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대통령 순서 - solyeon daetonglyeong sunseo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냉전 종식의 상징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의 장례식이 3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열린다고 미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0일 모스크바 한 병원에서 91세로 서거한 고르바초프 장례식은 유서깊은 하우스 오브 유니언 건물에서 공식 추도식이 거행된 뒤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공동묘지에 안장되는 순서로 이어진다.

서방에서는 인기가 높지만 급진적 경제개혁으로 러시아내 인기가 높지 않은 고르바초프의 장례식은 공식 국장이 아니다. 이는 공산당에서 축출됐던 니키타 흐루시초프 전 공산당 서기장을 제외하고 역대 소련 지도자들 장례식이 국장으로 치러진 것과 달리 이례적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여러차례 고르바초프를 멸시했으며 소련의 붕괴가 "재앙"이라고 말해왔다. 소련 지도자들 가운데 크렘믈린 성곽 내부가 아닌 노보데비치 공동묘지에 묻힌 것은 흐루시초프가 유일하다.

러시아 정부는 고르바초프의 장례식에 명에 경비부대와 장례 진행을 국가가 돕는 등 국장의 요소가 남아 있을 것으로 밝혔다.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는 푸틴은 고르바초프의 시신이 있는 병원을 방문해 조용히 조문했다. 정부가 TV를 통해 공개한 동영상에서 푸틴은 붉은 장미로 된 꽃다발을 바치고 절을 한 뒤 아무 말을 하지 않고 떠났다.

대중에게 공개되는 3일의 장례식은 블라디미르 레닌, 요시프 스탈린, 레오니드 브레즈네프 기념관이 있는 하우스오브유니언 건물의 필라홀에서 거행된다. 이어서 고르바초프는 1999년 서거한 부인 라이사 옆에 안장된다.

한편 푸틴을 직접 발탁했던 보리스 옐친 전 러시아 대통령의 경우 2007년 서거한 뒤 모스크바 중심부 예수성당에서 장례식이 열렸으며 장례식 전 과정이 TV로 생중계되는 예우를 받았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레믈린궁 대변인은 고르바초프 서거 당일 "우리 나라 역사에 영원히 남을 정치인이나 그의 역할에 논란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고르바초프가 "새 소련과 서방 사이에 영구적으로 낭만적인 시기가 이어질 것으로" 잘못 생각했다고 했다.

빌 클린턴 전 미 대통령 등 각국 지도자 수십명이 참석한 보리스 옐친의 장례식과 달리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긴장 고조로 고르바초프 장례식 참석자는 매우 적을 전망이다.

미 국무부는 2일 러시아주재 존 설리번 대사가 장례식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대통령 등 수백명의 당국자들이 현재 러시아의 "비우호인사"로 지정돼 러시아에 입국할 수 없다.

������ ���������� �� �ҷ� �����/AFPBBNews=����1

���� ������ �ֿ����� ��¡�� ������ ���������� �� �ҷ� ������� 30��(�����ð�) 91���� ���̷� ����ߴ�.

Ÿ����ſ� ������ ���þ� �߾��ӻ󺴿��� �̳� �̰��� ������. �ҽ����� ���������� �� ������� 2020�� �ڷγ�19 �ҵ���(������ ������) �ʱ� �ǻ���� ������ �Կ��� ���¿��ٰ� ���ߴ�. ���� ������Ȱ ���� ���� ���̴�.

���������� �� ������� 1931�� ���þ� ���� İī����� �α� ��Ÿ��������� �¾��. ���ܳ��忡�� ���ϴ� ����� �Ƶ�� �ڶ� �״� �к� ���� ���� ������ ���� ������ ��������� �о������� �پ �ҷ� �ְ� ���� ��ũ�� �������б� ���кο� �����ߴ�.

���� ���н��� �ҷ� ����翡 �����߰�, ���� �� �������� ���ƿ� ������ ���� �ɾ���. ���濡�� �ɷ��� �����޾� �߾Ӵ����� ����, �ʰ��� �����ߴ�.

���������� �� ������� �ҷ� ����� �ֿ��� ��ġ������ ���� 1985�� �����忡 �����ߴ�. �״� �����ƴ� �ҷ��� ü���� ������ '�۶󽺳뽺Ʈ'(����)�� '�䷹��Ʈ����ī'(����) ��å�� �����ߴ�.

���������� �� ������� ���������� ��å�� 1989�� ���� ������ �庮 �ر��� ����´ٴ� �򰡸� �޴´�. ������ ��¡�̴� ������ �庮�� �������鼭 40���� �� �̾����� ���� ������ ���� ������ ���� ������ �������.

���������� �� ������� �ѱ����� �ο��� ����. 1988�� ����ø��ȿ� ������ ���걹������ ��� �����ϴ� �� ������������ ū ���� �����ߴ�. 1990�� 9������ �籹�� ���� �����ߴ�. ������ �Ű����� ���̸� �ݴ������� ������������ ���������� ��å�� ���Ծ� �ѱ� �Ϲ�ܱ��� ������ �´�. �̸� ���� �ҷ��� ���ѿ� ���� ������ ����, �ѱ��� ���� ������ �����ߴ�. ���� �� �̱��� ���� ������ ü���� ��ȭ ������ ���弱 ���η� �뺧 ��ȭ�� �޾Ҵ�.

