 보험 회사뿐만 아니라, 모비(MOBI - Mobility Open Blockchain Initiative)라는 블록체인 기반의 모빌리티 표준화 단체, 체인야드(Chainyard)라는 블록체인 비즈니스 솔류션 기업, 캣리스크(KatRisk)라는 데이터 모델링 기업 등 기술 및 서비스 제공업체들도 참여하여, 보험 업계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공유하기 위한 공통 DLT(분산원장기술) 플랫폼을 오픈소스 형태로 개발하기로 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가 기여한 바는 이루 다 나열할 수 없을 정도이나, 특히 OSS의 대명사 격인 리눅스의 공헌은 막대하다.  OSS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임은 심지어 반 OSS의 선두였던 마이크로소프트(MS)의 사티아 나델라가 CEO로 취임한 후, 2014년 ‘MS는 리눅스를 사랑합니다’라고 한 선언에서도 잘 나타난다.  MS의 리눅스 사랑은 깃허브를 인수하면서 가속도가 붙었다.  이러한 리눅스 운영체계(Operating System)의 글로벌 거버넌스 및 연관된 중요 프로젝트들을 리드하는 곳이 리눅스 재단이다.  IBM 등이 개발하여 OSS화한 블록체인 기술 하이퍼렛저가 둥지를 튼 곳도 이 리눅스 재단이다.

◇오픈소스와 집단지성, 그리고 블록체인

이미 많은 블록체인 과제들이 깃허브에 소스코드를 공개하므로 OSS의 형태를 띠고 있고, DeFi는 특히 오픈소스 파이낸스 형태로 광폭 진화하고 있지만, 엄밀하게 보면 OSS의 역사에서 잘 검증된 오픈소스 거버넌스를 충실히 고려하고 있지는 않은 것처럼 보인다.  특히, 오픈소스에 들어있는 지적재산권(IP)과 라이센스 규칙들이 잘 지켜지지 않거나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필자는 지난 컬럼에서 ‘모방과 연결(Imitation and Link)’이 호모사피엔스의 특성이고 생존방식이기도 하다고 살펴보았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만큼 이 ‘모방과 연결’의 모습이 잘 드러나는 곳도 드물 것이다. OSS는 그 자체로 전 지구적으로 연결된 ‘집단현실’인 것이다.  이 집단현실에서 ‘집단지성’이 드러나고 발전해왔다.  이 집단현실의 커뮤니티 구성원들 행동방식은 개방성과 동등계층생산 참여와 정보 및 방법론의 공유와 세계화된 행동으로 나타난다.

개방성으로 말미암아 표준화와 오픈 API가 가능해져 더욱 발전해왔고, 그것은 급속한 과학적 기술적 진보에 기여했다. 참여가 미덕이 되는 동등계층생산(Peering)은 능력면에서 좀 더 수평적 구조를 형성하여, 동료검토와 투명성이 수월해져서 복잡성의 감소와 중복의 최소화를 가져왔다.

공유(Sharing)는 사용자와 고객을 단순 소비자가 아니라, 동반자이고 기여자 또는 생산자도 되게 하는 풍토를 조성했다. 세계화된 행동의식은 대부분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동이 인터넷 위에서 나타나기에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활동이 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그 파급력 또는 영향력이 순식간이고 막강할 수 있다는 자각심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오픈소스 활동은 개방적 협력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왔다. 오픈소스 활동은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도 했고(Enabler), 투명성으로 더 나은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Security), 혁신의 견인차(Innovator)가 되는 경우도 많았고, 융합과 창조의 촉매재(Catalyst)가 되었으며, 참여.공유.개방.집단학습 분위기와 협력의 문화(Culture)를 형성하는데도 기여했다.  미국과 한국에서 반 평생을 오픈소스 관련 활동을 했던 필자는 수 많은 위의 사례들을 보고 체험했지만 지면 관계 상, 실례들은 여기에서 생략한다. 다만, 필자에게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현재의 많은 글로벌 과제들에서도 이러한 성공 사례들을 보고 싶은 꿈이 있다.

