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고시 준비기간 - haengjeong-gosi junbigigan

행정직 38.7개월…기술직 31개월 소요
평균연령, 행정직 26.8세‧기술직 26.6세

제1회 12월 21일 실시…신림중‧언남고서 시행

[법률저널=이상연 기자] 5급 공채(구 행정고시) 입문에서 2차 합격까지 평균 수험기간은 37개월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행정직의 수험기간이 기술직보다 다소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률저널이 올해 5급 공채 2차 합격자의 수험기간을 조사한 결과다.

2019년도 5급 공채 2차 필기시험(논문형) 합격자는 총 424명(행정 335명, 기술 89명)이다. 2차 합격자의 평균연령은 행정직의 경우 26.8세로 지난해(26.6세)보다 0.2세 높아졌다. 이 가운데 ‘25∼29세’가 67.2%로 가장 많았으며 ‘20∼24세’ 19.4%, ‘30∼34세’ 9.8%, ‘35세 이상’ 3.6% 등의 순이었다.

기술직은 합격자의 평균연령이 26.6세로 지난해 27.1세에 비해 0.5세 낮아졌고 ‘25∼29세’가 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24세’ 22.5%, ‘30∼34세’ 11.2%, ‘35세 이상’ 2.3% 순이었다.

이들 합격자 중 법률저널 설문조사에 응답한 2차 합격자 387명(행정 302명, 기술 85명)의 평균 수험기간은 37개월로 나타났다. 5급 공채 입문에서 2차 합격까지 평균 3년이 소요된 셈이다.

수험기간이 ‘36개월 이상 48개월 미만’이 전체 응답자의 32.6%로 가장 많았으며 ‘24개월 이상 36개월 미만’이 30.8%로 뒤를 이었다. 2차 합격자의 ‘열의 여섯’은 2년에서 4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24개월 미만’의 단기 합격자는 14.2%였으며 최단기 합격자는 10개월에 그쳤다. 이어 ‘48개월 이상 60개월 미만’ 12.4%였다. ‘60개월 이상’의 장기 합격자는 10.1%였으며 최장기 합격자의 경우 수험기간이 무려 10년에 달했다.

직군별로 보면 행정직 합격자의 평균 수험기간은 38.7개월로 기술직보다 다소 긴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직렬에서는 일반행정(전국)의 평균 수험기간은 39.5개월로 약 40개월에 달했으며 일반행정(지역)은 37.8개월이었다. 재경은 38.4개월로 일반행정보다 약간 짧았다. 교육행정은 34.4개월이었으며 국제통상은 50개월에 달했다.

행정직 수험기간 역시 ‘36개월 이상 48개월 미만’이 33.4%로 가장 많았으며 ‘24개월 이상 36개월 미만’ 30.5%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48개월 이상 60개월 미만’ 14.2%, ‘60개월 이상’ 11.6%, ‘24개월 미만’ 10.3% 등으로 나타났다.

기술직의 평균 수험기간은 31개월로 행정직보다 7.7개월이나 짧았다. 행정직과는 달리 ‘24개월 이상 36개월 미만’이 31.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36개월 이상 48개월 미만’이 29.4%로 뒤를 이었다. 특히 ‘24개월 미만’의 단기 합격자의 비율이 28.2%에 달해 행정직(10.3%)보다 배 이상 높았다. 또한 ‘48개월 이상 60개월 미만’과 ‘60개월 이상’의 장기 합격자의 비율도 각각 5.9%, 4.7%에 그쳐 행정직보다 절반 이상 적었다.

합격생들의 수험기간이 늘고 있는 추세는 PSAT의 문턱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기술직보다 행정직의 PSAT 합격선이 다소 높다보니 수험기간도 자연스레 길어진다는 것이다.

