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 맥박 호흡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he-on maegbag hoheub hyeol-ab-e yeonghyang-eul michineun yoin

핵심기본간호술기 첫 번째 : 활력징후(Vital Sign, V/S[체온, 맥박, 호흡, 혈압]) / 이론편

오늘 다루는 내용은 핵심기본간호술기 첫번째 활력징후(Vital Sign) - 이론편 입니다.

활력징후 측정(Vital sign, V/S)

수행난이도 :

성취목표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측정결과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관련 선행지식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의미와 정상범위.
체온, 맥박, 호흡,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필요장비 및 물품
초침이 있는 시계.
전자 체온계/고막 체온계(1회용 탐침 덮개).
아네로이드 혈압계.
청진기(교육용 청진기 준비).
소독솜.
손소독제, 간호기록지, 쟁반(Tray).
 
수행시간 : 10

1.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의미와 정상범위

활력징후 : 체온(Temperature)

인체의 열 생산과 소실 사이의 균형을 나타내며, 열의 측정 단위는 도(degree, ‘C)이다.

심부체온(Core Temperature)
두개골, 흉곽, 골반강과 같은 인체의 심부조직의 온도.

표면체온(Surface Temperature)
피부, 피하조직, 지방의 온도. 심부체온과 대조적으로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좌->우 : 액와,구강 체온계 / 고막체온계 / 직장체온계

구강
설하 부위에 측정을 한다. 신생아, 혼돈 및 무의식 환자, 협조가 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금기이다.

액와
신생아들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우선적인 부위로 선정된다. 구강염증환자, 구강수술환자, 비강수술로 인해 구강으로 호흡하는 환자, 이성이 없는 대상자, 다른 부위의 체온측정이 금기된 대상자들은 액와로 체온을 사정한다.
 

직장
가장 정확한 심부체온의 측정부위이며, 신생아 체온 측정부위로 흔히 사용되어 왔다. 신생아의 경우 직장천공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되며, 직장 수술 및 설사, 직장질환을 가진 대상자들에겐 금기이다.


고막
체온조절 중추가 있는 시상하부와 동일한 동맥으로부터 혈액공급을 받고 있어 심부온도 측정을 위한 가장 좋은 부위로 선정되어 있다. 측정이 용이하고 빠르며, 측정시간이 짧아 비용 효과적이나, 대기온도나 귀의 상태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이마
영아와 어린이들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침해적인 측정이 필요없는 곳이다.

측정부위에 따른 정상범위

체온(Temperature)에 따른 Care Plan

활력징후 : 맥박(Pulse)

심장의 좌심실의 수축에 의해서 말초동맥에서 촉진되는 혈관의 박동이다.

성인의 정상범위는 60~100/min.

빈맥(Tachycardia) : 비정상적으로 상승된 심박동률로 100/min 이상이다.
서맥(Bradycardia) : 60/min 이하이다.

측정부위

① 측두동맥(관자동맥, Temporal Artery)
② 안면동맥(얼굴동맥, Facial Artery)
③ 경동맥(목동맥, Carotid Artery)
④ 상완동맥(위팔동맥, Brachial Artery)
요골동맥(노동맥, Radial Artery)
⑥ 대퇴동맥(넙다리동맥, Femoral Artery)
⑦ 슬와동맥(오금동맥, Popliteal Artery)
후경골동맥(Posterior Tibial Artery)
⑨ 족배동맥(발등동맥, Dorsalis Pedis Artery)

요골맥박(Radial pulse)
요골 또는 엄지손가락이 있는 팔목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가장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부위이다. 맥박을 촉지하는 방법은 가운데 세손가락 혹은 두 세 번째 손가락을 사용하여 1분간의 횟수를 측정한다.맥박리듬이 규칙적이면 30초 동안 측정하여 곱하기 2를 한다.
 

