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인형 옷 원단 - som-inhyeong os wondan

인형옷을 만들 때 어떤 원단을 선택해야 할까요? 원단 선택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제가 인형옷 만들기를 시작할 때 막막하고 궁금했었던 내용들을 모아왔습니다. 혹시 틀린 정보가 있다면 댓글에 달아주시면 참고하여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원단 구입처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원단을 확인하고 만져보고 고른다면 좋겠지만 저는 지방러.. 근처에 대규모 매장은 없고 시장, 재봉틀 대리점, 수공예 공방, 아트박스같은 대형 문구점, 핸드메이드 페어 전시장에서 판매하는 것은 본 적이 있어요. 선택폭도 좁고 가격도 저렴한 편은 아닌듯해서 온라인에서 100% 구매하는 편입니다.

자주 이용하는 원단 판매 사이트↓

인패브릭 //in-fabric.co.kr

선퀼트 //sunquilt.com

천가게 1000gage.co.kr

도우패브릭 //doufabric.com

사이트 이용(검색, 결제, 리뷰)이 편하고 신상품 업데이트나 이벤트(할인, 무료배송)도 자주 하고 원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자재도 판매하고 있어 이것저것 구매할 때 유용합니다. 인형옷 만들기에 적당한 조각 원단 패키지를 판매하고 있다는 점도 좋고 무엇보다 많은 상품들이 있어서 구경하기가 즐겁죠. 텅장조심(•‿•)

2. 원단 색상과 무늬 선택

원단을 구매하시려고 마음먹었다면 일단 원하시는 원단 색상을 떠올리실 거예요. 온라인으로 구매할 때는 더 신중하고 또 신중하게 리뷰를 뒤지고 사진을 꼼꼼히 보면서 골라야 됩니다jjujj

처음 만들기를 시작한다면 안입는 옷을 잘라 인형옷을 만들어보세요.

파스텔

귀여운 솜뭉치들에게 무난하게 잘 어울립니다.

원색

착장 재현하거나 톡톡 튀는 의상을 만들고 싶을때 선택하는 색상.

일상복을 제작하는 경우 살짝 명도가 낮은, 어두운 컬러로 대체한다면 다른 색상과 매치하기 조금 더 수월합니다.

짙은 색, 청지

이염을 주의하세요! 청지의 경우 세탁을 할 때마다 파란 물이 줄줄 빠져서 솜뭉치를 이염의 위험에 빠트릴 것인지, 원단 색상을 변형시킬 것인지 고민스러워집니다. 저의 해결 방법은 청지를 안 쓰는 것이었는데요?(도움 안 됨) 청지스럽지만 청지가 아닌 다른 원단을 선택해서 사용했답니다.. 소금물에도 담가보고 몇차례 세탁을 해봐도 파란물이 계속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원단에 색상이 있는한 계속 물이 빠지는 것 같다...!로 자체결론지었었거든요jjnjj 물 빠짐, 이염 잘 아시는 분들은 댓글 달아주세요 juj

흰색

화이트 : 정말 화이트. 리얼 화이트... 차가운 느낌의 화이트

백아이보리 : 약간 노란 느낌 화이트. 따뜻한 느낌의 화이트

상황과 취향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만 두 원단의 차이가 꽤 확 티가 나고 특히 부자재(화이트)+원단(백아이보리) 조합하면 미묘한 부조화가 있더라구요.

무늬

취향에 따라 선택하는데 한 가지 고려해야 할 부분은 패턴의 크기입니다.

인형옷이 작다보니 패턴 속 오브젝트가 너무 크거나 간격이 넓으면 의도했던 모양이 나오지 않을 거예요. 짼뭉이의 경우 앞에서 보이는 몸통의 가로 길이가 8cm(배 둘레/2)인데 네모가 반복되는 체크 무늬 원단을 선택한다면, 앞판에 세로 줄이 적어도 2개 이상 보이게 하려면 반복되는 네모 크기가 약 3cm 이하가 돼야만 합니다.

최근에 제작했던 이 핑크체크셔츠의 패턴 크기는 1.5*1.5(cm)

3. 원단 재질 선택

3-1. 원단의 두께 고르기

원단이 너무 두꺼우면 잘 접어지지 않고 원하는 핏이 안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디테일이 많은 옷을 만든다면 더더욱 얇은 원단을 선택해야합니다. 그렇지만 또 너무 얇은 원단도 재봉이 어렵고 핏이 안 나오죠.

실이 여섯가닥이 있는데요. 10수가 가장 두껍고 60수가 이 중에서는 가장 얇습니다. 10수 원단은 솜뭉치옷으로 만들기엔 조금 두껍습니다. 보통 저는 20~30수를 겉감으로 사용하고 40~60수는 안감과 바이어스감으로 사용하는 편입니다. 혹은 얇은 원단에 접착심지를 붙여 탄탄하게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실을 살때도 ~수란 키워드가 등장하는데요. 60수 2합은 60수 두께의 실이 2개가 꼬여있다... 얇은정도+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네이밍인 것 같습니다. 어려워요..

