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 포인트 호스피탈 병동 - tu pointeu hoseupital byeongdong

이겜은 다 필요없고 효율만 중시하면 된다

효율중시해야는 이유가... 캐릭터가 한 2-3발자국 걸을때마다 하루가 지나감

그래서 동선과 전문화를 시켜야한다

1.청사진 적극활용

겜 여러판 할때마다 매번 설치하기 질림 

이럴때 청사진을 활용하면 좋다

일단 방하나 만들면 편함

청사진 활용하는 방법>>

아무방 만들고 템플릿 누른후 새템플릿 저장ㄱㄱ 그러면 그방 자체가 아에 기억됨

그리고 왼쪽에 방 버튼 누르고 (방만들때 누르는 그거요ㅇ) 필터 오른쪽에 지금 노랗게 바뀐부분 저아이콘누르면 저장한 템플릿을 부를수있다

2.최대한 방을 작게해서 공간효율 좋게 만들기 

이유는 말안해도 뭐...ㅇ 작은공간에 꾸역꾸역 넣는게 좋으니깐ㅇㅅㅇ

3.각방안에는 의자 쓰레기통 식물 소화기(기기 없는 방은 안해도됨 소화긴) 무조건 필수

뭐 쓰레기를 버리려 밖에 나간다던가 그러면 효율떨어지고 

직원이 잠깐 쉬고싶을때 의자없으면 에너지 떨어짐 작은 의자 아무거나 놓아주는건 필수다 

바깥복도쪽은 달콤한 디스펜서,물먹는곳, 게임기기(지루함 감소), 벤치(이건 각치료실,검사실 앞에두는게 좋음) 무조건 두는게 좋다

이건 걍 기본욕구랑 관련된거니깐ㅇㅇㅇ 

대신 사람들이 너무 많이 다니는 길목에 놓지는말자 

동선 난리난다 동선이 어느정도 겹쳐도 괜찮되 넓은? 그런곳이면 괜찮다

4.스피드 모드 깔기 

딴모드는 몰라도 이모드는 무조건 깔자ㅜ 좀 방치형 게임같다고 느낄때가 한두번아님

걍 빠르게 시간돌리기 할때 더 빨리 시간 돌리게 하는 모드임 게임에 방해될만한 치트성 이런건 전혀아니니까 걍 깔자

5.방에대한 설명

크게 두파트로 나뉨 

진단과 치료 ㅇ

진단이라하면 

모든 환자들이 일단 들어가자마자 한번씩들리는 진료실 이있고 (무조건 어느스테이지든 처음부터 3개정도는 만들어야함)

그외는 기타등등... 으로 나뉨 뭐 일반 진단실 순환기 검사실 메가스캔등이있다 (메가스캔도 추후에는 조금씩 늘려서 3개까지가야함)

이게 어떤방식이나면 

예시로 진료실에서 진단률 30정도 얻으면 

30가지고 알순 없잖음? 

메가스캔이나 일반 진단실 이런곳으로 자동 배치된다

근데 이자동배치가 효율적인 죽, 가장 잘측정하는곳으로 배치가된다

메가스캔과 순환기 검사실이있으면 

메가스캔에 사람들이 대기줄 30명이 있다한들 메가스캔부터 먼저 간다

걍 진단률 가장 많이 얻을만한곳으로 자동 배치됨...

만약 메가스캔에서도 30퍼의 진단률을 얻으면 총 60퍼ㅇ 

60퍼로도 진단률이 부족해질시에 그다음에 순환기 검사실같은곳에 가는거임

그러니까 진단실은 여러개 설치할필요 하등없고 

나경우는 효율좋으나 비싼 메가스캔 이것하나만 설치해도 커버된다 ㄹㅇ

만약 메가스캔으로도 안된다?