심첨맥박(Apical pulse)
심음을 청진하는 것으로 좌측 쇄골 중앙선과 4~5번째 늑간이 만나는 점 위에서 청진기를 사용하여 1분간 측정한다. 영아나 어린아이들에게는 심첨맥박이 맥박률을 사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부위이다.
요골맥박에 이상이 있으면 심첨맥박으로 꼭 확인해야 한다.
심혈관계 질환과 심장에 이상이 있는 대상자는 심첨맥박이 심장기능을 파악하는데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연령별에 따른 정상범위

활력징후 : 호흡(Respiration)

생체가 산소를 섭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을 말한다.
뇌의 연수(medulla oblongata)에 있는 호흡중추와 폐의 정상적 기능에 의해 조절되며 2가지 과정이 관련된다.

외호흡(External respiration) : 폐와 환경사이의 이동.
내호흡(Internal respiration) : 헤모글로빈과 단세포의 사이의 세포수준에서의 산소이동.
 
호흡측정은 대상자가 측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도록 해야 정확한 호흡수가 측정된다.
보통 대상자의 팔목에 손을 댄 채로 맥박을 측정한 바로 직후 계속해서 대상자의 가슴의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호흡을 측정하는 것이다. 호흡이 규칙적이고 편안하다면 30초동안 호흡수를 측정한후 2를 곱한다. 호흡수가 불규칙적이고 잡음이 있다면 1분 동안 호흡수를 측정해야 한다.
 

성인 정상은 12~20/min이다.
빠른호흡(tachypnea) : 비정상적으로 호흡율이 빠른 호흡이며 20/min 이상이다.
느린호흡(bradypnea) : 12/min이하인 호흡을 말한다.

연령별에 따른 정상범위

활력징후 : 혈압(Blood Pressure)

심장에서 혈관벽을 향하여 혈액이 흐르는 힘을 말한다.정상 심장주기 동안 혈압은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을 나타낸다.

최고혈압은 좌심실이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수축기 동안 일어나므로 수축기압(Systolic blood pressure)이라고 하며, 정상성인에서의 평균 수축기압은 120mmHg이다.

최저혈압은 심실이 이완되는 이완기 동안 일어나므로 이완기압(Diastolic blood pressure)라고 하며, 정상성인에서의 평균 이완기압은 80mmHg이다.

수축기압/이완기압 순서로 기록한다. ex) 120/80mmHg.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의 차이를
맥압(Pulse pressure)이라 한다.
혈압이 120/80mmHg이면 맥압은 120-80=40mmHg이다.
평균압은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의 합을 둘로 나눈 수치이며 혈압이 120/80mmHg이면 평균압은 100mmHg이다.
 
혈압의 생리적 기전

혈압은 심박출량(Cardiac output)과 말초혈관저항(Resistance)의 산출치를 나타낸다. [BP = CO × R]
심박출량은 CO = HR(Heart rate) × SRV(Stroke Volume)

1) 일회 박출량
심장에서 박출되는 혈액량이 증가하면 혈압은 상승한다. 반대로 심장으로부터의 박출량이 감소되면 혈압이 하강된다.
 
2) 말초혈관 저항
혈관의 직경이 작을수록 혈류에 대한 말초혈관 저항은 더 커진다. 혈관이 이완되고 혈관저항이 떨어지면 혈압도 떨어진다.

3) 혈액량
심혈관계 내로 순환되는 혈액량은 혈압에 영향을 준다. 혈량이 증가하면 동맥벽내에 더 많은 압력이 발생한다. 정맥 내로 수액을 빠른 속도로 주입하면 현저히 혈압이 올라가고, 출혈이나 탈수로 순환 혈량이 저하되면 혈압이 떨어진다.
 
4) 혈액점도
혈액의 점도는 혈액의 진한 정도를 뜻하며 혈액내 적혈구의 비율인 Hematocrit으로 결정된다. Hematocrit이 올라가고 혈류가 느려지면 심장이 심박출량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있어 동맥계통 내에 압력이 형성된다. Hematocrit 상승이 특징인 다혈구혈증(Polycythemia)에서도 혈압이 상승된다.
 
5) 동맥의 탄력성
동맥벽은 보통 탄력성이 있고 쉽게 팽창된다. 동맥내의 압이 상승되면 혈관벽이 직경도 증가된다. 동맥의 신축성은 혈압의 폭넓은 오르내림을 방지하게 된다.
탄력성이 감소되면 혈류에 대한 저항이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해 좌심실이 박출량을 방출할 때 동맥벽을 강한 힘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혈압은 상승한다.