3-2. 신축성 필요 유무 판단하기

원단의 종류는 짜여지는 방식에 따라 우븐(Woven)과 니트(Knit)로 나눌 수 있다고 해요. 다이마루, 시보리 1마를 구매하면 원기둥 모양으로 둥글게 이어져 있는게 신기했는데 둥근 모양의 환편기라는 기계로 짜여졌기 때문이래요. 같은 실을 사용해도 짜여지는 방식에 따라 빳빳한 평직면이 되기도 하고 잘 늘어나는 다이마루면이 되기도 한다는게 신기하죠...?

만들고자 하는 인형옷이 쭉쭉 늘어날 수 있어야 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야합니다! 보통 맨투맨, 후드티는 잘 늘어나는 원단으로 선택하구요. 셔츠, 원피스는 늘어나지 않는 원단을 고르긴 했는데요.. 정답은 아닙니다.

니트원단⬇️

싱글, 양면 니트(다이마루)

쭈리, 미니쭈리

립직, 밀라노 등 시보리

3-3. 짜임 모양 고르기

우븐이 짜임 모양에 따라 또 여러가지 원단으로 나뉩니다.. 평직, 능직 그리고 수자직(ex. 비단, 공단)이란 것도 있습니다. 그냥 이미지로 보여드릴게요.

트윌은 사선으로 줄무늬가 있는게 큰 특징이에요. 평직보다 비침이 덜하기도 합니다. 광택이 있는 트윌원단도 있으니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원단 이름에 원단 두께, 짜임종류, 원단혼용률, 가공방식 등을 기재하는데 바이오워싱은 먼지가 덜 붙고 덜 나게 하는 가공법이라고 합니다. 예민한 피부에 닿아도 안심할 수 있어요. 피그먼트워싱은 색이 자연스럽게 연한 점이 특징인 것 같아요. 워싱린넨은 일반 린넨보다 먼지도 없고 부드럽기도 해요. 워싱가공은 세탁시 물빠짐과 수축될 확률도 줄여준대용. 가공방식에 따라 원단 가격이 상승하기도함❗

4. 원단 수량 선택

1마 = 1yd(야드, Yard)이며 소폭 1마는 110*90(cm), 대폭 1마는 보통 150*90(cm) 크기입니다. 제 경험상 소폭 1마로 15cm 인형 셔츠를 만든다면 16개 정도? 나왔던 것 같습니다. 1/8마는 원피스 2개를 간신히 만드는 정도였던 것 같고..

+ 재단할 때...

재단할때 원단의 앞뒤를 구분하고 식서/푸서방향을 고려해야합니다. 여기에도 너무나 많은 내용들이 있지만juj... 제가 쓰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빳빳한 평직의 경우 뽕뽕 구멍 뚫린 쪽이 무조건 옆으로 오게 하고 재단합니다. (위의 이미지대로요!) 뽕뽕 구멍을 보면 바늘이 나온 흔적이 있는 면이 겉면이라고도 해요. 바늘이 들어간 쪽 면에 패턴을 올려두고 재단해야겠죠. 구멍 뚫린 쪽을 잘라버렸다면 앞겉면은 오감을 동원해서 구별하고... 짜임모양을 보고 식서/푸서방향을 잡으면 됩니다. 보통 올이 미친듯이 풀리는 쪽이 식서방향.. 그러니까 패턴을 놓으면 위와 아래가 올이 풀리고 있는게 맞는거. 텍스트로 쓰니까 세상 어렵네요jjjnjjj 야매정보입니다.. 그런데 솜뭉치옷에서 평직 원단은 사실 상하좌우 방향이 막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쨈무가 격하게 움직여서 겨드랑이나 가랑이가 터진다거나 잦은 세탁으로 옷이 헤지는 경우는 거의 없잖아요...?

원단의 앞뒤와 식서/푸서방향 구분이 중요한건 니트원단을 사용할때죠.

굵게 보이는 세로줄무늬 방향(⬆️⬇️)이 식서방향, 잘 안 늘어나는 쪽입니다. 패턴을 놓으실때 이 방향이 ⬆️⬇️이 되게끔 두고 재단하셔야됩니다. 만약 위아래로 쭉쭉 늘어나는 옷이 만들고 싶다면 반대로 하시면 되겠죠(?)...

마치면서...

야매로 우당탕 터득한거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원단 구매할때 이 흐름대로 하진 않죠. 일단 예쁜 천이 있으면 냅다 구매한 후에 만들만한 것을 찾는것...

마지막으로 직접 만든 인형옷에서 발췌한 원단사진들을 쭉 모아온 걸 참고하시라고 올립니다. 도움이 될지는 의문..🤔

얇다

얇다

나염, 날염 : 원단에 무늬를 인쇄한 것

선염 : 실을 염색

염색된 실로 원단을 만든 것

같은 20수지만 캔버스, 옥스포드는 더 빳빳 두껍한 느낌. 인형옷 재료로는 추천하지 않지만 이걸로 멜빵을 만들긴했다. 원단 처음 사봤을때 잘 모르고 구매해서 사용한것juj... 솜뭉치 에코백 만들기에 적당

묘한 신축성

📌

털원단이나 코듀로이 원단 등 먼지가 많이 날리는 원단들은 정말로 선세탁하지 않으면 피부가 간지럽다. 또 접착심지, 접착솜 등과 같이 본드같은게 묻은 재료들도 피부에 반응을 일으키므로 조심..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