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틴 하록 은하철도 999 - kaebtin halog eunhacheoldo 999

한 분이 마쓰모토 레이지 연대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는데..

잘못된 부분이 있어서 알려드려요

마쓰모토 레이지 연대기는 처음부터 그렇게 연대기를 만든게 아니라

하다보니까 그렇게 연결을 시키게 된 겁니다.

그 연결을 주로 외전격인 작품들로 연결하였습니다.

마쓰모토 레이지 연대기는 

말씀하신대로 천년여왕->은하철도999->캡틴하록이 맞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퀸 에메랄다스 들어갑니다.

그리고 최근 방송된 은하철도 이야기는 은하철도999와 시간대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설정상 천년여왕의 야요이는  메텔과 에메랄다스의 어머니입니다.

그리고 메텔과 에스메랄다는 자매이고요..

이 부분은 메텔레젠드와 우주교향시 메텔에 나옵니다.

메텔레젠드는 야요이의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우주교향시는 메텔이 999를 타고 여행을 하게 되었는지 설명이 나옵니다.

국내에서 천년여왕 극장판 광고에서 야요이=메텔이라고 광고해서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네요.. 

그리고 알카디아호 제작자 토치로는 에메랄다스의 연인으로

토치로의 망토와 모자, 그리고 총을 테츠로가 물려받은 겁니다.

테츠로와 하록이 만났을때는 이미 알카디아호는 완성된 상태(토치로의 영혼이 들어간..)

외전으로 설정 구명을 메우고는 있지만, 여전히 여기저기 설정상 오류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추억의 만화시리즈

하록선장, 은하철도 999, 천년여왕(주제가)

<네이버 오픈 백과사전>

 작가 마츠모토 레이지의 작품으로 사실 은하철도 999만으로는 완전한 줄거리를 이룰 수 없습니다. 천년여왕이나 우주해적 캡틴 하록(이건 우리나라에서 애꾸눈 선장인가로 모방인지 표절인지 해서 극장에서 만화영화로 상영 하기도 했죠) 이런 것들을 전부 합쳐야 완전한 줄거리를 이룰 수 있습니다. 너무 방대해서 제 머리 속에서 정리가 잘 안돼서 만화 사이트에서 찾은 내용을 올립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저도 몇번이나 읽어 보았는데 아직도 헷갈리네요...

참고로 일본에서 다시 은하철도 999를 tv 에서 새로운 내용으로 그 뒷이야기를 제작 방영 한다는데, 우리나라에서도 꼭 볼수 있길 기대 하고.

이건 여담인데 마츠모토 레이지 작가가 이걸로 돈 많이 벌어서 라면 공장 사장이 됐다는 이야기도 있고, 그래서 이사람 만화에 우동 비슷한 라면 먹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대충 줄거리는 철이(테쓰로)와 메텔이 은하철도 999호를 타고 기계인간 몸을 얻어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해 여행을 하고 여러 행성에 정차해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를 매회 방영 했습니다.


° 일본에 본격적인 애니메이션붐을 몰고온 주인공


° 대표작은 「우주전함 야마토」, 「은하철도 999」, 「1000년 여왕」, 「내청춘의 아르카디아」, 「우주해적 캡틴 하록」등

《 작품 세계 》


마츠모토 레이지는「우주전함 야마토」를 필두로「은하철도 999」,「1000년 여왕」,「우주해적 캡틴 하록」,「에메랄더스」등에 이르기까지 SF와 판타지를 배합시킨 일련의 작품으로 70년대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계를 평정한 인물이다.

마츠모토 역시 어린 시절 데스카 오사무의「철완 아톰」에 매료되어, 수시로 데스카의 작업실을 찾아 자문을 얻어가면서 만화가의 길로 들어선 전형적인 데스카맨중 하나이다.

1974년 "모험왕"에 연재되기 시작한「우주전함 야마토」로 일본 극우성향의 성인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모은 마츠모토는 1977년부터 연재된「은하철도 999」의 세기말적인 허무주의와 에로틱한 스토리 전개에 힘입어 70년대 후반 최고의 명성을 쌓게 되었다.