그럴시에는 치료와 진단이 동시에 가능한곳들이있다

예시로 병동,DNA분석실,정신과 같은곳이 있는데 그곳에 알아서 가면 웬만하면 다 알아서 진단된다

(방만들기에 들어가면 필터 부분있는데 여기서 어떤게 진단,치료가 동시에 가능한지 뜬다)

결론은: 진료실 3개 메가스캔1로 시작하고 추후에 조금씩 스캔실을 추가하자

TIP: 진단실 방에 약상자라는걸 둘수있는데 이걸 두면 진단률? 치료률이 높아진다

근데 좀 비쌈 그러니까 진단실에만이라도 꽉꽉채워서 두자 

------

치료는 딱히 할말이없는데... 그냥 병동 채색실 이런곳인데

이런거 많이 한다해서 환자들이 자주 애용하지도 않는다

아 대신 중요한건 환자가 이거 치료하고싶은데 방이없네요? 이럴때 그때그때 방을 만들자 

초반에 다만들면 돈없음

방3~4개당 간호사나 의사 배치하는게 좋다 

또 직원들 커리어 부분을 보면 나오는 의사들만 치료할수있는 영역과 간호사들이 치료할수 있는 영역이있는데

예시로 광대치료 채색 골절 //전구머리(이것만 의사가 치료 가능하고 나머지는 간호사만 치료가능함) 

이렇게 방배치를 두지말고 간호사가 할만한 다른 치료실을 가까이 두는게 좋다 

이겜에서 중요한건 동선=효율이니깐....

6.직원들의 전문화

이것도 효율이랑 관련됨 예시로 내가 80퍼의 진단률을 채우길 바라는데

스킬이 없으면 이방저방 왔다갔다하는 사이에 환자 죽어버림...ㅎㅎ 

그러니까 한번 진단받을때 완벽히 진단받는게 중요하다

이것도 진단과 치료로 나뉘는데 방수=N으로 두고 설명함

진단실= N명이 진단(GP상승) 교육만시키고 커리어 설정도 무조건 진단실만 하게함

메가스캔=N+1명이 메가스캔자격증+ 진단(GP말고 그냥진단!)스킬 N명은 무조건 메가스캔 나머지 한명은 진단실+메가스캔에서 일하도록함

이거면 진단실끝~

-----

치료 파트는 전에 설명했다시피 방3개당 한명씩 배정해두면됨\

스킬은 무조건 치료스킬로

음...굳이 말하자면

가끔 자격증이 필요한 방이있는데 예시로 DNA라던가 정신과ㅇㅇ

이걸 한명이서 한개이상 자격증을 따서 방을 맡으면 안되고 

A씨 = DNA, 전구, 냄비

B씨= 정신과,본점, 쇼크실

이런식으로 해야함 

근데 스테이지마다 특화된 병들이 있는데 이런건 좀 더 알아서 신경써주면된다

예시로 

치료실이 10방있음

그럼 10나누기 3는 약3 여기에 한명더 고용하는게 맘편함

나머지 한명은 모든치료방 서포트 목적으로 쓰면됨 

그리고 치료파트는 다필요없고 치료만 잘하면된다~

7. 별한개 채우기 전까진 파산 조심하기

웬만하면 별하나 넘기면 파산안당함

8.다른건 몰라도 직원실 화장실은 간소화하고 여러곳에 배치하기

 멀리있으면 아무대서나 싸지르니깐... 걍 작게 여러개 만드는게 좋음

9.조정하기

오른쪽 밑에 방 옆에 달러 표시되어있는거 누르면 개요뜸

거기서 직원누르면 휴식 정책뜨는데

갠적으로 15일까지는 괜찮은듯 

퇴사할꺼다 뭐다해도 15일은 퇴서눈 웬만하면 잘안함

수단누르면

치료를 위한 임계값 이건 진단률 몇퍼센트 채울시 치료ㄱㄱ 이건데 첨에는 90으로 설정되어있음

90은 너무 높음 나는 80으로 낮춤

...

