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등 밝기 lux - hyeong-gwangdeung balg-gi lux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조명 또는 형광등 하면 몇 와트(W) 짜리 정도로만 알고 있다.

(형광등 예: 기다란 것, 동그란 것, 몇 와트)

그런데 최근 LED조명이 부각되며 전기절약, 눈 건강에 좋다,라고 홍보한답니다.

막상 인터넷 검색으로 LED조명하니, 가격도 천차만별 모르는 용어들 즐비하고,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선택하기란 만만치 않더군요.

그래서 자료 조사 후 몇자 적어보려 합니다.

하기 포스팅은 본인이 화장실 LED조명 교체 에피소드랍니다.

//blog.naver.com/jong2nae/220301862707

  • LED (Light Emitting Diode) : 일정 전압과 전류를 공급하면 발광하는 반도체.
  • 전력 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어, 조명의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 (숫자가 높을수록 밝음)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LED스탠드는 대략 300 ~1500 lux이다. (밝기조정 가능한 제품도 있다)
  • 간단한 조도 확인 방법 (스마트폰 어플 활용)
    • Play 스토어에서 "lux meter"검색하면 여러 종류가 나온다.
    • 3가지를 받아 사용해본 결과 대동소이함.
    • 좌부터 (1.lux Meter, 2.Light-0-Meter, 3.Luxmeter)
    • 어플만 실행하면 현재 밝기를 숫자 lux로 표현해줌.
  • 보통 맑은 날 정오의 색온도가 약 5,500 k (캘빈)이라고 함.
  • 그러니 LED조명 선택 시 "5,500 k ~ 6,000 k" 가 좋겠죠.
  • 소비되는 전력량 대비 빛의 밝기량. (수치가 높을수록 좋음)
    • 형광등 : 60 ~80 lm/W
    • 중국산 LED : 50~70 lm/W
    • 국산 LED : 80 ~150 lm/W
  • 광효율이 낮은 LED조명은 에너지 절감 효과가 극히 미약하거나 없을 수 있다.
  • 아래 사진은 좌부터 형광등을 멀리서 촬영 것과 가까이서 촬영한 것임.
  • 우측 사진은 세로로 여러 줄이 촬영된다. 이것이 플리커 현상이다. (플리커 없는 것이 좋음)
    • 당장 폰들고 형광등 촬영해보세요. (실험정신이 투철해야죠) ㅎㅎ
    • ​상기 현상으로 신경질환, 편두통, 피곤함, 눈의 피로도 상승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한다.

  • 일부 선진국에선 플리커 규제가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없다.
  • 사람의 눈으로는 구분할 수 없지만, 스마트폰으로 촬영 시 확인 가능하다.
    • (스마트폰에서 이미지를 받아 연산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발생한 딜레이 현상을 이용하는 것임)

  • 스마트폰 카메라 응용 편 (리모콘 배터리 상태확인 법)
    • 리모컨의 키들을 아무리 눌러도 확인할 수 없던 것을 이렇게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니
    • 좌측 화살표 방향에서 불빛을 확인할 수 있다. 신기하죠?
  • 이 글을 보셨다면 센스 있게 스마트폰으로 조도 확인하기 (밝기 룩스)
    •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세요. (스마트폰의 조도센서가 각각 다르니 측정치도 다를 수 있음)

  • 색온도 확인하기 (5,500k ~ 6,000k)

  • 일부 저가 LED조명은 광효율이 낮아 색온도를 올려 (7,000k 이상) 밝은 것처럼 함.
    • 시력저하의 주요원이 될 수도 있습니다.

  • 광효율 확인하기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리라 생각합니다.)
    • 광효율을 기재한 제품을 찾기 힘들어요.

  • 플리커현상 체크하기 (스마트폰 꺼내서 찰칵)
    • 특히 LED스탠드 구매 시 필히 체크하세요. 
    • 아이들 시력보호는 부모님 책임입니다.
    • 상기 현상은 기술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것인데 참 아쉽군요. (단 제조단가 상승됨)
  • LED와 플리커에 대한 내용만 다루려해도 몇일이 소요될것 같아요.ㅠㅠ
  • 내용이 다소 지루하기에 여기서 끝냅니다.