실제 올해 5급 공채 2차 합격자 중 ‘1년 이상’ 장기간 PSAT을 공부한 합격생이 지난해보다 다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법률저널 설문조사에서 ‘PSAT 준비 기간’을 묻는 질문에 행정직 2차 합격자의 55.6%가 ‘3개월 미만’이라고 답했다. 2차 합격자의 대부분은 PSAT 준비 기간이 3개월 미만으로 짧은 것으로 조사됐지만 지난해 같은 조사 결과(56.1%)보다는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SAT 단기 준비 비율은 감소한 반면 ‘1년 이상’ 장기 준비 2차 합격자의 비율은 다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경우 1년 이상 장기간 PSAT을 준비한 비율은 10.8%에 그쳤으나 올해는 무려 15.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PSAT의 문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 ‘3∼6개월 미만’이 25.3%로 지난해(26.1%)보다 소폭 감소했으며 ‘6∼12개월 미만’에서는 3.5%로 지난해(7%)보다 다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PSAT 준비 기간이 행정직은 늘어난 반면 기술직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PSAT 준비 기간을 묻는 질문에 기술직 2차 합격자의 63.5%는 ‘3개월 미만’이라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59.6%)보다 약 4%포인트 가까이 증가했으며 행정직보다 비율이 더 높았다. ‘3∼6개월 미만’은 지난해(24.5%)와 비슷한 24.7%였으며, 준비 기간이 ‘1년 이상’은 10.6%에서 8.2%로 줄었다.

한편, 이번 2차 합격자의 절대다수는 PSAT 전국모의고사에 응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직 2차 합격자의 77.4%가 PSAT 전국모의고사에 한 번이라도 응시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71.1%)보다 더욱 증가한 수치다. 응시 경험이 ‘없다’고 답한 합격자는 28.9%에서 22.6%로 줄어들었다.

기술직 합격자도 응시 경험 비율이 증가했다. 응답자의 71.8%가 응시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지난해(70.2%)보다 늘었다. 반면 ‘없다’고 답한 합격자는 29.8%에서 28.2%로 감소했다. 행정직과 기술직 모두 PSAT 전국모의고사 응시가 하나의 대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PSAT 전국모의고사에 대한 평가에서도 긍정적인 비율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직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5.9%가 ‘유용했다’고 답해 지난해(47%)보다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용하지 않았다’고 답한 비율은 고작 8%에 그쳤으며 지난해(13.9%)보다 더욱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저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39.1%에서 36.1%로 감소했다.

기술직에서는 ‘유용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52.9%로 절반이 넘었다. 반면 ‘유용하지 않았다’고 답한 비율은 14.1%였으며, ‘그저 그렇다’는 32.9%였다.

행정직 2차 합격자 가운데 약 ‘열의 여덟’은 법률저널 PSAT 전국모의고사를 추천했다. ‘PSAT 전국모의고사를 추천해 주고 싶은 전국모의고사’를 묻는 질문에 행정직 응답자의 75.3%가 법률저널 전국모의고사를 꼽아 압도적이었다.

PSAT 전국모의고사를 시행하는 학원이 늘었지만 합격생들의 법률저널 PSAT 전국모의고사 추천은 요지부동이었다. 실제 2019년도 PSAT 전국모의고사에서 누적 인원 1만6천여 명이 응시해 PSAT 전국모의고사의 기준이 되고 있다.

이에 반해 A학원 1.4%, B학원 3.5%, C학원 10.1%, D학원 0.7%, E학원 1%, F학원 8% 등으로 나타났다.

2차 기술직 합격생들의 추천도 비슷했다. 같은 설문조사에서 2차 기술직 합격자들의 ‘열의 일곱’이 법률저널 전국모의고사를 추천했다. 이에 반해 A학원 0%, B학원 5.9%, C학원 12.9%, D학원 1.2%, E학원 0%, F학원 8.2% 등으로 나타났으며 2개의 학원은 추천자가 한 명도 없었다.

이처럼 법률저널 PSAT 전국모의고사가 합격생들로부터 압도적인 추천을 받는 것은 우선, 실제 시험장에서 치러지면서 현장감을 느낄 수 있고, 문제의 퀄리티와 출제경향이 본시험과 가장 유사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른 전국모의고사와는 비교조차 안 될 정도로 모집단이 크기 때문에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2020년도 5급 공채 및 외교관후보자, 7급 견습직원 선발시험 대비 법률저널 제1회 PSAT 전국모의고사가 내달 21일 고시촌 신림중과 강남권 언남고에서 첫 테이프를 끊는다.

