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코드 채널 복구 - diseukodeu chaeneol boggu

디코에서 OTP 인증으로 계정의 보안을 높여봅시다. 디스코드에는 OTP를 이용한 2차 인증(2FA) 기능이 있습니다. OTP란 One-Time Password의 약자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뜻합니다. 이 2단계 인증 기능을 활

discordbot.tistory.com

 

서버를 삭제하면 다음처럼 디스코드에서 왜 서버를 삭제했는지 묻게 됩니다. 체크하지 않고 그냥 넘어가셔도 괜찮습니다.

 

만약 서버를 삭제한 이유를 체크하시면 피드백이 디스코드 측으로 전송되었다고 뜨게 됩니다. 이런 설문은 디스코드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므로 웬만하면 해주는 게 좋겠지요!

 

 

마치며

 

 지금까지 내가 가진 디스코드 서버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디스코드 서버를 삭제하는 대신에 서버를 남에게 전달하고 싶으시면 서버 소유권 이전에 대해 쓴 아래 글을 살펴봐 주세요!

 

🤝 디스코드 서버 소유권 이전하는 법

 디코 서버 주인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줘봅시다! 디스코드에서는 서버 소유권 이전이라는 방식으로 서버의 주인을 바꾸실 수 있습니다. 디코 서버 소유권 이전하는 방법 우선 소유권 이전을 하

discordbot.tistory.com

 

또 디스코드 계정을 삭제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은 아래를 살펴봐주세요!

 

📤 디스코드 계정 비활성화, 삭제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디코 계정을 비활성화하거나 탈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그리고 계정 삭제하거나 비활성화했을 때 어떻게 되는지 알아봅시다. 디스코드 계정 자체 비활성화 디스코드 계정 비활성화 방

반응형

디스코드에서 한 번 봤던 사진들을 캐시 몽키를 이용하여 복구해봅시다

 

 혹시 디스코드에서 저장하고 싶었던 사진이 있었는데 이미 삭제되어서 아쉬우신 적이 있으신가요? 혹은 서버 아이콘, 프사, 이모티콘을 다운받고 싶으신 적은요? 이런 문제들은 디스코드 캐시(Cache)에 대해서 알면 해결하실 수 있어요. 사용자가 올린 사진, 서버 아이콘, 프사, 이모티콘 등의 디스코드의 사진, 움짤, 동영상들은 모두 디스코드 캐시 폴더에 저장되어서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캐시란 로딩을 빠르게 하기 위해 임시로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저장해놓는 곳입니다. 디스코드에서 최근에 한 번이라도 봤던 사진들은 여기에 저장되어 다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캐시폴더의 위치는 보통 'C:/Users/(윈도우 계정명)/AppData/Roaming/discord/Cache'입니다.

 

 디스코드 캐시 폴더에 들어가 보시면 위처럼 파일들의 확장자가 전부 지워져 있어 보통의 방법으로는 보지 못합니다. 하지만 캐시 몽키(Cache Monkey)가 있다면 캐시 파일들을 변환시켜주어 손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캐시 몽키를 이용하여 보고 싶었던 사진들을 다시 찾아봅시다.

 

캐시 몽키 다운로드 받기 / 실행하기

 

cache-monkey-setup-1.0.7.exe

 

위 링크를 클릭해 캐시 몽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해주세요.

 

그럼 다음처럼 캐시 몽키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캐시 몽키가 자동 실행됩니다.

다음번에 캐시 몽키를 실행시키려면 바탕화면에 있는 캐시 몽키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캐시 몽키 사용방법

처음 캐시 몽키를 실행하시면 다음처럼 화면에 아무것도 뜨지 않을 것입니다. 여기서 Scan Cache 버튼을 눌러 디스코드의 캐시를 불러와주세요.

 

그럼 다음과 같이 디스코드의 캐시들을 불러오게 됩니다. 화면의 버튼들에 대해서 설명해보면

  • Scan Cache : 디스코드의 캐시를 가져오는 버튼입니다. 새로 불러오고 싶을 때 클릭해주세요.
  • Filetypes Discoverd : 캐시를 파일 종류별로 정리해서 봅니다. 사진을 보고 싶다면 png, jpeg, webm을 클릭해주세요. 움짤을 보고 싶다면 gif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또 동영상을 보고 싶다면 mp4를 클릭해주세요.
  • Purge Dump : 디스코드 캐시를 보기 위해 변환한 파일들(Dump)을 지웁니다. 이 버튼을 눌러도 Scan Cache버튼을 누르면 사진들이 다시 불러와집니다.
  • Purge Cache : 디스코드 캐시 파일을 지웁니다. 이 파일들을 지우면 다시 캐시파일을 불러오실 수 없습니다.
  • Purge Cache & Dump : 캐시 파일과 덤프 파일을 둘 다 지웁니다.

 

목록에서 사진을 클릭하면 사진에 대한 정보를 보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 Privious, Next : 이전, 다음 사진으로 넘깁니다. 화살표로도 넘길 수 있습니다.
  • 사진 정보 : 사진의 크기, 생성 날짜, 파일 위치를 보여줍니다.
  • Show in Dump : 캐시에서 변환된 파일이 있는 폴더를 엽니다.
  • Open File : 변환된 파일을 엽니다.
  • Quick Save : 파일을 설정한 폴더에 저장합니다. 기본값은 사진 폴더입니다.
  • Export : 설정한 폴더에 파일을 복사합니다. 파일을 원하는 곳에 저장하기에 좋습니다.
  • Big Delete : 캐시 폴더와 덤프 폴더 둘 다에서 해당 파일을 지웁니다. 이 버튼을 누르시면 다시는 이 파일을 불러오실 수 없습니다.

 

간단히 요약해서 말하자면 Scan Cache로 디스코드 캐시 파일들을 불러오고, 원하는 사진을 찾으신 다음 Export를 눌러 사진을 원하는 곳에 저장하시면 됩니다.

 

캐시 몽키 설정 방법

왼쪽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면 설정(Settings) 창이 뜹니다. 캐시 몽키에서 바꿀 수 있는 설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각각을 살펴보면

  • Dump Directory : 캐시에서 변환된 파일이 저장될 폴더를 지정합니다. 기본 값은 C:/Users/(윈도우 계정명)/CacheMonkeyDump입니다.
  • Application Cache Folders : 캐시가 있는 폴더를 지정합니다. 아래 버튼들을 눌러 추가할 수 있습니다. Choose Cache Directory를 눌러 직접 지정해줄 수도 있고, 옆의 버튼들을 눌러 구글 크롬 브라우저, 디스코드, 디스코드 카나리(알파 버전), 슬랙에서의 캐시 폴더를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 Save To Pictures Directory : Quick Save를 눌렀을 때 저장되는 폴더를 변경합니다. 기본 값은 내 문서의 사진 폴더입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캐시 몽키를 이용하여 한 번 보고 저장하지 못했던 사진들을 다시 보는 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만약 서버에서 자동으로 삭제된 사진들을 백업하게 만들고 싶다면 나중에 올라올 글을 기대해주세요!

 

혹시 디스코드 캐시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 디스코드의 비밀, 캐시 폴더 확인 및 삭제하는 법!

디코의 비밀이 담겨져 있는 캐시 파일을 확인하고 삭제하는 법!  여러분은 여러분이 디스코드에서 본 사진들과 재생한 동영상들이 모두 저장되는 캐시(Cache) 폴더의 존재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