그외 생각나는거 있으면 더적음~

언젠가 이 게임의 제대로 된 번역판이 등장하길 바라지만... 기약이 없으므로 간략(?)하게 게임에서 제일 중요한 room에 대한 설명만 남기려한다. room의 기능만 알아도 게임을 즐기는데 크게 무리는 없다. 이 게임의 원작인 테마병원도 그랬었다. ^^;;

가장 처음 만나게 되는 Hogsport는 공략 자체는 어렵지 않다. 그런데 가장 기초적인 진료실과 치료실이 등장하기 때문에 각 공간의 용도와 기능을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 때문에 hogsport 의 room설명이 좀 상세하고 뒤에선 각 스테이지마다 추가되는 room에 대한 설명이 붙을 예정이다.

참고로 병원의 공간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병이 무엇인지 관찰하고 결론을 내주는 진료 및 진단실, 이에 대한 결론으로 치료를 하는 치료실, 마지막으로 직원 및 환자들의 복지(?)를 위한 공간 등이다. 이 게임의 목표는 이 공간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배치하느냐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록 공간과 병원을 운영하는 자금에 여유가 있어진다.

stage - Hogsport

GP’s Office

Staff : Doctor

Diagnosis, consultation and basic human interaction. Patients must visit a GP at each stage of diagnosis. The GP decides where to send them.

진료실 : 의사

진단, 상담 그리고 사람과의 상호작용. 환자는 단계별 진단 후 진료실을 방문해야 됩니다. 진료실에서 그들을 어디로 보내야 할지 결정합니다.

병을 알아내기 위해 하는 진단 과정 마다 진료실을 방문 해야 된다. 때문에 이 동선에 맞춰 배치해주는 것이 모든 스테이지 공략에 중요하다. 환자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이기에 사람들이 줄서 기다리지 않도록 충분히 배치하는 것이 이 게임 전체에서 필요한 일이다.

General Diagnosis

Staff : Nurse

Basic Diagnosis. For scanning and reflex checks.

일반 진단실 : 간호사

상태를 보고 반응 확인을 위한 기초 진단.

일반 진료실은 특별할 것은 없다. 주로 확인 되지 않은 질병이 발견되었을 때 환자들이 가는 곳이기에 매 스테이지의 초반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질병이 다 발견되는 스테이지 중후반 즘엔 이용률이 많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Pharmacy

Staff : Nurse

Cures a range of illnesses. Serves everything on the medicinal menu.

약국 : 간호사

어느 정도 질병을 치료함. 의학적인 목록의 모든 것을 제공함.

모든 병을 치료하진 않지만, 치료하는 질병의 수가 가장 많은 곳이다. 스테이지 마다 특징이 있어 약국 활용율이 높은 곳도 있는 반면 낮은 곳도 있어 상황에 맞춰 늘려주고 줄이면 된다. 약제실이란 말이 더 어울리긴 하지만 가장 대중적이고 이해가 빠른 약국이란 단어를 넣었다. 

Ward

Staff : Nurse

Cures and Diagnoses a range of illnesses. Like a B&B without the breakfast.

병실 : 간호사

어느 정도 질병 치료와 진단. 숙박시설에서 아침밥이 빠진 것 같다.

치료의 기능도 있지만, 진단 기능도 있어서 사용 빈도가 높은 곳이다. 환자 침대의 크기가 큰 편이라서 작은 규모의 여러 개 병실보다 커다란 병실 하나가 낫다. 개인적으로 간호사는 2명을 배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Staff Room

Staff relax here when on a break. Place someone here to make them take a break.

직원 휴게실

휴식 기간에 여기서 직원들이 쉰다. 누군가를 여기에 두면 휴식을 취한다. 

직원 휴게실은 최소 넓이가 작은 편이다. 따라서 작은 휴게실을 독립 건물마다 분포 시키는 것이 좋다. 종종 직원들의 요구 때문에 크게 만들 필요도 있다.

Toilets

People should … you know, here. Where it’s always toilet time.         

화장실

사람들은 해야만 한다…. 알지 않는가, 여기. 항상 화장실은 가야 한다.