◇하이브리드 거버넌스와 협력적 탈중앙화

현실의 거버넌스라는 괘종시계는 그 추(pendulum)가 ‘중앙화’와 ‘탈중앙화’ 사이를 오가면서 돌아간다.  중앙화와 탈중앙화는 배타적인 것도 아니고, 어느 한 쪽이 다른 한쪽보다 우수한 것도 아니다. 탈중앙화되는 것의 내부 하나 하나 개체는 중앙화되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중앙화되어 있는 것의 내부에도 자율적이고 탈중앙적인 많은 개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거버넌스에도 하이어라키(Hierarchy;계층)와 세분성(Granularity)의 이슈가 있고, 본질적으로도 하이브리드 성격이 있다.  오히려 하이브리드 거버넌스가 중앙화에서 일어날 수 있는 획일성 위험과 탈중앙화에서 초래될 수 있는 혼란과 비효율의 위험을 극복하여, 다양성과 질서라는 하모니를 더 잘 이루는 것처럼 보인다.  근본주의적 탈중앙화 이상주의는 우리가 발붙이고 사는 현실과 이것이 확장현실화 한 메타버스에는 잘 맞지 않는 듯하다.  하이브리드 거버넌스를 블록체인 과제들에 적용해서 본다면, 퍼블릭 블록체인들과 호환할 인터체인(IBC) 레이어를 장착한 컨소시엄 블록체인들이 오히려 현실적인 비즈니스 솔루션에 더 적합할 수 있겠다는 얘기가 된다.

필자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거버넌스가 적용된 블록체인 생태계의 모습을 다른 자리에서 ‘협력적 탈중화(Collaborative Decentralization)’라 하였는데, 이 부분은 추후 칼럼에서 더 상세히 다루어 보려고 한다.

◇21세기의 문맹

다음 달 27일이면 이 시대의 미래학 거장 앨빈 토플러가 LA 자택에서 8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지 5년이 된다. (2016년 6월 27일)

“21세기의 문맹은 읽고 쓰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배우고, 배운 것을 일부러 잊고(unlearn), 다시 배우는(relearn) 능력이 없는 사람일 것이다.” (The illiterate of the 21st century will not be those who cannot read and write, but those who cannot learn, unlearn, and relearn.)  그분의 이 말을 되새겨 보는 요즈음이다.

더 무서운 것은 이 시대가 기술의 진보와 포용적 문화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성찰과 분별을 상실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삶에서 실패를 많이 경험한 현자들이, 그리고 어른들이, 급변하는 이 시대를 두려워 말고 이 흐름 속으로 나와야 하는 이유이다.

우리 후손들은 어떤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인가?

저작권자 © 블록체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 통해 성장하는 블록체인

- Open UP -

  • 기업들이 블록체인 솔루션을 구축하기 위해 가장 선호하는 기술은 리눅스기업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하이퍼레저, 글로벌 100대 기업중 약 26% 사용중.
    1. 전 세게적으로 비지니스 거래가 수행되는 방식을 변혁할 수 있는 분산 원장에 대한 산업 표준에 중요한 기능들을 확인하고 적용하여 블록체인을 발전시키기 위한 협력 프로젝트
  • 다양한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활성화로 블록체인 기술들이 성장.
    1.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 블록체인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성장으로 다방면으로 활용하며 대중화에 필요한 기술적이고 제도적인 기반을 추구함.

□ 기업들, 여러 블록체인 사용 그 중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하이퍼레저가 1위. 하이퍼레저는 리눅스재단이 이끌고 있는 오픈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음.따라서 대표 오픈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 하이퍼레저, 폴카닷, 클레이튼 3가지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블록체인 기술 발전 동향을 소개함.

  • 블록체인은 크게 퍼블릭과 프라이빗으로 나뉘고 그중 기업들이 주로 사용하는 블록체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임.
    1. 하이퍼레저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기업 비지니스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며 특정 비지니스 모델에 특화된 타 플랫폼과 달리 여러 산업에 범용적으로 도입 가능한 기술 표준을 제시.
    2.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반이며 누군가의 동의나 승인이 없어도 누구든지 인터넷에 연결된 pc, 노트북, 서버를 이용해 참여할 수 있고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음. 그러나 인증 안된 참여자들도 악의적 목적으로 접근이 가능해 문제가 야기됨
    3.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허가 받은 사람만 블록체인에 참여할 수 있음. 그러므로 소수의 사람이 참여하기 때문에 기밀성이 강화된 모델이고 신뢰 할 수 있는 사람만 참여하여 빠른 속도로 이용 가능하여 기업에서 많이 사용함. 대표적으로 하이퍼레저 패브릭이 있음.