(����=����1) ����� ���� = ���¿� �� ����ɰ� ������ ���������� �� �ҷ� ������� ����ȸ�� ����. 2021.10.26/����1

������������ 1990�� �ҷ� ������ ����ɿ� ����ƴ�. ������ �ҷ��� ���� ���� ��ü�� ������� �޼��� ��ȭ�ƴ�. ������ ����Ÿ �õ�, ���������� ������ ���� ȥ������ ��ȭ�ƴ�.

�ᱹ 1991�� �ҷ��� ��ü�ƴ�. ���������� �� ����ɵ� ���¿��� ��������. �̷ν� �״� �ҷ� �ʴ� ��������� ������ ��������� ��ϵƴ�.

���������� �� ������� ���� ���� ��ũ�� �뺸����ġ �������� �� �������� ��ġ�� �����̴�. �̰����� ������ ���� ���� ������������ �Ƴ� ���̻� ������ ���� �ִ�.

�״� ���ο� ���� ������ �����ߴ� ������ �����ϴ�. 1999�� ������ ���������� ���� �� "���̻簡 ���� �� ���� �ǹ̸� �Ҿ���"�� "���� �� ���� ���� �տ� ������ �ʾ� ó���� ���´�"�� �ɰ��� �����⵵ �ߴ�.

�����̸� Ǫƾ ���þ� ������� ���������� �� ������� ����� �ֵ��� ǥ�ߴ�. ���Ʈ�� �佺���� ũ������ �뺯���� "Ǫƾ ������� ���� ������ ���� �ֵ��� ǥ�Ѵ�"�� "���� ������ ģ���鿡�� �ֵ��� ���� ���� ��"�̶�� ���ߴ�.

�츣�ٶ� ��������̿� ��������(EU) ���������嵵 Ʈ���͸� ���� "���������� �� ������� �ŷڹް� ����޴� ������"��� "������ �����ϰ� ö�� �帷�� ���ʶ߸��� �� �������� ������ �ߴ�. �̴� ���� ������ ���� ���� ������. ���� ������ �츮�� ������ ����� ��"�̶�� ������.

러시아와 소련의 역대 통치자

모스크바 공과 대공 : 다닐로비치 왕조 1

다닐(알렉산드로 네프스키의 아들)

1276경~1303

유리

1303~25

이반 1세

1325~40

세묜

1340~53

이반 2세

1353~59

드미트리 돈스코이

1359~89

바실리 1세

1389~1425

바실리 2세

1425~62

이반 3세

1462~1505

바실리 3세

1505~33

이반 4세

1533~47

차르 : 다닐로비치 왕조

이반 4세

1547~84

표도르 1세

1584~98

차르 : 혼란시대

보리스 고두노프

1598~1605

표도르 2세

1605

가짜 드미트리

1605~06

바실리 4세

1606~10

공백기

1610~13

차르와 여제 : 로마노프 왕조 2

미하일 3세

1613~45

알렉세이

1645~76

표도르 3세

1676~82

표트르 1세(이반 5세 공동재위 1682~96)

1682~1725

예카테리나 1세

1725~27

표트르 2세

1727~30

안나

1730~40

이반 6세

1740~41

옐리자베타

1741~62(구력 1761)

표트르 3세 3

1762(구력 1761~62)

예카테리나 2세

1762~96

파벨

1796~1801

알렉산드르 1세

1801~25

니콜라이 1세

1825~55

알렉산드르 2세

1855~81

알렉산드르 3세

1881~94

니콜라이 2세

1894~1917

임시정부

1917

공산당 서기장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1917~24

요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스탈린

1924~53

그리고리 막시밀리아노비치 말렌코프

1953

니키타 세르게예비치 흐루시초프

1953~64

레오니드 일리치 브레주네프

1964~82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안드로포프

1982~84

콘스탄틴 우스티노비치 체르넨코

1984~85

미하일 세르게예비치 고르바초프

1985~90

대통령

미하일 세르게예비치 고르바초프

1990~91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

1990~2000

블라디미르 푸틴

2000~

1 다닐로비치 왕조는 류리크 왕조의 후기 분가이며, 그 시조인 다닐의 이름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2 1721년 10월 22일 대제 표트르 1세는 '차르(tsar)'라는 러시아식 호칭을 보다 유럽적인 '황제'로 바꾸었다. 그러나 공식적인 명칭과는 별개로 일상적인 호칭은 묘하게 변질되어 그의 뒤를 이은 모든 남성 지배자들은 보통 차르(그의 배우자는 차리나[tsarina] 또는 차리차[tsaritsa])로 호칭되었으나 여성 지배자들은 여제(imperatritsa)라고 불리게 되었다.
3 로마노프 왕조의 직계 계승은 1721년 대제 표트르 1세의 딸인 옐리자베타가 죽음으로써 막을 내렸으나 뒤를 이은 홀슈타인 고토르프 왕조가 로마노프 왕조의 이름을 계승했다. 첫번째 계승자인 표트르 3세는 표트르 1세의 딸인 안나와 홀슈타인 고토르프 공 카를 프리드리히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COPYRIGHT (C)한국브리태니커 회사 1999-2002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