화장실도 최소 요구 넓이가 작은 편이라 작은 화장실을 여러 개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직원 및 환자 모두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투리 공간에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De-Lux Clinic

Staff : Doctor

Cures patients with Lighteadedness. Un-screwing heads since 2017.

전구 끄는 치료실 : 의사

전구머리질병의 환자를 치료한다. 2017년부터 머리를 반대로 돌렸다.

게임에서 보면 알겠지만, 의외로 치료가 간단하다. 여기서 말하는 2017년도가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겠다. ^^;; 추측으론 리메이크 시작 시점일 듯 하다. 

여기까지 작성일 : 2018.10.01.

stage - Lower Bollocks

Pans Lab

Staff : Doctor

Cures patients with Pandemic. Removes pans from the head stuck within them.

냄비 실험실 : 의사

유행병 환자들을 치료한다. 그들 머리에 끼워져있는 냄비를 제거한다.

머리에 냄비를 끼우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단 이야기다. 전구머리가 있는데 이런 유행이 없을리가 있겠나. 더불어 pan이란 단어를 중복된 의미로 쓴 설명이다. 이런 뉘앙스까지 웃기게 번역하는건 내가 할 수 없다. ㅜㅜ 

특정 질병만 치료하는 곳이라 여러 개가 필요하진 않지만, 상황에 따라 두개 정도가 필요할 때도 있다. 한편, 스테이지에 따라 관련 질병을 가진 환자가 없는 곳도 있다.

Cardiology

Staff : Nurse

Basic Diagnosis. Making sick people run could produce some interesting, and maybe even useful, results.

심장진단실

기본진단. 아픈 사람들을 달리게하고, 약간 흥미롭게 합니다. 아마도 유용한 결과가 나오겠죠.

Cardiology는 꽤 많이 봤던 단어인데, 번역(?) 작업 하기 전까지 굳이 찾아보지는 않았었다. 그만큼 중요도가 좀 떨어지는 공간이다. 기능은 일반 진단실과 비슷해서 특별히 설명할 건 없다. 여기서 하는 일은 심장을 최대한 자극 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철봉도 설치 할 수 있는데, 환자의 건강이 아니라 직원 복지를 위한 것이다. 

Psychiatry

Staff : Doctor with Psychiatry

Cure and Diagnosis a range of Psychiatric illnesses treats ailments of the mind.

Ailments : (가벼운)질병

정신의학과 : 정신의학 자격증 있는 의사

정신과적인 병과 마음 속의 질병의 일정 부분을 치료하거나 진단합니다.

자격증(?)이 있는 의사가 필요한 치료실이며 진단실이다. 의외로 많은 환자들이 진단을 받으려고 방문하는 곳이다. 스테이지의 성격을 잘 모를 땐, 기본으로 깔리는 진단실과 같은 숫자로 늘려주는 편이 좋다

여기까지 작성일 : 2018.10.02.

stage - Flottering

Clown Clinic

Staff : Nurse

Cures patients with jest infection. Clowns are rehabilitated for post-circus life.

광대 치료실 : 간호사

농담 감염증의 환자를 치료한다. 진보된 서커스 삶을 위해 광대는 재활 치료 된다.

이 병에 대한 설명을 보면, 광대짓(?)으로 인해 과몰입의 결과로 나타나는 질병쯤으로 설명된다. 그러니까 광대일을 하는데, 평소 생활에서도 이 광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질병이랄까? 그래서 이 치료실에선 극단(?)적인 치료를 감행한다.

Training

Teach staff new qualifications. Start a training course by dropping a member of staff here of selecting a lectern, picking which qualification you want to teach, then adding trainees

교육실

직원들의 새로운 능력을 가르친다. 교육 과정을 시작할 때, 가르칠 자격이 되는 직원을 찝어서 강의 테이블에 놓으면 된다. 그리고 교육받을 사람을 넣으면 된다.

