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곤지름 자연치유 - yeoseong gonjileum jayeonchiyu

���� ������, ����� ���� ������ ���ǻ�����?


���: 2020.09.07

������ ���� ������ ���� �����̶�� ���ı⿡�� �������� �������� �ʴ� �Ϸ����� ���� ���� ������ �� ���� ������ �η���, �������� �۽��̱� ����. �縶�ʹ� �Ǻο� ��Ư�� ������ ���Ⱑ ����� ������ ũ�� �β����� ��ȯ�� �ƴϴ�. ������ ���� ���ı� ������ �߻��ϴ� �縶���� ������(�ܵ��θ�)�� �������� �з��� ���� �̵��� ��Ȳ�� �ϴ� ��ȯ�̴�.

������ ������(�ܵ��θ�)���� �Ҹ��� ���� �縶�Ͱ� �߻��ϸ� ��𿡼� ġ�Ḧ �޾ƾ� ���� ���� �Ǵ����� ���Ѵ�. ���ı⸦ ������ ��ü ������ ��Ÿ���� �縶�ʹ� �Ǻΰ����� ġ�Ḧ �޴� ���� �°� ���� �������� ���� ���ı⿡ ��Ÿ���� �����̹Ƿ� �����а����� ġ�Ḧ �����ϸ� �ȴ�.

�������� �׹��� ���Ҿ� ������ ���� ������, �ڱð�� � ��Ÿ����. ���� �� ���˿� ���� �����DZ⵵ ������ ���߸���� ���� ��ҿ��� ���� �����̳� ���� ���� ���������� ������ �����Ǵ� ��쵵 �ִ�.

�� �� �����Ǹ� 1~6�������� �ẹ�⸦ ��ġ�ų� ������ �� 2~3���� �� �Ǻ� �������� ��Ÿ����. �������� �ߺ����� �� ġ������ �ʰ� ��ġ�� ��� ������ �� Ȯ��ǰ� ũ�� ���� �� �־� ���ǰ� �ʿ��ϴ�. �������� HPV�� ���� �ߺ��ϴ� ��ȯ�� ��ŭ ������ �ڱð�ξϰ� ���谡 ����. ���� �������� �ڰ� ġ��� ���� �ڿ� ġ���� ���� ���� ��ȯ�̸鼭 ����ڰ� �ִ� ��� ���� ���� ����� �����ϴ� ��ŭ ������ ��Ÿ���� �� ��ü���� ���� �񴢱���� ������ ������ ġ��޴� ���� �ٶ����ϴ�.

Ƽ�ĴϿ��������а� ���ΰ� ������ ������ �������� ��� ������ ��ü ������ ������ ������ Ȯ���ϱ� ����� �ʱ� �߰��� ���� �ʴ�. �ʱ� �߰��� �ʾ��� ��ġ�� ��� ������ �ֺ����� ������ ���� Ÿ�ο��� ������ų ���ɼ��� ������ ������ ���ǰ� �ʿ��� ��ȯ�� �������� ġ�� ������δ� ������ ġ�� �� �ܰ��� ������ ���� ���� ���� ���ſ� ȿ������ �ٿ� ġ�Ḧ ������ �� �ִ�. �ƿ﷯ HPV ���� ��� ������ ���� ������ ����� �� �� ������ 100% ������ �� �� ���� ������ �ϻ��Ȱ �� �� ���˽� û�� ������ �ֱ����� �����а� ������ �����ϴ� ���� ���١��� �����ߴ�.

����ΰ� ���� (����=Ƽ�ĴϿ��������а� ����)

���� ���ΰ� ������ ������ �������� ��� �� ���� ��ȯ�̶�� ��� ������ ���� ȯ�ڵ��� ��ȯ���� ���� ��Ʈ������ ȣ���ϸ鼭�� ġ�ῡ ���� ������ ���ϴ� ��찡 ������, ���⿡ ġ�Ḧ �����Ҽ��� ��ġ������ �Ⱓ�� �پ��� ������