혈압 측정법 (청진법, 촉진법, 자동혈압계)

동맥혈압은 직접적(침습적, Direct Blood Pressure) 혹은 간접적(비침습적, Indirect Blood Pressure)으로 측정하게 된다.

직접적 측정밥법은 동맥내에 가느다란 카테터를 삽입하여 전자모니터 기계에 연결한 다음 모니터를 통해 사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ABP(Artery Blood Pressure)라고 합니다. 갑작스러운 동맥출혈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에서만 사용된다.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간접 측정방법은 비침습적 혈압측정(Non-Invasive Blood Pressure : NIBP)방법으로 혈압계의 커프를 상완 혹은 대퇴에 감아 동맥에 압력을 가하였다가 서서히 배출시키면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청진법, 촉진법, 자동혈압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1) 청진법: 혈압팔의 윗쪽(상완)을 압박한 후 서서히 압박을 풀면서 청진기를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커프를 상완동맥 2~3cm 위에 감고, 그 아래 청진기를 두고, 상완동맥 주위 조직에 압력을 서서히 가해 커프압력이 120mmHg를 넘으면 동맥이 눌리고, 혈행이 멈춰 음이 청진되지 않는다.

[Korotkoff phase I] : 날카롭게 톡톡치는 소리
서서히 압력을 풀릴 때의 수축기압의 음이 처음들리는 지점.

[Korotkoff phase II] : 쉭쉭거리는 소리
커프 압력을 계속 풀어가면 여러 잡음이 들리다가, 혈관이  팽창되면서 혈관벽에 진동을 일으키는 음이 생긴다.

[Korotkoff Phase III] : 1음보다 부드럽게 톡톡 치는 소리
힘차고 더 강한음이 들린다.

[Korotkoff Phase IV] : 바람불듯이 부드러우면서 약해지는 소리
계속 압을 빼면 혈관은 이완되어 소리가 약해지는 지점.

[Korotkoff Phase V] : 소리 없음
사실상 없는 음이다.

수축기압(Systolic blood pressure)처음 Kortkoff sound가 들리는 순간의 압력
이완기압(Diastolic blood pressure) Kortkoff sound가 완전히 사라지는 순간의 압력
 
정확한 측정을 위한 준비

① 혈압 측정 전에 최소한 5분 이상 휴식을 취해야 한다.
② 혈압 측정 전에 흡연을 하였거나 커피를 마셨다면 혈압 측정시까지 30분 이상 지나야 한다.
③ 환자의 팔을 테이블 위에 편안히 올려놓는다.
④ 커프와 혈압계의 위치를 심장의 높이와 동일하게 맞춘다.
⑤ 고혈압 진단을 내릴 때에는 적어도 1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혈압을 측정한 결과치를 근거로 진단을 내려야 한다.
⑥ 적정한 사이즈의 커프를 사용해야 한다. 커프가 너무 크면 실제보다 혈압이 낮게 나오고, 커프가 너무 작으면 실제보다 혈압이 높게 측정된다. 커프의 너비가 상완 둘레의 2/3 이상 되어야 한다. 고도로 비만하거나 팔이 지나치게 두꺼운 환자의 경우 다리혈압용 커프를 사용해야 할 때도 있다.
⑦ 커프의 아래 경계는 팔꿈치로부터 2.5cm 이상 떨어지도록 위치해야 한다.
 