세번째 스테이지의 주요 임무가 직원들을 어떻게 교육시키는 지에 대한 것이다. 직원 한명당 5개의 기술을 배울 수 있는데, 나름의 레벨(?)에 따라서 그 개수가 달라진다. 모든 사람들이 같은 것을 배우는 것은 아니고, 직업에 따라 배울 수 있는 것이 달라진다. 이걸 상황에 맞춰서 가르쳐 주면 되는데, 보유하고 있는 직원으로 가르치는 것은 돈이 들지 않는다. 하지만 해당 기술이 없는 것을 가르칠 땐, 선생님 부르는 가격 1, 교육생 한 명당 5천이다.

초반에는 능력치 좋은 직원들 몇몇을 고용해서 능력치 제로에 가까운 직원들을 가르치게 하는 게 좋은데, 문제는 직원들의 능력치를 내 입맛에 맞게 쉽게 골라지지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런 역경을 극복하는 것이 게임의 묘미기도 하니… ^^;;

Reception

Staff : Assistant

Patients register here after arriving at the hospital. Every journey begins somewhere…

접수처 : 보조원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면 여기서 등록을 해야 한다. 모든 여행의 시작은 어디에선가

접수처 직원을 보조원이라고 한 것은 말 그대로 직역을 한 탓이다. 문제는 한국어의 뉘앙스와 달리 여기서 말하는 보조원은 병원의 전반적인 사무직 및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람들 모두를 한꺼번에 말한다. Room에서 선택하는 접수처는 아이템으로 하는 것과 달리 여러 명의 직원을 둘 수 있다. 각 스테이지 초반엔 아이템으로 나오는 접수처를 사용하다가 환자들의 수가 늘어나는 것에 맞춰  Room의 형태로 바꾸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차지하는 자리가 넓으니 공간 확보를 한 후에 Room으로 확장하는 편이 낫다.

여기까지 작성일  : 2018.10.05.

Stage - Tumble

*이 단계쯤 오면 온도에 신경을 써야 한다. 직원들 만족도는 직원들이 근무하는 병실을 얼마나 많이 꾸미느냐에 달려 있지만, 보통 이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온도 조절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미리 확장한 병동의 빈 공간까지 온도를 맞춰줘야 만족도가 올라가니 참고 하길 바란다.

Fracture Ward

Staff : Nurse

Cures a range of Bone-related injuries. There’s nothing so broken that papier-mâché won’t help.

골절병실 : 간호사

뼈에 관련된 부상자를 어느 정도 치료한다. 깁스의 도움이 없다면 부러진 건 회복 할 수 없다.

직역을 하면 말이 좀 이상해서 대충 의역을 했다. 결국은 깁스를 해야 뼈가 붙는다는 말이다. 뭐 어찌되었든, 이 게임에선 잠시 누워있는 병실과 골절된 환자만 치료하는 병실이 따로 존재한다. 여기도 일반 병실을 확장하듯 게임 과정에 맞춰 확장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까지 작성일 : 2018.10.06.

stage - Mitton University

Research

Staff : Doctor with Research

Launch research projects to design new types of equipment, and become better at diagnosing and cuing illnesses. Start a research project by selecting a research pod and choosing a project.

연구실 : 연구자격증 있는 의사

새로운 형태의 도구와 더 나은 질병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연구를 시작한다. 연구 포드를 선택해서 프로젝트를 선택하면 연구를 시작할 수 있다.

Mitton University 스테이지의 목적인 연구실이다. 초반에 연구실을 설치하는게 부담스러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빠르게 설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이 스테이지의 첫 목표는 연구를 해야만 나오는 치료실 이면서 꾸준히 환자들이 찾는 질병 치료실이다.

Chromatherapy

Staff : Nurse

Cures patients with Grey Anatomy. Reintroduce colour into your life.

색치료실 : 간호사

회색 신체를 치료한다. 당신의 삶에 색을 다시 입혀준다.

Grey’s anatomy란 유명 미국 의학드라마를 패러디한 설명이다. 연구를 해야만 나오는 치료실이고, Mitton University 스테이지의 주요 질병 치료실이기도 하다.