70, 80년대는 일본 만화의 더없는 황금기였고 그 중심에는 마츠모토 레이지가 있었다. 그후 건담 같은 SF물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너무나 국수주의와 군국주의적 성향이 강해 데스카 오사무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레이지의 작품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하였다.

"만화나 에니메이션이나 문화적 자산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작품이 필요하다.

지금 청년층 사이에서 대히트를 치고 있는「우주전함 야마토」에는 과연 보편성이 담겨 있는가, 없는가?"(주간 다이아몬드 1981년 3월21일호에서)

데스카는 변형된 군국주의의 아류에 불과한 이 만화가 교활한 상업성으로 일본 국민 내면에 잠재돼 있던 국수주의를 선동하는 데 위기감을 느꼈던 듯하다.

하지만 외형상「우주전함 야마토」는 방사능에 오염된 미래지구를 배경으로 인류의 미래를 비판하는 문제작으로 비춰진다. 일각에서는 이 대목을 높게 평가해 환경파괴 등 인류사회에 위험천만한 미래를 경고한 명작으로 자리매김하기도 한다. 아무튼 많은 잡음에도 불구하고「우주전함 야마토」로 얻은 명성은 마츠모토의 전성기를 여는 서막이 되어 주었다.

이후 그는「1000년 여왕」,「우주해적 캡틴 하록」,「에메랄더스」그리고 방영 당시 숱한 화제를 뿌린「은하철도 999」등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특히 은하철도999는 에로틱한 스토리로 엄청난 인기를 모았는데, 그에 대해 비평가들은 독자들의 눈물 섞인 동정표로 얼버무린 졸작이라는 따가운 눈초리를 보내기도 하였다.

그도 그럴 것이「… 999」의 열성팬들조차 수수께끼의 여인 메텔에 얽힌 미스터리는 도무지 짜맞출 수 없는 설정상 의 오류라고 시인할 정도였다. 이렇듯 「… 999」에 대한 의혹이 가중되고 있을 때 마쓰모토 레이지는 이례적으로 은하철도News라는 격월간 신문을 창간하였다.

이 신문의 실제 발행 목적은 비평가들의 공격을 반격하기 위함이라 추측되는데, 결과적으로 마쓰모토는 이 신문을 통해「… 999」의 모순점들을 지워나갔다.

즉,「… 999」는「1000년 여왕」,「우주해적 캡틴 하록」,「에메랄더스」등이 공종하는 차원의 이야기이며 각 작품의 등장인물들과 코스모스건 등 상징적인 물건들은 모두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는 식으로 풀어나간 것이다(TV 용 「… 999」을 보면 '시간성의 해적편'에서 하록이 등장하며 에메랄더스 또한 등장시켰다). 아무튼「은하철도 999」가 방영될 당시 남자들은 긴머리의 가냘픈 얼굴을 한 여성을 이상형으로 생각할 정도로 메텔에 대한 인기는 대단했고, 워낙 그 인상이 강해 20년이 지난 지금도 추억 속의 명작으로 꼽히고 있다.

그 인기로 인해 1977년 제작된 이후 무려 15년만에 우리 나라에서 방영되었다. 재미있는 것은「은하철도 999」에서 주인공 '철이'가 유난히 라면을 좋아하고 또 '마리아의 효성편'에서는 레이지 본인이 직접 라면가게 주인으로 나와 라면을 파는 장면이 있는데, 그 이유인 즉슨 바로 레이지 본인이 라면 회사 사장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마츠모토 레이지의 만화를 보면 음악과 그림의 조화가 일품이다.「야마토」에서의 중후한 음악은 전함 야마토의 국수주의에 비장미를 한층 더 드리워주고「1000년 여왕」에서의 엔젤퀸은 지금도 애니메이션 사상 최고의 곡으로 주저없이 꼽힐 정도이다.

「… 999」의 TV편에 나오는 사운드 트랙 '교향시 은하철도999' 앨범은 지금까지 모두 38만 2천여 장이 팔려 '안녕히 우주전함 야마토'와 함께 20년이 넘도록 그 판매 기록이 깨지지 않고 있다.

마쓰모토 레이지는 한 인터뷰에서 「은하철도 999」에 대해 이렇게 말하였다.


"나는 「은하철도 999」에서 인간의 유한성을 말하고 싶었다. 테쓰로(철이)는 유한한 존재인 인간의 운명에 도전하는 인물인 것이다."