일상 생황에 꿀팁...

저도 휘도계관련 비용정보에 대해서 좀더 저렴하게 이용하려고 고민을 마니했거든요.

여기저기 검색을통해 휘도계에 대해 알아봐도 다거기서 거기같은데 가격 차이만 나고

어디서 골라야하는지도 몰라 많이 애먹었습니다.

그래도 다행이 휘도계네티즌들이 가장 선호하고 저렴한 사이트정보를 모아놓은곳을 찾아서 잘 이용했습니다 ^^

휘도계관련 정보도 찾아보고

사이트끼리 비교도 해볼 수 있으니 이용하기도 편리하네요

아래 사이트 참고해서 좋은 정보 얻으시길 바랄게요 ^^

휘도계 추천비교&검색사이트 바로가기

형광등 1개는 몇룩스 인가요??

빠른 답변좀 부탁드려요.....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 색차계 휘도 분광측색계 광도계

그렇게 환산이 안 됩니다.

형광등을 전기를 사용함으로 전력으로 나오지요.

몇 와트 몇 등... 얼마 얼마...

룩스는 밝기를 나타내므로 실제 밝기가 얼마인지는 형광등 몇 와트가 중요한게 아니라 환경에

따른 측정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환산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면 거실엔 55와트 등을 씁니다. 등이 몇개냐 차이죠.

보통은 5등 입니다.

그러면 275와트가 되는데 몇 럭스일까요?

환경에 따라 다르니 님께서 직접 판단하셔야 합니다.

빛의 단위는 그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조도(룩스 lx), 광속(루멘 Lm), 휘도(칸델라Cd)등등...

1룩스(Lx)는 표준양초 1개가 1미터의 거리에서 1제곱미터의 단면적에 비춰지는 양을 의미합니다.

1루멘의 1/4π(12.57) 가 1룩스입니다.

루멘(lm)은 표준양초 1개가 적분구(공 형태의 원) 안에 바춰지는 전체의 양, 전광속이라고 합니다.

룩스는 조도계로 바로 측정이 가능하지만 lm은 구면적(4πr제곱)의 계산이 필요하며 센서에 직접적으로 빛이

닿지 않도록 차광막 장치도 필요합니다.

형광등의 밝기는 종류와 단파장 삼파장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20W 일반형(FL-20D)의 경우 초광속(100시간) 광속은 929lm 이며 40W(FL-40D)의 경우는

2410lm 정도 됩니다.

룩스는 1/12.57 로 환산해 보면 근사치의 값이 나올것입니다. 물론, 칸델라 스테라디안 등의 관계를 따져

봐겠지만, 일반인이 접할수 있는 것은 조도계나 휘도계 밖에 없으니 광속구를 이용한 전광속은 램프 제조사

에 문의해 보셔야 할 것입니다. 안정기도 일반 안정기가 아니라KOLAS 에서 공인 받은 시험용 안정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램프를 포장한 박스 또는 슬리브에 표기된 소비효율등급표를 보시면 밝기를

알 수 있을것입니다.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 색차계 휘도 분광측색계 광도계

안녕하세요 부산 인테리어업체, 인테리어 신나라입니다.

인테리어를 할 때 깜빡하고 놓치기 쉬운 인테리어 팁들을 모아서 설명해드리는

놓치기 쉬운 인테리어 팁 시간입니다.

오늘은 조명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데요, 

지난번 포스팅해드린 조명의 색상과는 좀 다른 '조명의 밝기'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놓치기 쉬운 인테리어팁! 알맞은 조명의 밝기는?시작합니다.

혹시 조명의 색상(주광색, 주백색, 전구색 등등)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snr-interior.tistory.com/9

[인테리어 결정장애 해결] 형광등 색깔 뭘로할까요?(주광색, 주백색, 전구색)

안녕하세요 부산 인테리어업체, 인테리어 신나라입니다. 인테리어 결정장애 해결 프로젝트를 위해 오늘도 인테리어 신나라에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인결해 프로젝트 바로 시작해 보겠습��

snr-interior.tistory.com

인테리어를 할 때, 각 방에 맞는 조명을 선택하실 때 디자인만큼 고민하는 것이 조명의 밝기입니다.