Fluid Analysis

Staff : Nurse

High-Tech Diagnosis. Extracts fluids for analysis, and sometimes for fun.

혈액 검사실 : 간호사

하이테크 진단실. 몸에서 추출된 액체들을 검사한다. 그리고 가끔은 재미로 한다.

몸에서 나오는 모든(?) 액체를 검사하는 곳이다. 이해하기 쉽게 혈액 검사실이란 이름으로 번역했다. 이 검사실의 핵심은 피를 뽑는 것이다.

X-Ray

Staff : Doctor

High-Tech Diagnosis. Excellent for spotting items lost inside of people.

엑스레이실 : 의사

하이테크 진단실. 사람 몸속의 잃어버린 아이템을 찾아내는데 탁월하다.

뭐 굳이 설명할 것 없이 누구나 잘 아는 검사실이다.

M.E.G.A Scan

Staff : Doctor with Radiology

Super-High-Tech Diagnosis. The secret ingredient is magnets, or something.

메가스캔 : 방사선학 자격증 있는 의사

엄청난 하이테크 진단실. 그 비밀 재료는 자석 또는 무언가

중의적인 표현이다. ㅡㅡ;; 메가스캔으로 읽어서 엄청나다 대단하다 는 의미를 부여하면서, 자기장 검사 등을 한다는 의미를 담은 말이기도 하다. 현실의 MRI 검사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Injection Room

Staff : Nurse

Cures a range of illnesses. The pointiest of all the treatment methods.

주사실 : 간호사

어느 정도의 질병을 치료한다. 모든 치료방법 중 가장 날카롭다.

딱히 설명할 건 없다. 여기서 말할 수 있는 건 가장 무서운 곳이라는 것 뿐이다. ㅋㅋ

여기까지 작성일 : 2018.10.07

Stage - Flemington

Marketing

Staff: Assistant with Marketing

Run marketing campaigns to improve hospital reputation, attract patents with particular illnesses and staff of certain types. Start a marketing campaign by selecting a marketing table and choosing a campaign.

홍보부 : 홍보 자격이 있는 보조원

홍보 활동으로 병원의 명성을 높이면,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들과 확인된 능력을 가진 직원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 홍보를 시작하려면, 홍보 테이블을 선택하고 홍보할 것을 고르면 된다.

홍보부란 단어는 요즘은 잘 안쓰는 단어다. 그럼에도 넣은 이유는 그래도 번역(?)을 하는 것이라서 굳이 써 넣었다. 홍보부가 있어서 좋은 점은 원하는 직군(?) 아니 능력을 지닌 직원을 홍보활동으로 병원 지원자로 끌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특정 질병에 관한 치료시설이 놀고 있을 때, 홍보를 통해 그 시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Café

Staff : Assistant

A room dedicated to the feeding and entertaining of patients and staff. For the fulfilling experience a vending machine can’t offer.

카페 : 보조원

이 공간은 환자와 직원들을 먹이고 재미있게 해주 것에 특화되어 있다. 자동판매기가 줄 수 없는 경험을 가득 채워 준다.

홍보부를 번역한 기준에 따르면 다방으로 해야 하겠지만, 다방이란 가진 어감이 현재 우리가 흔히 쓰는 카페와는 달라서 그냥 카페로 했다. 여기다 쓰긴 뭐하지만, 다방의 이미지는 서양의 커피숍이나 카페의 느낌과 달리 유흥의 한 면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 유흥이 무엇인지는 어르신들에게 어쭈어보도록하자. ㅡㅡ;;

Pest Control

Staff : Nurse

Cures patients with Animal Magnetism. No one should be unwillingly covered in animals.

유해동물 처리실 : 간호사

환자를 동물 자기장으로 치료한다. 동물들이 들러붙어 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하나도 없다.

이미지를 보면 알겠지만, 여기서 pest라고 해서 바퀴벌레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유해동물 처리실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동물들이 떨어지지 않아 이들을 떨구려고 동물 자기장을 쏘는 것이다

여기까지 작성일 : 2018.10.16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