저작권자 © 법률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급 행정고시 합격의 비법을 샅샅이 살펴보다

  • 기자명 신유정 기자
  • 승인 2020.03.31 14:47
  • 댓글 0

“왜 행정고시를 준비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확신 있어야”

 

새롭게 선보이는 인터뷰 코너 ‘시대, 사람’에서는 지난해 제64회 5급 공채 행정고시에 최종합격한 허관(행정 12) 씨를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편집자주-

어떻게 5급 행정고시를 준비하게 됐나
고등학생 때부터 행정고시를 치르고 싶어 행정학과에 진학했다. 아무래도 7급이나 9급에 입직하면 실무적인 일을 맡게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정책에 내 목소리를 담고 싶어 상대적으로 정책에 의견을 담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5급을 선택하게 됐다.

수험기간 동안 힘든 점은 무엇이었고 그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했나
3년 반에서 4년 정도의 수험기간을 보냈다. 평균적으로 긴 수험기간은 아니었지만 수험기간이 장기화되고 ‘합격할 수 있을까’라는 불안감이 들면서 생기는 자신과의 싸움이 힘들었다. 극복하는 방법은 타고난 성격인 것 같긴 한데 ‘그냥 되겠지’라며 단순하게 생각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려고 했다. 생활패턴을 단순하게 하는 것도 수험기간 중에 생기는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도움이 됐다. 그리고 역설적이지만 수험생은 공부하는 사람이다 보니 공부를 해야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다. 행정고시를 준비해야만 하는 확신이 있었다는 점도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크게 작동했다.

▲ 허관(행정 12) 씨가 자신의 포부를 밝히며 미소짓고 있다.


5급 행정고시에 합격할 수 있었던 공부방법이 있다면
적성 검사인 1차 시험 ‘피셋(PSAT)’은 공부량을 늘린다고 해서 단기간에 점수가 오를 수 있는 시험은 아니다. ‘피셋형 인간’이라는 단어가 있을 정도로 선천적인 능력이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평소에 독서를 많이 하거나 문제 푸는 것을 즐겼던 사람이 쌓아 온 내공을 단기간에 공부한다고 해서 따라잡기는 힘들 것이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피셋형 인간이 아니기에 효율적으로 공부하려면 자신에게 필요한 강의를 골라 듣고 지금까지 나온 기출 문제를 모두 풀어봐야 한다. 수험기간이 길어지는 이유 중 하나는 1차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약 1차 시험에서 고배를 마시고 있는 수험생이 있다면 시험 준비를 계속할지 고민해볼 필요도 있다고 생각한다.
2차 시험은 각 과목 간 연계가 적어 공부할 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2차 시험을 준비할 때 가장 당부하고 싶은 점은 평소 답안 작성 연습을 해둬야 한다는 것이다. 지식적으로 내용을 알고 있는 것과 답안을 쓰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특히 처음 도전하시는 분은 답안 작성이 막막해 개념을 익힌 후에 답안을 작성하겠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더라도 다른 답안을 필사하면서 답안 작성요령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 개인적으로는 강제적으로 답안 작성을 연습하고자 스터디를 활용했다.
3차 시험은 면접으로 이뤄진다. 강조해서 말하자면 면접을 미리 준비하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수험생에게 3차 면접이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2차 시험에서 합격하신 분들이라면 2차 합격자 발표 후 면접까지 주어진 3주 동안에 충분히 습득할 수 있는 수준이다. 면접 점수는 우수, 보통, 미흡으로 나뉘어있는데 대게 보통을 주시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면접에서는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조직에 동화되지 않을 것 같은 사람이라는 인상만 주지 않으면 된다. 교내 ‘EDGE 프로그램’과 면접 스터디을 통해서도 충분히 면접을 준비할 수 있으니 면접 때문에 고민할 필요는 없다.