정확한 측정 방법

① 최대 압력수치(Maximal Inflation Level)를 얼마까지 올릴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② 손가락으로 요골동맥을 촉진하면서 커프 압력을 80 mmHg까지 빨리 올린다. 그리고 10 mmHg씩 올리면서 요골동맥의 박동이 사라지는 압력 지점을 측정한다. 그 지점을 알아낸 후 밸브를 완전히 열어놓는다. 이후 다시 밸브를 닫고 박동 소실지점, 즉 요골동맥 폐쇄지점에서 30 mmHg 높은 지점까지 커프의 압력을 높인다. (이 과정을 생략하고 180 mmHg까지 커프 압력을 올린 후 시작하기도 한다)
③ 청진기를 상완동맥 아래에 위치시킨다.
④ 밸브를 열어 천천히 압력을 떨어뜨리면서 소리를 듣는다. 압력 하강속도는 초당 2 mmHg가 적절하다. 이것은 맥박수가 분당 60(초당 1) 이상이므로 오차범위를 2 mmHg 이내로 낮추기 위함이다. 너무 빨리 내리면 실제보다 혈압이 낮게 측정될 수 있다.
⑤ 처음 Kortkoff sound가 들리는 순간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으로 기록하고 Kortkoff sound가 완전히 사라지는 순간의 압력을 이완기 혈압으로 기록한다. Kortkoff sound가 크게 줄어드는 순간이 아니라 완전히 사라지는 순간의 압력이 이완기 혈압이다.
⑥ Kortkoff sound가 완전히 사라진 후에도 추가로 20 mmHg가 내려갈 때까지 기다린다.
 
2) 촉진법 : 위 방법과 동일하나 청진기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맥박을 짚어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청진기 대신 손으로 손목의 요골동맥을 만져서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청진기를 이용한 측정이 보다 정확하고 원칙적인 측정방법이지만 주변이 소란해서 청진이 어려운 경우, 짧은 시간 동안 여러 환자의 혈압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수축기 혈압), 청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 등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원리는 청진을 이용한 측정방법과 유사합니다. 상완동맥이 폐쇄될 때까지 커프로 압박한 후 압력을 천천히 내리다가 요골동맥에서 첫 맥박이 느껴지는 순간 또는 첫 떨림(thrill)을 수축기 혈압으로 기록하는 방법, 또는 맥박이 처음 느껴지는 순간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으로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반면 촉진을 이용하여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기는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한 준비
청진을 이용한 측정방법과 동일하다.
 
정확한 측정 방법
2,3,4 번째 세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요골동맥을 촉지하는 상황에서 커프의 압력을 초당 10mmHg 정도의 속도로 천천히 올린다.
요골동맥의 맥박이 사라진 지점을 확인한다.
커프의 압력을 완전히 뺀 후 다시 압력을 가해서 먼저 요골동맥의 맥박이 사라진 지점으로부터 약 30 mmHg 더 높은 수치까지 압력을 높인다.
밸브를 열어 천천히 압력을 떨어뜨린다. 압력 하강속도는 초당 2 mmHg가 적절하다.
요골동맥에서 처음 맥박이 느껴지는 순간, 또는 처음 떨림이 느껴지는 순간의 압력을 수축기 압력으로 기록한다. 떨림이 사라지는 순간의 압력을 이완기 압력으로 기록한다.
촉진을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였을 경우에는 혈압기록 뒤에 (P)라고 써서 촉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P : Palpatory Method) : 120/80 (P)
 
3) 자동혈압계를 이용한 측정법 기계를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자가혈압측정기계는 압력을 올리면서 측정하는 상향식과 압력을 내리면서 측정하는 하향식이 있습니다. 두 방법 사이의 정확도에 대한 차이는 규명된 바 없고 두 가지 방법 모두 2 mmHg 이내의 오차율을 갖고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한 준비
이것은 청진을 이용한 측정방법과 다르지 않습니다.
 
정확한 측정 방법
측정 도중 심호흡을 하거나 숨을 멈추지 않아야 합니다. 숨을 들이쉰 채 숨을 멈추면 혈액이 폐로 많이 이동하여 순간적으로 혈압과 맥박수가 떨어집니다.
 
유의사항
집에서 자동혈압계로 측정하는 혈압은 병원에서 측정하는 것과 약 5mmHg의 오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혈압계의 오차뿐 아니라 병원이라는 환경에서 오는 긴장 등의 요소가 더해져서 발생한다. 이 때문에 대한의학회와 질병관리본부가 공동으로 편찬한 '고혈압 관리 지침서'에서는 가정에서 자동혈압계로 측정하는 경우 고혈압의 진단기준을 5 mmHg 낮춰 잡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고혈압의 기준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 90mmHg이지만, 대한의학회는 가정혈압계 기준으로는 수축기 혈압이 135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 85mmHg 이상을 고혈압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현재 보급되고 있는 가정용 전자혈압계 중 손가락 혈압계 및 손목 혈압계는 상완 혈압계보다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팔에 감는 상완 혈압계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다.
 
