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바델지수 검사 - sujeongbadeljisu geomsa



뇌신경계 질환의 주된 증상인
마비의 정도 및 범위, 불수의 운동의 유무 등에 따른 팔, 다리의 기능저하로 인한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활동)수행능력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이로 뇌병변으로 인해 재활치료 과정을 겪게 되면서
대상자의 재활치료 결과를 정확히 알고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각 항목의 점수를 총합한 결과는
뇌병변 장애등급 판정의 기준이 됩니다.



교육자료

수정 바델 지수(Modified Bathel Index; MBI)

수정 바델 지수(Modified Bathel Index; MBI)

1965Mahoney가 개발한 Barthel IndexShah, VanclayCooper(1989)가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생활 평가 도구로서 일상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고

각 항목은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의 점수체계를 가지며 최대 점수는 100점이다.

전혀

할 수 없음

많은

도움이 필요

중간정도

도움이 필요

경미한

도움이 필요

완전히

독립적으로 수행

개인위생

0

1

3

4

5

목욕하기

0

1

3

4

5

먹기

0

2

5

8

10

화장실

이용

0

2

5

8

10

계단

오르고 내리기

0

2

5

8

10

입고 벗기

0

2

5

8

10

배변

조절하기

0

2

5

8

10

소변

조절하기

0

2

5

8

10

걷기

(의자차 사용하기)

0

3

8

12

15

의자/침대로

이동하기

0

3

8

12

15

휠체어이동

0

1

3

4

5

휠체어 이동 항목은 한국형으로 추가된 항목임.

MBI 점수 합계

의존도에 따른 독립수준

0 ~ 24

완전 의존 ( total )

25 ~ 49

심한 의존 ( severe )

50 ~ 74

중등도 의존 ( moderate )

75 ~ 90

경도 의존 ( mild )

91 ~ 100

최소 의존 ( minimal )

 점수가 낮을수록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91~99점 사이를

최소의존도 (minimal independence)로 판단한다.

MBI는 평가의 편리함, 높은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으며(Smith, 1993),

개발 당시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9, 검사자간의 신뢰도는 .95이다(Shah etal, 1989).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