        

하이퍼레저의 프레임워크와 개발도구

출처: //blog.lgcns.com/2561

  • 트랜잭션 처리속도와 블록체인의 효율성을 높인 오픈소스 기반 하이퍼레저
    1. 하이퍼레저는 리눅스 재단 주도로 IBM 및 다양한 기업과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한 개발자들이 주도 *Node js, JAVA, Golang 등 개발언어 사용
    2.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특성을 살려 정보 보호와 공개 수준에 따른 서비스나 기업 내부 프로젝트를 구축
    3. 모듈식 기능 합의 알고리즘, 스마트 계약, 암호화폐 발행 등 다양한 기능 연결 가능

 

하이퍼레저 패브릭 트랜잭션

출처 : //github.com/IBM-Blockchain-Archive

    1. 하이퍼레저 패브릭 오픈소스 주요 기능
      1. 패브릭구조는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으로 개발됐지만 개방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도 사용 가능.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도록 기능 모듈 단위로 개발돼 기능 추가와 변경이 쉬움.

      2. 이더리움 체인코드에서 상태 값에 변화를 주고, 원장에 업데이트를 하는 로직에 해당 함. 권한에 따라 한 네트워크에 있더라도 접근할 수 있는 체인 코드가 다름.
        합의 알고리즘은 특정 조건에 의해 승인된 업데이트만을 선택해서 체인 코드를 실행또한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발생하면 순서에 맞게 배열을 수행하고 오류가 없는 경우에만 실제 원장에 반영.

        하이퍼레저 패브릭 구조

        출처 : //m.koita.or.kt


      3. 하이퍼제러 패브릭 네트워크는 오더링 서비스(O), 네트워크 정책(NP),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A), 애플리케이션을 소유한 네트워크 참가 조직(RD)으로 구성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에서 사용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대신해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는 오더링 서비스를 사용함.

      4. 오더링 서비스에서는 네트워크 내의 채널에 대한 구성 정보를 소유하여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 역할을 하며 오더링 서비스에서는 채널 정보가 포함된 블록을 생성함

        *오더링 서비스 채널은 네트워크 내 컴포넌트 간의 전용 통신을 의미함. 채널 설정값에 따라 추가 인증 과정 후에 가입이 가능함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출처 : //m.koita.or.kr

□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음.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방면으로 활용됨.

  • 폴카닷은 Parity Technologies와 Web3재단에서 운영하며,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인 Garvin wood가 주도하는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임.
    1. 폴카닷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프로젝트로 체인 간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2. 폴카닷은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가진 느린 트랜잭션 처리속도, 제한적인 확장성, 거버넌스 문제, 블록체인 간 상호연동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폴카닷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들

출처 : //blog.naver.com/mage7th

  • 오픈소스 프로젝트 폴카닷의 대표적인 5가지 특징

    1. 상호 운용성, 어떤 종류의 데이터, 토큰 및 자산도 전달이 가능함.

    2. 확장성, 병렬 네트워크에 트랜잭션을 보냄으로써 우수한 확장성을 제공함.

    3. 간편한 블록체인 구축, 블록체인 구축 프레임 워크를 활용한 간편한 블록체인 구축이 가능.

    4. Forkless 업그레이드, Fork 없이도 업그레이드 및 적용 가능.

    5. Pool security, 다수의 체인이폴카닷 검증에 의해 확인

  • 폴카닷은 확장 가능한 이종 멀티체인 오픈소스

    1. 릴레이 체인 중심으로 수많은 파라체인을 독립적으로 돌아가며, 그만큼 많은 양의 거래를 처리할수 있어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음.