4) 기타

대퇴혈압사정
석고붕대, 정맥카테터 삽입 등으로 인해 상완혈압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 하지에서 혈압을 측정하게 된다. 혈압이 이상이 있을 거 같다고 판단했을 때, 상지혈압과 하지혈압을 비교하는 것도 돔이 된다. 측정방법은 대퇴에 커프를 감은 다음 무릎 뒤 오금동맥(Popliteal artery)에서 청진한다. 커프는 대퇴 중간 아랫 부분에 위치하게 하고 대상자는 엎드린 체위가 가장 좋다. 대퇴의 수축기압은 보통 상완혈압보다 10~40mmHg 가 높고 이완기압은 거의 같다.
 
소아의 혈압사정
소아인 경우 팔의 크기가 작고 측정시 불안해하거나 안절부절못하여 청진 상 문제가 된다. 5세 미만의 영아나 소아는 앙와위에서 팔을 심장 수준에 지지해주고, 큰 아이들은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어린 아이들은 환경에 예민하기 때문에 조용하고, 이완됨이 중요하다. 측정법은 성인과 동일하나 음이 매우 약해, 집중을 기울여야 한다.

혈압측정 시 흔한 오류

오류

결과

커프가 너무 넓다

낮게 읽힘

커프가 너무 좁다

높게 읽힘

커프를 느슨히 감음

높게 읽힘

압을 너무 천천히 뺌

이완압이 높게 읽힘

압을 너무 빨리 뺌

수축압이 낮게 읽히고, 이완압이 높게 읽힘

청진기를 잘 맞추지 못하였거나 공기가 있어 잘 듣지 못함

수축압이 낮게 읽히고 청진상 이완압은 높게 읽힘

압을 정확하게 올리지 않은 경우

수축압이 낮게 읽힘

검사마다 다른 korotkoff의 음을 사용할 때

수축압 및 이완압이 정확하게 해석되지 않음

팔에 힘을 주었을 때

이완압이 높게 읽힘

혈압의 변화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고혈압(Hypertension)

혈압의 가장 흔한 변화로서 이는 지속적으로 140/90mmHg를 넘는 것이 특징으로 흔히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저혈압(Hypotension)
출혈, 약물, 마취 쇼크등으로 혈압이 하강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90/60mmHg이하일 경우를 말한다.
 
직립성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보통 건강한 성인에서는 앙와위에서 직립위로 움직이면 하지에 혈액이 몰리게 되지만 자율 신경의 반사적 보상기전으로 맥박률, 심근수축력과 혈관수축이 증가되어 혈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는 보상기전이 부적합 할 때를 말한다.

연령별에 따른 정상범위

2. 체온, 맥박, 호흡,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나이
영아는 생리적 기전이 성숙되지 못하여 안정된 체온을 유지하는 능력이 없어, 환경온도의 변화에 따라 심하게 변한다.
온도조절기능은 사춘기에 도달할 때 까지 계속 변동이 심하다.
노인은 혈관운동 조절기능이 약화되고 기초대사율이 감소되며 체온조절기전이 퇴화되어서 저체온의 위험성이 있다.
근육운동은 열 생산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Ex) 장시간의 마라톤, 심한운동 등.

 호르몬의 영향
여성들이 남성에 비해 체온변동이 심한 것을 볼 수 있다. 월경주기 동안의 호르몬 변화는 체온변동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Progesterone양이 증가되어 순환혈액 체온이 0.3~0.6도 정도 오르기도 한다.


일중의 변동
일중리듬(Circadian Rhythm)에 따라 대개 이른 아침에 가장 낮다. 오후 4~6시 사이에 최고수준에 도달하며, 낮과 밤이 바뀐 일을 하는 사람일 지라도 체온곡선이 역행 하지 않는다.
스트레스
신체적, 정서적 스트레스는 체온을 증가시킨다. 교감신경의 자극으로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노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분비를 하게 되고. 그 결과 신진 대사율이 증가되어 열을 생산하게 된다.
환경
심부체온에 비교적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심하게 덥거나 추우면 체온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체온의 변화는 기온, 습도, 노출된 시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체온이 33도 이하로 떨어지면 체온조절기능이 소실되고, 25도 이하로 떨어지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맥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나이
나이가 들수록 점차 저하된다.
 