우리대학 고시반에도 있었다고 들었다. 수험기간에 고시반이 도움됐나
아무래도 고시반에서는 365일 24시간 사용할 수 있는 지정 좌석을 주기 때문에 이 점이 좋았다. 도서관은 사석화 문제로 책을 들고 다녀야 하는데 고시 공부를 할 때는 책이 많기에 들고 다니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분기별 지원금, 모의고사가 제공되고 2차 강의평가 및 3차 면접 특강 등이 이뤄진다. 스터디를 통해 학우들과 함께 시험을 준비할 수도 있다.
수험기간 동안 교내 고시반과 신림동 고시촌 두 군데 모두에서 공부해봤는데 어느 한 곳이 절대적으로 좋다기보다는 개인의 성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고시촌에 환상을 가지고 있는 수험생도 많을 텐데 합격을 위해 반드시 갈 필요는 없다고 말하고 싶다. 타학교에는 둘 다 병행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고, 우리대학 학우 중에서 고시촌에 가지 않고 시험에 합격하는 사람도 많았다.
고시촌에서는 실제 강의를 들을 수 있고 자료나 정보, 특강이 많다. 그렇지만 주위환경이 조용하고 삭막하기에 그런 분위기를 선호하거나 스트레스에 강한 분은 잘 맞을 것 같다. 그렇지 않다면 고시반을 추천한다. 학교에는 수험생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학생들의 일상도 볼 수 있고, 학우들과 공부하는 거라 상대적으로 마음 편히 공부할 수 있다. 요즘에는 인터넷 강의나 커뮤니티가 잘 돼있고 자료도 택배로 받을 수 있다. 그렇기에 고시반에서 공부하면 정보가 부족하지 않을까라는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행정고시를 준비하는 학우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행정고시에 도전해볼지 고민하시는 분에게는 이왕 고민하는 김에 조금 더 고민해보라고 얘기하고 싶다. 시험에 합격할 수 있을지는 부차적인 문제고 왜 많은 진로 중에 행정고시를 선택해야 하는가를 깊게 생각해보면 좋겠다. 행정고시만을 통해 갈 수 있는 길이 분명히 있다. 행정부의 공무원이 돼 정책을 보조하거나 자신의 목소리를 조금 더 정책에 담을 수 있다는 점 등에 매력을 느껴 자신의 인생을 걸어보고 싶다는 확신을 가지게 된 후에 시험을 준비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시험을 준비하겠다고 결정한 후에는 합격 가능성에 대해 상담해주실 분이 많으니까, 그 이전에 왜 행정고시여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스스로 얻었으면 좋겠다. 이렇게 확신을 가진 후에 시험을 준비한다면 준비하는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현직에서 일할 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아직 나도 현직에 가보진 않았지만 흔히 말하는 공무원의 ‘워라밸(Work-Life Balance)’은 없다고 들었다. 일의 양이 많고 강도도 세기에 운이 좋아 시험에 통과하더라도 현직에서 버티려면 행정고시를 택한 확실한 동기가 있어야 할 것 같다.
수험생활이 장기화되고 있는 분에게는 본인이 왜 안 되는지를 객관적으로 생각해보라고 말하고 싶다. 떨어지는 것에 대한 이유를 분석해보면 귀결되는 점은 하기 싫은 것을 안 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기 싫은 거 한 번이라도 하고 자고,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야 한다. 그리고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공부를 위해 쉬는 시간도 필요하다고 말하고 싶다.
아직 연수원에 들어가기 전이라 한가하기에 1, 2차 시험이나 면접 등 궁금한 사항은 메일()로 질문해주시면 답변해 드리겠다.

앞으로 어떤 공직자가 되고 싶은가
포부를 밝힌다는 것이 쑥스럽지만 국가정책에서 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에 매력을 느껴 행정고시를 준비하게 됐다. 만약 개인적인 사리사욕을 채우려고 했다면 그냥 돈을 잘 버는 직업을 선택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았기에 초심을 지키며 조직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책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싶다. 공직자가 돼 최대한 많은 사람이 다 같이 잘 사는데 기여하는 보람 있는 삶을 산다면 시험을 준비한 게 안 아깝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


글·사진_ 신유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