예전에 형광등을 사용할 때는 어느정도 기준이 있었습니다.

주로 '와트'로 이야기를 했었죠. 거실은 150~200와트, 안방은 100~150와트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요즘 LED 조명을 많이 사용하면서 와트로 조명 밝기를 이야기하기 힘들어졌습니다.

100와트의 형광등은 50와트의 LED와 밝기가 같다고 이야기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등마다 성능이 다 다르기 때문에 와트로만 조명의 밝기를 구분하기 힘듭니다.

와트는 전력의 단위, 즉 전기를 얼마나 소모하느냐를 나타내는 단위라서 빛의 밝기를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얼마나 밝은지에 대해서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를 사용해야 합니다.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에는 럭스(lx), 칸델라(cd), 루멘(lm)이 있는데요,

우리가 봐야 할 것은 '루멘'과 '럭스'입니다.

루멘은 '조명이 내보내는 빛의 양'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조명이 얼마나 밝은지를 나타내는 것이 루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우리가 익숙한 럭스는 뭘까요?

럭스는 특정 면적에 들어오는 빛의 세기를 나타낸 겁니다.

1㎡당 1lm(루멘) 이 들어오면 1lx(럭스) 라고 합니다.

2㎡당 1lm(루멘) 이 들어오면 0.5lx(럭스) 라고 하죠.

그러면 면적이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럭스가 줄어들게 됩니다.

면적이 방이라 생각해보죠. 그러면 방이 커지면 커질수록 럭스가 줄어들죠?

방의 사이즈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방마다 사용하는 조명밝기는 럭스를 기준으로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방의 용도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다르게 하기 때문에 방마다 럭스기준도 다르고요.

각 방에 대한 일반적인 럭스 기준을 보면,

거실은 200~400, 공부방은 400~600, 화장실은 50~100럭스 정도가 됩니다.

그러면 이때, 각 방의 면적을 안다면 필요한 조명의 밝기, 루멘을 알 수 있겠죠?

34평형 거실은 약 15㎡정도가 됩니다.

즉, 200~400lx의 밝기를 만드려면 3,000~6,000lm정도의 밝기되는 조명을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시는 조명의 밝기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정리를 해드려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거실  공부방 화장실
면적 (34평형) 14~17 8~10 6~7
럭스 200~400lx 400~600lx 50~100lx
루멘 3,000~5,000lm 5,000~7,000lm 300~500lm

즉, 조명의 루멘을 확인해서 원하는 값만큼 갯수를 증가하시면 됩니다

1,000lm짜리 조명을 5개 사용하면 5,000lm 이 되는거죠.

그러면 여기서 질문이 생기죠. 루멘은 어디서 확인할까요?

바로 조명 설명에 적혀있습니다. 제품에 적혀있기도 하고요.

간혹 적혀있지 않은 제품도 있습니다만, 제품검색을 해보시면 대부분 나옵니다.

출처 : 필립스

그럼 정리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1. 조명의 밝기 단위에는 럭스와 루멘이 있다.

2. 조명에서 나오는 빛의 세기는 루멘이다.

3. 방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밝기 단위는 럭스이다.

4. 럭스는 루멘을 면적으로 나눈값이고, 이를 이용해 조명을 선택한다.

조명의 밝기를 나타내는 루멘과 럭스! 이해 되시나요?

조명이 있는 공간이 크면 클수록 많은 빛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몇 루멘이 필요하다 라고 말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이럴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어려운 내용을 포스팅했네요.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고 썼지만, 자세히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셀프 인테리어를 하시는 분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 같고,

인테리어 업체를 통해 인테리어를 하시는 분들께도 빛의 세기에 대한 개념정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늘의 놓치기 쉬운 인테리어 팁 알맞은 조명의 밝기는?

였습니다.

너무 어려운 내용을 길게 적은 것 같네요. 다음에는 조금 가벼운 주제로 포스팅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 인테리어 업체, 인테리어 신나라였습니다

인테리어에 대해 궁금하신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