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교육 2030 한국 보고서 - OECD gyoyug 2030 hangug bogoseo

검색어 “oecd 교육” (으)로 총1,219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 [기타] OECD 교육지표로 본 한국교육의 실태 분석
  • 국의 교육통계자료를 제시하는 차원에서 발간되었던 .OECD 교육지표.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교육 실태의 ...
  • 교육 > 교육일반 |  박현정 |  한국교육개발원 |  2004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타] OECD INES 교육성과(LSO) 네트워크 사업(2011)
  • 특히 교육과 노동 분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의 개발, 배분, 활용, 그리고 경제적 성과와 관련하여 그러한 장점이 뚜렷하다. 인적자원 관련 ...
  • 교육 > 교육일반 |  박천수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2011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초]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
  • 연구는 ‘OECD 교육 2030’프로젝트 참여 연구의 일환으로서, 이 프로젝트에서 최종적으로 제시한‘역량’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
  • 교육 > 교육일반 |  이상은 |  한국교육개발원 |  2018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초]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교육을 위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는 2015년부터 Education 2030: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이하 교 육 2030)를 시작하였다. OECD 교육 2030은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밝히고 그 역량 을
  • 교육 > 교육일반 |  허주 |  한국교육개발원 |  2021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초]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사업(2014)
  • ○ OECD가 발간하는 대표적 교육통계 자료집인 ‘Education at a Glance(EAG)’에 활용될 한국의 LSO 관련 통계자료를 발굴?가공하여 제공하고 검증함. ○ 연
  • 노동 > 노동일반 |  양정승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2014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초] OECD 교육지표 2000
  • 교육지표는 관련기관의 형태나 교육이 이루어지는 제도적 맥락에 관계없이 전체 국가교육체제를 포괄하고 있다. 모든 유형의 학생들과 모든 연
  • 교육 > 교육일반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개발원 |  2000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타] OECD 교육지표 2000
  • 교육지표는 관련기관의 형태나 교육이 이루어지는 제도적 맥락에 관계없이 전체 국가교육체제를 포괄하고 있다. 모든 유형의 학생들과 모든 연
  • 교육 > 교육일반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개발원 |  2000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초] OECD 교육지표 2001
  • 원칙적으로 교육지표는 관련기관의 형태나 교육이 이루어지는 제도적 맥락에 관계억이 전체 국가 교육체제를 포괄하고 있다, 모든 유형의 ...
  • 교육 > 교육일반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개발원 |  2001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타] OECD 교육통계 핸드북:개념, 기준, 용어정의와 분류
  • 정부의 교육 정책 개발에 있어서 국제적 비교분석은 점점 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들은 OECD 체제와 다른 국제단체와의 ...
  • 교육 > 교육일반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개발원 |  2004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기타] OECD 교육정책보고서(2001)
  • 한다.”1996년 OECD 교육장관회의에서 제시한 이 야심찬 정책 목표는 지식기반경제 사회로 이동되는 이 시점에 매우 타당하며, 더욱 지지되어야 한다.
  • 교육 > 교육일반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개발원 |  2004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한-OECD 유아교육·보육 정책 국제세미나
  • 한-OECD 유아교육·보육 정책 국제세미나 : OECD 국가 사례를 통한 성공적 유보통합의 전략 모색
  • 사회문제 > 육아·보육 |  육아정책연구소 |  2015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한-OECD 유아교육·보육 교원 정책 국제세미나
  • Schools, OECD) - 주제발표 2. TALIS Starting Strong 한국 조사 결과 요약 및 제언 / 김은설(TALIS 3S 한국 연구책임, OECD ECEC Network 국가조정관/육아정책연구소 ...
  • 사회문제 > 육아·보육 |  육아정책연구소 |  2019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KDI-OECD 공동 컨퍼런스『한국의 사회정책 과제』
  • KDI는 OECD와 공동으로 2월 5일,‘한국의 사회정책 과제’제하의『KDI-OECD 공동 컨퍼런스』를 개최,‘한국의 사회정책에 관한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 종합일반 > 종합일반 |  한국개발연구원 |  2013년

  •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내서재담기

  • [일반자료] OECD교육지표
  • 한국교육개발원 |  기타 |  한국교육개발원

  •  내서재담기

  • [보고서] OECD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향상 방안 연구
  • □ OECD는 회원국의 유아교육·보육의 질 향상 정책과 그 실행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전략 개발을 위해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향상 ...
  • 육아정책연구소 |  2012 |  육아정책연구소

  •  내서재담기

  • 작성자자료기록물관리부
  • 조회수3220

성과물 IDCRC 2021-5성과물 분류코드수탁연구보고서주제교육과정분류체계 대분류교육분류체계 중분류초중고교육성과물 한글명OECD Education 2030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우리나라 교사의 역량 개발 방향 탐색: 학생주도성 및 협력적 주도성을 중심으로 (CRC 2021-5)성과물 영문명총서명연구보고 CRC 2021-5책임자 명김종윤연구유형 분류코드페이지수145공동연구자이미경, 최인선, 배화순, 유금복, 박일수(공주교육대학교), 이수진(연구조원)연구 참여자수7발간년도2021ISBN979-11-91219-50-0 94370첨부파일없음목차

 본 보고서는 수탁과제 보고서로 저작권이 본원에 있지 않아, 온라인상의 원문(Full Text) 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용을 원하시면 아래 링크 정보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온나라정책연구 프리즘 www.prism.go.kr ->

 정책연구검색 -> 검색어 'OECD Education 2030')

 

Ⅰ. 서론 13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 내용 17

   3. 연구 방법 18

 

Ⅱ.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 연구의 경과 21

  1.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 1단계 연구 결과 22

  2.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 2단계 연구 경과 29

 