성별
사춘기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느리다.
 
운동
활동은 맥박수를 증가시키나 운동선수는 오히려 정상보다 느리다.
 

체온상승은 말초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이 떨어지므로 맥박률이 증가한다.
 
약물
대표적으로 강심제(Digitalis) 맥박수를 저하시키고, Epinephrine, 카페인 음료는 교감신경을 자극하므로 증가시킨다.
 
출혈
혈액이 손실되면 보상기전으로 심박동수가 빨라진다.
 
스트레스
교감신경 자극으로 전반적인 심장활동을 증가시킨다. 불안과 공포 같은 정서적 반응도 심한 통증을 가진 사람도 영향을 준다.
 
체위변화
앉거나 서면 정맥혈관 상태에 따라 혈액이 고이게 되어 심장으로 귀환하는 혈액량이 감소된다. 이로써 일차적으로 교감신경의 영향으로 심박동률이 증가되고 심실수축이 강해져서 정맥과 동맥의 긴장도가 증가한다.

호흡에 영향을 주는 요인

나이
성장하면서 폐의 용량이 커지므로 호흡수는 낮아진다. 하지만 노인이 되면 폐의 탄력성이 감소되므로 폐의 환기력이 떨어져 호흡수는 다시 증가하게 된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폐용량이 커서 호흡수가 낮다.
 
스트레스
정서변화는 교감신경자극으로 호흡수와 깊이를 모두 증가시킨다.
 

열이 있는 사람은 조직의 대사율이 증가되고 과잉열을 호흡계를 통해 방출시키므로 호흡수가 증가한다. 보통 체온 0.6도 상승 시마다 4회 정도의 호흡률이 증가한다고 한다.
 
체위
반듯하게 선 자세가 횡격막 움직임이 용이하여 폐환기량이 가장 크다. 그러나 구부리거나 엎드리는 자세는 가스교환에 장애를 주므로 호흡수와 깊이가 증가된다.
 
운동
운동 시 신체에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 하기 위해 호흡수와 깊이가 증가한다.
 
약물
마약성 진통제(Narcotics)와 진정제는 호흡운동을 억제시켜 호흡수와 깊이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Amphetaminecocain등은 환기량을 증가시켜 호흡수와 깊이가 상승된다. 기관지확장제는 기도의 확장을 가져와 호흡수가 느려진다.
 
흡연
만성 흡연자는 기도에 변화를 가져와 흡연을 하지 않는 휴식 식에도 호흡수가 증가한다.
 
뇌손상
뇌간(Brainstem) 장애는 호흡 중추에 손상을 주어 호흡을 억제한다.
 
고지대
지대가 높을수록 산소농도가 저하되어 호흡수와 깊이가 증가된다.

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나이
개인의 정상 혈압치는 일생을 통하여 변화된다. 성장하면서 혈압은 상승되며, 나이에 따라 혈압의 정상치는 다르다.
 
교감신경 자극
불안, 두려움, 통증, 정서적 스트레스 등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교감신경 자극은 심박동수를 증가시켜 그 결과로 심박출량이 증가되고 혈관수축으로 말초혈관의 저항이 증가되어 혈압이 상승된다.
 

사춘기 이전에는 남녀간에 혈압의 차이가 없다가 사춘기 후에는 호르몬 변화로 남자가 혈압이 더 높아진다.
 
약물
항고혈압제는 혈압을 낮추는 데 특수한 작용을 한다. 이 약들은 혈관의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교감신경억제와 심박동수를 변화시킨다. 이뇨제는 순환혈량을 감소시키므로 혈압을 낮추는 약물로 사용된다. 진정제는 과량 투여시 쇼크에 빠지게 되어 혈압이 떨어질 수 있다.
 
일중변동
보통 이른 아침에 제일 낮고, 서서히 올라가 오후 늦게 혹은 저녁에 가장 높다.
 
운동
신체운동은 심박출량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비만
유년기와 성인기의 비만한 사람은 혈압이 높아질 확률이 높다.

Reference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