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마이샵 관리 - kupang maisyab gwanli

“판매자 위한 기능 개발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

[백세경제=최주연 기자] 쿠팡에 입점한 개인 쇼핑몰의 외양이 각양각색으로 변화할 예정이다. 쿠팡은 개인 온라인 쇼핑몰의 이름, 문구, 이미지 등 컨셉을 자유롭게 변경가능하게 하고 판매자를 위한 웹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쿠팡은 마켓플레이스의 개인 온라인 쇼핑몰인 ‘스토어’를 리뉴얼 오픈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개편을 통해 입점 판매자의 편의성과 개별 스토어의 인지도 및 접근성을 높였다.(사진=쿠팡)

쿠팡은 마켓플레이스의 개인 온라인 쇼핑몰인 ‘스토어’를 리뉴얼 오픈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개편을 통해 입점 판매자의 편의성과 개별 스토어의 인지도 및 접근성을 높였다.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스토어 커스터마이징’, 즉 개인화이다. 판매자가 브랜드 특성을 반영해 스토어 이름을 변경하는 것은 물론, 소개 문구를 설정해 고객에게 스토어의 컨셉을 전달할 수 있도록 했다. 메인 상단의 대표 이미지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쿠팡 스토어의 ‘URL 직접 설정’ 기능도 도입했다. 기존에 스토어 오픈 시 자동 부여되었던 웹주소를 판매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해, 고객이 보다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했다.

쿠팡은 이번 개편을 통해 판매자가 스토어의 모든 요소를 최대한 개인화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쇼핑몰로서도 손색이 없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업그레이드된 스토어 기능은 쿠팡 판매자센터에 접속한 뒤 프로모션관리 탭 내 ‘스토어관리’에서 확인 및 설정 가능하다.

지난해 11월 선보인 ‘스토어'는 쿠팡 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한 판매자들을 위한 서비스다. 스토어 운영 시 보통 발생되는 쇼핑 연동수수료가 없으며, 고객이 스토어에서 제품을 구매할 경우 판매수수료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별도 비용 없이 나만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며, 쿠팡의 막대한 트래픽을 활용할 수 있어 판매자들의 반응이 뜨겁다.

쿠팡 관계자는 “판매자들이 자신의 쇼핑몰에 애착을 가지고 판매 및 매출 증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스토어 개편 작업을 진행했다”며 "앞으로도 쿠팡 마켓플레이스는 판매자를 위한 다양한 기능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백세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쿠팡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수수료를 비교한다. 목차는 5개이며 쿠팡의 수수료, 네이버의 수수료, 판매자 입장에서, 구매자 입장에서, 총평이 있다.

1. 쿠팡의 수수료

쿠팡에서는 고객이 어떤 경로로 상품을 구매했는지에 따라 2가지 방식으로 수수료가 책정한다.

1-1. 마이샵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쿠팡 외부에서 유입

판매대금에 대한 수수료가 없다는 거지 운용료 3.5% 받잖아ㅋㅋ

손으로 하늘을 가리려고 하네ㅋㅋ

요즘 누가 마이샵으로 링크 들어가며, 이렇게 마이샵 링크타고 올 정도로 인스타그램 홍보가 잘 되어있으면 아예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어 그 링크 다는 게 낫지.

1-2. 쿠팡 내에서 검색 등을 통해 상품으로 유입

WING 들어가서 보려고 했더니 판매자 아이디로 가입해야 한단다. 그래서 못 봄.

2,600만명의 쿠팡 고객이 중요한 문구다. 이런 식으로 오픈마켓들이 판매자들과 구매자들을 끌여들여 선순환의 구조를 만든다. 악순환은 없이 선순환만 일어난다.

1-3. 기준 금액은 낮추고,

당연한 거를,... 할인 % 붙이는 거는 판매할 때 심리학에서 뭐시기 어쩌구 해서 다들 붙이는데;

할인된 판매금액이 아니라 정가에 붙이면 수수료가 미친듯이 붙는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건데도 생각해주는 '척' 하는 것 같아 비판적으로 보게 된다ㅠㅠ

4번의 3% 후반의 높은 수수료는 4%로 편하게 간주하겠다.

근데 쿠팡 너는 마이샵 운용료 3.5%나 카테고리별 판매 수수료 4%~11%를 중복 적용하는지는 안 나와있네???

낮게 책정해도 만약 두 개 모두 적용하면 3.5%+4%=7%인데? 설마 판매 수수료 4%만 적용할까??

1-4. 꺼진 불도 다시 보듯,

이상 coupang marketplace의 홈페이지 캡쳐 사진이었습니다!

2. 네이버의 수수료

① 입점 수수료가 없단다.

② 결제 수단별 PG사를 개별 가입하지 않는단다. 근데 이건 쿠팡도 마찬가지 아닐까? 안 나와있긴 하지만...