    2. 폴카닷은 네트워크 안정성 유지를 위해 검증자, 콜레이터, 지명자, 감시자 4종류의 참여자 역할이 존재함.

폴카닷 역할별 기능 및 담당 범위

출처 : //www.spri.kr

  •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Klaytn은 엔터프라이즈급 안정성을 목표로 고도로 최적화된, BFT 알고리즘 기반 퍼블릭 오픈소스 블록체인임. 대표적인 특징은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요소인 탈중앙화를 다소 포기하더라도 대중화에 피룡한 기술적이고 제도적인 기반을  추구함.

    1. 클레이튼은 메인체인의 경우 최소 4000TPS 이상의 성능을 보이고 1초 블록생성 시간과 즉각적인 트랜잭션 완결성을 보장하는 등 타 블록체인 플랫폼에 비해 높은 성능과 우수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음.

    2. 클레이튼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때 고정적인 수수료를 부과하여 이더리움의 1/100수준으로 저렴한 가스비를 부과하여 기존의 이더리움과 같은 Solidity Contract를 지원하여 이더리움의 제품을 클레이튼에서 쉽게 포팅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빠른 개발이 가능하며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식의 주소를 계정 주소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사용성을 높임.

    3. 클레이튼은 서비스 중심의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전 세계 수백만 사용자를 위한 블록체인 대규모 사용화를 목표로 함. 다양한 분야의 기업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구성원을 늘려간다는 방침으로 운영하는 만큼 다방면으로 활용됨.

    4. 클레이튼의 서비스 파트너를 보면 게임, 푸드, 의료, 스포츠, 반려동물 등 42개의 다양한 분야의 기업 파트너십을 맺고 다방변으로 활용중임. 대표적으로 WEMIX, 블록펫이 있음.

클레이튼 서비스 파트너 블록펫

출처 : //cdn.hkbnews.com/news/photo/201903/

□ 주목할 만한 월간 이슈(7월)

  • (SW) 오픈소스 기술 논쟁에 휘말렸던 데이터브릭스가 델타 레이크 API를 오픈소스화
    1. 데이터브릭스는 핵심기술인 델타 레이크를 오픈소스 기술이라고 홍보했는데, 델타 레이크가 상용 소프트웨어에 가깝다는 비판을 받아 논쟁중 델타레이크를 오픈소스화 함.

      *아파치 아이스버그 같은 오픈소스 기술이자 새로운 경쟁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경쟁 구도가 심화되고 있음.

    2. 오픈소스 ML옵스, ML플로우 2.0 공개

      *ML플로우 2.0은 ML플로우 파이프라인을 제공하면서 모델 유형을 활용해 미리 정의된 템플릿을 제공, 데이터 과학자는 별도의 프로덕션 엔지니어 지원 없이 모델을 좀 더 빠르게 개발할 수 있음.

  • (보안)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의 보안,관리 기능 강화한 최신 RHEL 9.0 공개.
    1. RHEL 9.0의 코드명은 '플로우(Plow)'다. RHEL 8.0 대비 큰 폭의 업그레이드로, 이를 이용하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컨테이너를 더 쉽게 테스트하고 배포할 수 있음.

      * RHEL은 코드를 프로덕션으로 옮기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위한 최적의 운영체제다. RHEL 9에는 LLVM, glibc 2.34, binutils 2.35가 포함된 GNU 컴파일러 컬렉션(GCC) 11.2.1이 포함,링크 타임 최적화(LTO)가 기본적으로 활성화돼 실행 파일을 더 작고 효율적으로 만듬.

    2. RHEL 9는 SSH를 사용한 루트 사용자 암호 인증에 대한 더 강력한 제어 기능도 제공한다. 기본적인 암호를 사용한 루트 사용자 로그인을 비활성화해 서버 보안을 강화

      * E리눅스(SELinux)의 업데이트된 클래스, 권한, 기능은 리눅스 커널 보안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RHEL 9에포함, RHEL 9는 암호화 라이브러리 및 프로세스를 개선해 웹 통신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강화하는 오픈SSL 3.0.1을 사용.

