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잉여 탄력성 - sobijaing-yeo tanlyeogseong

경제학

경제학 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 조세의귀착 상대적부담 가격탄력성

제5장 수요와 공급이론의 응용 

제1절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1. 소비자잉여 (consumer's surplus) 

- 영국의 경제학자인 마샬(A. Marshall)은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소비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얼마만큼 혜택을 받는 가를 

소비자잉여(consumer's surplus)라는 개념으로 설명 

-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구입 또는 소비하기 위하여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금액과 실제로 지불한 금액과의 차이

- 수요의 법칙이 성립하는 현실에서는 

시장은 품질이 같은 한 그 재화에 한 가지 가격만 성립하게 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그 재화에 지불해야 하는 가격보다도 더 많은 가 치를 얻을 수 있게 한다. 

→ 소비자잉여(consumer's surplus) 발생 

- 수요곡선이 주어져 있을 때 가격이 낮을수록 

소비자잉여는 더 크다.

- 수요곡선이 주어져 있을 때 가격이 높을수록 

소비자잉여는 더 작다.

※ 수요곡선이 수평이면 소비자잉여의 크기는 ‘0’이다.

→ 수요곡선이 가파를수록 소비자잉여가 크고, 

완만할수록 소비자잉여는 작다.

2. 생산자잉여(producer's surplus)

- 생산자가 어떤 재화를 판매 또는 공급할 때 

최소한 받아야 할 금액과 실제로 수취한 금액과의 차이 

- 공급의 법칙이 성립하는 현실에서는 

시장은 품질이 같은 한 그 재화에 한 가지 가격만 성립하게 함으로써 

생산자들로 하여금 그 재화에 수취해야 하는 가격보다도 더 많은 가치를 얻을 수 있게 한다. 

→ 생산자잉여(producer's surplus) 발생 

- 공급곡선이 주어져 있을 때 가격이 높을수록 

생산자잉여는 더 크다.

- 공급곡선이 주어져 있을 때 가격이 낮을수록 

생산자잉여는 더 작다.

※ 공급곡선이 수평이면 생산자잉여의 크기는 ‘0’이다.

→ 공급곡선이 가파를수록 생산자잉여가 크고, 

완만할수록 생산자잉여는 작다. 

3. 사회적 총잉여(social total surplus)

- 사회적 총잉여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합

(사회적 총잉여 = 소비자잉여 + 생산자잉여) 

  - 시장의 효율성 : 

시장의 균형거래량에서 사회적 총잉여 극대

→ 시장균형에서 벗어날수록 사회적 총잉여 감소

제2절 조세의 귀착

1. 조세의 귀착 (tax incidence) :

1) 조세부담의 전가와 귀착

⑴ 조세의 전가 :

조세가 생산자에게 부과한 조세를 

소비자나 생산요소 공급자에게 조세부담을 이전시키는 현상 

⑵ 조세의 귀착 :

조세의 전가가 완료되어 

실질적으로 조세부담이 각 경제주체에게 귀속되는 것

→ 조세부담이 전가를 통해 

마지막 경제주체(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현상

2) 조세부과의 효과

- 생산자에게 단위당 T원의 조세부과(종량세인 경우) 

→ 공급곡선 T원만큼 상방 이동

→ 가격 상승(조세의 일부 소비자에게 전가)

※ 종량세 : 소비 단위당 일정액을 부과하는 세금

- 조세부과 → 사회적 총잉여 

(=사회적 후생) 감소 

2. 조세의 상대적 부담  

- 상대적 조세부담의 크기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탄력성에 의존

→ 상대적으로 수요곡선이 탄력적이면(완만하면) 

수요자(소비자) 부담이 감소

상대적으로 공급곡선이 탄력적이면(완만하면) 

공급자(생산자) 부담이 감소

-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소비자 부담은 반비례하고,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생산자 부담도 반비례 

수요가격탄력성/ 공급가격탄력성= 생산자부담/ 소비자부담 

3. 가격탄력성과 조세의 귀착

1) 수요곡선이 완전비탄력적 (=수직형태)인 경우 : 

소비자가 전액부담

- 수요곡선이 비탄력적일수록 

소비자 부담은 커진다. 

  2) 수요곡선이 완전탄력적 (=수평형태)인 경우 : 

생산자가 전액부담

- 수요곡선이 탄력적일수록 

소비자 부담은 작아진다. 

  3) 수요곡선은 비탄력적이고 공급곡선은 탄력적인 경우 

(수요 탄력성 < 공급 탄력성)

- 소비자 부담 > 생산자 부담 

  4) 수요곡선은 탄력적이고 공급곡선은 비탄력적인 경우 

(수요 탄력성 > 공급 탄력성)

- 소비자 부담 < 생산자 부담

탄력성 관계

조세 부담의 상대적 크기

Ed= Es

수요자와 공급자가 각각 반반씩 귀착

Ed> Es

수요자에게 보다 적게 귀착, 공급자에게 보다 많이 귀착

Ed= 무한> Es

공급자에게 전액 귀착

Ed< Es

수요자에게 보다 많이 귀착, 공급자에게 보다 적게 귀착

Ed< Es= 무한

수요자에게 전액 귀착

4. 조세 부과와 사회적 총잉여 (경제적 후생)의 감소

1) 공급자에게 종량세 부과 :

- 새로운 공급가격 = 

기존 공급가격 + 종량세

※ 공급가격은 

생산할 의사가 있는 최소가격

2) 수요자에게 종량세 부과 :

- 새로운 수요가격 = 

기존 수요가격 - 종량세

※ 수요가격은 

소비할 의사가 있는 최고가격

3) 조세 부과의 효과 :

- 자원배분의 감소 → 사회적 총잉여 감소(▷ABE)

- 사회적 총잉여 감소 = ㉡ + ㉣

- 생산자잉여 감소 = ㉢ + ㉣

- 소비자잉여 감소 = ㉠ + ㉡

- 정부의 조세수입 = ㉠ +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