내가 엑셀로 그린 그림.

사업을 할 때는 역마진을 피하기 위해 다들 높게 수수료를 측정하는 편이다. 나는 계산하기 편하게 수숫료 6%로 잡고 마진 계산할 것이다.

나는 가입할 때 네이버 쇼핑 ON하는게 좋다는 얘기를 들어서 네이버 쇼핑과 네이버 톡톡을 ON하고 가입했는데 네이버 쇼핑을 ON하면 2% 빠져나가는 것을 동의한 셈이었다.

근데 수수료 2% 떼더라도 네이버 쇼핑 ON 하는 것이 유리하긴 하다. 검색에 노출해준다는 거니까.

3. 판매자 입장에서

쿠팡은 카테고리별로 다르겠지만 구글에 검색해보면 공통적으로 판매자들이 하는 얘기가, 네이버보다 수수료가 높다는 것이다.

사실 쿠팡은 판매자 사이에서 악명이 자자하다.

*자자하다 :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려 떠들썩하다.

수수료 높지, 정산 늦게 해주지, 그런데도 판매자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입점하는 이유가 압도적인 구매자 보유 때문이다.

바로 전 글에서 내가 당했듯이 쿠팡 고객들은 충성도가 높은 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교 검색하는 걸 귀찮아한다. 타성에 젖은 것이다.

*오래되어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 또는 오랫동안 변화나 새로움을 꾀하지 않아 나태하게 굳어진 습성

판매자 입장에서는, 쿠팡 이거 수수료 높고 정산도 늦고 안 좋은 점 투성인데 구매자는 많아.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입점하긴 하는데 이 높은 수수료를 구매자에게 전가하겠어!라는 마음이 든다.

4. 구매자 입장에서

뭐 판매자 입장 그런건 모르겠고 싼 게 최고!

그리고 혜택이 좋으면 좋은거지~ 혜택이란 것이 빠른 배송이든, 싼 가격이든, 적립금이든.

5. 총평

쿠팡의 고객들은 충성도가 높다. 마치 내가 빠진 오류처럼.

전 글 moxnox111.tistory.com/173

이제 쿠팡은 싸지 않다. 네이버와 비교 분석해서 얻은 3가지 교훈

쿠팡은 초반에 혜택을 뿌리며 급성장해왔는데, 이번에 전기매트 사면서 더이상 쿠팡이 싸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또한 내가 사업자등록하며 쿠팡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도 입점할 예정이라

moxnox111.tistory.com

사실 15일은 '이제 쿠팡은 싸지 않다'라는 글을 쓸거고,
16일은 '판매자와 구매자 입장에서 바라본 쿠팡과 스마트스토어 비교글'을 쓸거고,
17일에는 '유튜버나 블로거들이 스마트스토어 주소를 공개하지 않는 이유'를 쓸 예정이었는데,

15일 어제 글에 오늘 쓸 판매자와 구매자 입장에서 바라본 쿠팡과 스마트스토어 비교글 내용까지 같이 써버려서..

이웃분들께 댓글로 말하고 다녔는데 이 주제를 안 쓸 수도 없고 쓰는데 심화된 내용으로 포스팅한다.

쿠팡과 스마트스토어 수수료를 비교해보자면 쿠팡이 더 높다.

그래서 판매자는 높은 수수료를 구매자에게 전가한다.

즉 똑같은 판매자, 똑같은 제품이어도 구매자는 여러 혜택들을 종합해봤을 때 스마트스토어보다 쿠팡에서 더 비싸게 사게되는 것이다.

전 글과 이번 글 모두 '전가'에 강조하는데 그게 핵심인 단어이다.

전 글에서 말한, 고정금리에서 변동금리로 바뀐 이유.

대출시 발생할 수 있는 '이자율 위험' 부담 전가처럼 판매시 수수료 부담 전가.

판매자는 마진이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역마진(손해)는 절대 안 된다.

*마진 : 원가와 판매가의 차액. 중간 이윤.

판매자를 죄면 죌수록 그 부담이 구매자에게 돌아온다.

마치 최근 부동산 정책에서 전세 2+2를 시행한 뒤 전세가 씨가 말라 전세값이 오르며 매매값도 오르고, 월세 값도 오르고 전체적으로 부동산 값 자체가 오르는, 결국 부담은 세입자로 돌아간 것처럼.(참고로 계약갱신청구권을 당하는 입장인 아빠 따라 전세 연장 계약하는 거 따라가서 봤다.)

당연한 시장 원리이다. feat. 부동산학개론

▼ 나의 다짐

나는 2021년 1월 1일에 사업자등록증을 신청하면서부터 지금 사업 준비중이다.

나는 쿠팡과 스마트스토어에만 입점할 것이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