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키코리아 매출 - naikikolia maechul

입력 2022-09-18 09:47 | 수정 2022-09-18 10:26

▲ ⓒ나이키

나이키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한국에서 높은 실적을 거뒀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나이키코리아의 2022 회계연도(2021년 6월 1일~2022년 5월 31일) 매출은 1조6749억원으로 전년 대비 15%가량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59억원으로 전년보다 무려 230%가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8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나이키코리아는 국내 패션업계 전체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에 이어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2021 회계연도(2020년 6월 1일~2021년 5월 31일)엔 1조4522억원의 매출과 29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이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단일 패션 브랜드 가운데 최대 매출이다. 코로나19 반사이익을 누렸던 명품 브랜드들의 매출도 뛰어 넘은 수치다.

지난해 가격 인상 이슈로 전국 매장에서 품귀 현상을 빚었던 샤넬코리아는 1조2238억원, 루이비통코리아는 1조468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나이키는 신발로만 국내에서 1조2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단일 신발 브랜드로 1조원 매출을 올리는 브랜드는 국내에서는 나이키가 유일하다. 국내 브랜드 중에서는 뉴발란스, 휠라코리아 등이 신발과 의류를 합쳐 5000억원 수준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매출에 영업이익까지 늘어난 것은 국내에서 직영 매장을 늘려 수익성을 끌어올리는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함께 슈즈 멀티숍 등 유통채널에 공급 물량은 줄이고 있다. 국내 멀티숍 브랜드인 레스모아에는 공급을 중단했고 ABC마트와 슈마커 등 멀티숍 공급 물량도 차츰 줄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나이키 글로벌 CEO인 존 도나호가 추구하는 소비자직거래(D2C) 판매방식과 궤를 같이 하는 경영 전략으로, 중장기적으로 영업 이익률을 높이기 위한 방침이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생생

헤드라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와 만나보세요.

자동차

  • 기아 EV6, 美 IIHS 충돌평가서 '최고등급' 획득..

  • 지프, 신형 그랜드 체로키 2종 출시… 라인업 확대로 판매 개선 시동..

  • BMW, 프리미엄 멤버십 프로그램 ‘엑설런스 클럽’ 선봬… 혜택 강화..

크리에이티비티

  • 2023 스파이크스 아시아 심사위원단 발표… 韓 제일기획·이노션·LG CNS·..

  • 2023 칸 라이언즈 어워드, 구제척·복합적 크리에이티브 성과 요구된다..

  • "그냥 바르세요"… 카타르 월드컵 겨냥 나이키 패러디 선크림 광고..

금융·산업

  • 기아 EV6, 美 IIHS 충돌평가서 '최고등급' 획득..

  • 지프, 신형 그랜드 체로키 2종 출시… 라인업 확대로 판매 개선 시동..

  • 포스코·현대제철 등 철강업계, 제한적으로 출하 재개..

IT·과학

  • 위메이드 "가처분 신청 기각 판결 존중… 공정위 제소로 증명할 것"..

  • 위믹스 상장폐지 수순… 법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기각'..

  • 애플, 국내 앱 개발사 인앱결제 수수료 3% 인하..

오피니언

  • [취재수첩] TV 넘어 LED·유튜브… 24시간 돌아가는 주류 광고 '규제 사각지대'

  • [신희강의 IT썰풀이] 위메이드는 왜 업비트를 '슈퍼갑'이라 칭했나

  • [취재수첩] 안전 관리 '합격점'… 내실 챙긴 '지스타 2022'

  • [신희강의 IT썰풀이] 물 건너간 '찐 5G', 정부 책임 인정해야

  • [기자수첩]정쟁에 가로막힌 조세소위…국민들은 아랑곳 않나

부동산

  • HUG, '제9회 국제주택도시금융포럼' 개최..

  • LH, 임대주택 홀몸 어르신에 온누리상품권 2억 전달..

  • 삼성ENG, 대표이사 사장에 남궁홍 플랜트사업본부장 내정..

기업 상세 정보

산업사원수기업구분설립일자본금매출액대표자대졸초임주요사업4대보험홈페이지주소

운동 및 경기용품 도매업

1,545명

(2022.05.31)

중소기업

2010.11.22

(13년차)

132억 6천만원

(2022.05.31)

1조 6,748억원

(2022.05.31)

킴벌리린창멘데스

3,493만원

스포츠용품(신발,의류,잡화) 도소매,무역,통신판매,제조/부동산 전대/광고대행,사업관리지원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www.nike.com

서울 종로구 명륜3가 143-2

재무현황 전체보기

NICE평가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018.05기준

현금흐름등급, WATCH등급을 통해 살펴본 결과, 신용능력이 양호합니다. 외부환경 대처능력도 있습니다.

NICE평가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 1위

    (유)나이키코리아

  2. 2위

  3. 3위

  4. 4위

  5. 5위

  1. 6위

  2. 7위

  3. 8위

  4. 9위

  5. 10위

표준산업 분류 기준 [운동 및 경기용품 도매업]의 공시된 재무정보(매출액)를 기준으로 평가된 순위입니다.

2021기준

잡코리아 기업정보와 NICE평가정보 기업정보를 기반으로 기업 프로필을 제공합니다. 잘못된 정보는 신고해주시면 빠르게 전달하여 수정 검토하겠습니다.
게시된 정보는 무단으로 수집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잡코리아 고객센터 (T. 1588-9350, E.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