  • (플랫폼) 한국 HPE는 ‘HPE 디스커버 2022’에서 레드햇이 HPE 그린레이크(GreenLake) 생태계에 합류한다고 발표
    1. 양사는 신규 HPE ITaaS(IT-as-a-Service) 제품과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 Shift),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ed Hat Enterprise Linux) 및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Red Hat Ansible Automation Platform)과 같은 레드햇의 오픈소스 기술을 결합해 HPE 그린레이크 플랫폼에 심리스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

      *HPE 그린레이크 엣지-투-클라우드 플랫폼과 레드햇의 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기술 결합은 비즈니스 성과를 가속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신속한 기술 솔루션에 대한 IT 기업의 니즈를 해결할 수 있다고 업체 측은 설명

    2. 이번 결합을 통해 양사는 비용과 복잡성을 줄이는 반면 다양한 IT 환경에서의 향상된 안정성과 성능을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급 오픈소스 솔루션을 통해 중견기업, 엔터프라이즈 및 정부 기관이 자사의 IT 조직을 현대화하고,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 혁신의 힘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

  • (AI) 메타플랫폼스(Meta Flatforms)가 200개의 언어를 번역하는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의 막바지, 향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 소스로 공개할 예정
    1. AI 전문가들은 이번 모델의 번역이 완벽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아프리카어, 인도어 등 현재 상용되는 기계번역 도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지원되지 않는 언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는 평가

    2. 번역기를 이용하면, 저자원 언어권 사용자들은 더 많은 온라인 미디어와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언어보존의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 (클라우드) 행정안전부는 2026년까지 1만9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할 계획
    1.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은 다양하고 긴급한 행정수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정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민간 클라우드 기술과 서비스를 공공에 도입하는 게 목적.

      *국산 소프트웨어(SW) 사용률 제고, 운영비 절감, 탄소배출 저감 등 기대 효과 또한 다양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민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 촉진,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이용 안내서 배포 등을 통해 공공 분야 클라우드 도입을 확대할 방침

□ 시사점

  • 하이퍼레저에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성하는 패브릭 이외에도 다양한 오픈소스 블록체인 구성 플랫폼이 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 플랫폼과 연동이 가능한 관련 라이브러리 및 도구 프로젝트도 계속해서 개발 및 성장하고 있음

  • 현재 다양한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의 진행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점점 발전함으로서 금융쪽 외에도 대중화 되어 점점 일반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까지 나아갈 정도로 성장중임.

※ 참고 Reference

  • 기업 서비스에 딱! 프라이빗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LG CNS, 2021.04.21.
    //blog.lgcns.com/2541
  • 하이퍼 래저 패브릭, 2022.07.11.
    //koreapy.tistory.com/1584
  • 오픈소스 블록체인 기술 동향
    //weekly.tta.or.kr/weekly/files/20210021030036_weekly.pdf
  • 폴카닷이란?
    //talken.io/tokens/DOT/forum/post/308398
  •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 동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09.13
    //spri.kr/posts/view/23301?code=data_all&study_type=industry_trend
  • IBM-블록체인-아카이브
    //github.com/IBM-Blockchain-Archive
  • 데이터브릭스, 델타 레이크 API 오픈소스로 개방…아파치 아이스버그 견제, itworld, 2022.06.29
    //www.itworld.co.kr/news/242529
  • RHEL 9 리뷰 | 보안ㆍ관리 기능 강화한 기업용 리눅스 대표주자, itworld, 2022.07.13
    //www.itworld.co.kr/news/244434
  • 메타, 전세게 200개 언어 번역하는 AI 개발... 오픈소스도 공개, 디지털데일리, 2022.07.07
    //m.ddaily.co.kr/m/m_article/?no=241707
  • 공공 클라우드 전환, 정부 서비스 혁신 '단비' 내렸다, etnews, 2022.06.30
    //www.etnews.com/20220629000043
  • 프렌들리AI, 130억 매개변수 활용 딥러닝 언어모델 공개, 넥스트데일리, 2022.06.08.
    //www.next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708
  • HPE, 레드햇과 협력해 HPE 그린레이크 생태계 확장..."오픈소스 IT 스택 제공", itworld, 2022.06.29
    //www.itworld.co.kr/news/242389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