《 주인공들의 수수께끼들 》


° 메텔과 1000년 여왕인 유키노 야요이가 동일 인물이란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극장판「1000년 여왕」의 개봉 당시 선전 카피가 바로 '1000년 여왕은 메텔이었다'였으니…. 「1000년 여왕」의 마지막에서 야요이는 긴 여행을 떠나는데, 이것이 바로 메텔의 괴롭고도 긴 여행이 되는 셈.

 

° 야요이=메텔의 부모는 누구일까. 메텔은「은하철도 999」에서 테쓰로를 공격하다 결국엔 죽

어버리는 프로메슘과 닥터 반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 닥터 반이라는 인물은 마쓰모토 레이지의 다른 만화「미라이자 반」에 등장하는 닥터 반과 동일 인물이라고.

°「1000년 여왕」에 등장하는 여동생 세렌은 곧 메텔의 여동생인 것. 그런데 여기서 이상한 것은 야요이는 1999년도의 인물이고, 메텔은「은하철도 999」 의 연대인 2970년도의 인물인데, 어떻게 동일 인물일 수 있을까. 답은 허무할 만큼 간단하다. 야요이=메텔은 다름아닌 1000년 여왕이니까. 1000년에 한번씩 세상에 나타나는 1000년 여왕(어찌된 일인지 30년이나 일찍 나타난 셈이지만) 말이다.

° 극장판 「안녕 은하철도 999」에서도 나오듯 테쓰로는 프로메슘의 부하인 흑기사 파우스트의 아들이다. 어머니 이름은 호시나 카나에. 그러면 파우스트의 성이 '호시노'라는 얘긴가, 아니면 테쓰로는 어머니의 성을 따온 것인가. 여기서 또 의문이 생기는데, 흑기사 파우스트의 선조는 결국「1000년 여왕」에 등장하는 아마모리 하지메인 셈인데, 어째서 파우스트의 아들은 성이 '호시노'인 것일까. 역시 어머니의 성을 딴 것일까?

°「우주해적 캡틴 하록」의 마유는 토치로의 딸이고, 토치로는 에메랄더스의 연인. 에메랄더스는 메텔의 친구이고, 메텔은 하록과 아는 사이이다.

° 하록은 토치로와 친구고 에메랄더스와는 동지이며, 호시노 테스로가 동경하는 존재이다. 그런데 호시노 테쓰로는 흑기사 파우스트의 아들이며, 흑기사 파우스트는 하록의 친구이자 프로메슘의 부하. 프로메슘은 메텔의 어머니이고, 메텔은 테쓰로의 연인이다. 완전히 이해 못할 정도는 아니지만 상당히 복잡한 관계들이다.

°「캡틴 하록」에서 하록이 데리고 다녔던 미메는「내 청춘의 아르카디아」에 등장하는 라 미메의 언니이다.


《 자투리 이야기 》


극장판「1000년 여왕」의 마지막 장면에서 영구관리인은 이런 말을 한다.

"사람의 세상에 환생이라는 것이 있다면, 당신과 이 여왕은, 영원한 시간의 흐름이

접하는 곳에서 사랑하는 사람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999호에 타는 호시노 테쓰로는 분명「1000년 여왕」의 주인공 아마모리 하지메의 후예이고, 그가 어른으로 성장하는 여행에 동참하는 여인 메텔은 바로 영원의 시간을 살아나가야만 하는 1000년 여왕. 이 '천년의 사랑'은 마츠모토 레이지의 작품을 이어나가는 중심축이다.

또 하나의 중심축은 하록과 토치로의 '천년의 우정'.

마츠모토 레이지의 만화「다이버 제로」에서 제로를 해골 깃발 아래로 부르는 하록이나,

애니메이션에서는 등장하지 않았지만 전함 야마토가 위기에 처했을 때 홀연히 나타났던

검은 옷의 복면 남자는 분명 캡틴 하록의 그 하록과 동일인물일 듯.

'하록'이라는 캐릭터는 항상 소년이 어른으로 성장하는 '의식'에서

일종의 사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천년여왕 / 김국환

블로그 > 다시 꿈꾸는 푸른 달
//blog.naver.com/snowbow01/140003341519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