 Ⅲ. OECD Education 2030 역량과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31

  1. OECD Education 2030 학습 프레임워크(학습 나침반) 개관 32

  2. OECD Education 2030의 역량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의 관계 38

 

 Ⅳ. 학생 주도성 및 협력적 주도성의 의미와 교사 역량 49

  1. 학생 주도성 및 협력적 주도성의 의미와 중요성 50

  2.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요구되는 교사 역량 55

  3. 우리나라 교사 역량 강화의 요구 및 현실 65

 

 Ⅴ.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워크 기반 교사 역량 개발 방향 탐색 73

  1. 연구 방법 개관 74

  2. 학생 주도성, 교사 주도성, 협력적 주도성의 개념 75

  3. 우리나라의 학생 주도성 및 교사 주도성의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 82

  4.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워크 기반 교사 역량의 개발을 위한 지원 방안 93

 

 Ⅵ. 요약 및 제언 103

  1. 요약 104

  2. 제언 106

 

* 참고문헌 111

 

* ABSTRACT 115

 

* 부록 119   

  1. 델파이 1차 조사지 119

  2. 델파이 2차 조사지 128

▼ 펼쳐 보기 ▲ 접어 두기연구필요성
및 목적▼ 펼쳐 보기 ▲ 접어 두기한글개요영문개요연구내용

 미래 교육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하여 OECD에서는 2015년부터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 2단계의 진행에 참여하면서, 기개발한 OECD 학습 프레임워크의 핵심인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 주도성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ECD 2030 프로젝트를 개관하고, OECD 프로젝트에서의 역량과 우리나라 교육과정 역량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OECD 미래 역량의 핵심인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우리나라 현실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워크 기반 교사 역량의 개발 방향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 비추어 학생 주도성, 교사 주도성, 협력적 주도성의 개념을 살펴본 후, 학생 및 교사 주도성의 촉진 요인과 장애요인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워크 기반 교사 역량의 개발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 연구의 경과
 DeSeCo 프로젝트의 후속 연구라고 볼 수 있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는 2030년대의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5~2019년에 걸쳐 진행된 1단계 프로젝트에서는 미래 사회 역량 함양을 위해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요소들을 학습 나침반 형태로 제시하였다. 2019년부터 진행 중인 2단계 연구에서는 1단계에서 탐색된 역량(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등)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두고, 교육과정 운영과 실행의 과정, 이를 위한 교사 역량 등을 중점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 OECD Education 2030 역량과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는 학습 프레임워크인 ‘학습 나침반’을 제시하였다. 학습 나침반의 지향점은 ‘웰빙’이다. 학습 나침반에서는 학생들이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 자기 목표를 달성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데 필요한 역량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을 이들 역량의 근간으로 설정하였다. 이 두 역량이 2015 개정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명시적으로 드러난 부분이 많지는 않았으나 각 교과에서 포괄적으로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학생 주도성 및 협력적 주도성의 의미와 교사 역량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역량으로 제시한 학생 주도성 및 협력적 주도성의 의미와 중요성을 탐색하여 개념을 정리하였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의 발현을 견인하는 교사 역량을 탐색하기 위해, 주도성 논의의 배경 담론으로 학습생태계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교사 역할이 어떠한 지점에서 강조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교사 주도성이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을 견인하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요구되는 교사 역량을 정리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교육방법에 대한 반성과 제안을 제시하였다.

 

 ◈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워크 기반 교사 역량의 개발 방향 탐색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워크 기반 교사 역량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조사 결과,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워크에서 제시한 학생 주도성, 협력적 주도성, 교사 주도성의 개념이 우리의 교육상황에서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우리 교육현실에 입각하여 학생 주도성과 교사 주도성의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생 주도성, 협력적 주도성 및 교사 주도성 함양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탐색하였다. 학생 주도성 지원 방안으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환경 및 수업 환경의 구축, 평가 제도 마련, 사회적 분위기 조성 등이 제시되었으며, 협력적 주도성 지원 방안으로는 유연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의 제도화, 학교와 교사의 권한 및 재량권 강화, 수업 중심의 업무 체제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교사 주도성 지원 방안으로는 교사의 행정 업무 간소화, 교사 간 협력 및 교사 공동체 지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및 평가권 강화, 교사의 권한 확대, 교사의 연구 역량 강화, 교사 지원 기구 및 프로그램 운영, 교사 존중 문화 조성 등이 제시되었다.

 

 ◈ 교사 역량 개발 방향에 대한 정책 제언

 교사 주도성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역량의 개발을 지원하는 정책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사 역량 개발 방안 중에서 어떤 방안이 실효성이 있으며 우선순위에서 비교 우위를 갖는지, 이들 방안을 어떻게 현실화할 것인지 등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 주도성, 학생 주도성, 협력적 주도성이 함께 발현될 수 있는 학교 문화 구축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학습이나 수업에서 교사 주도성을 발현하는 것을 긍정하는 포용적인 문화 구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학습이나 수업을 볼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도에 대하여 열린 시각으로 격려해 주고 지원해 줄 때 학생과 교사 모두 주도성을 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 주도성 함양을 목표로 교사교육 내용의 개선,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연수 및 제도적 지원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교사 주도성은 교육에 대한 신념과 지식, 경험, 수업과 직무를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수행하는 역량과 성향 등 다양한 역량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므로 교사 주도성의 다양한 역량들을 두루 반영하는 교사 교육 내용을 마련하여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부터 적용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사 연수나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 주도성 발현을 위한 교사 간 협력 및 교사 학습 공동체에 대한 지원들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기대효과정책기여 내용연구방법성과물 주제어OECD Education 2030, 교사, 역량연구 시작기간연구 종료기간공개여부공개비공개 사유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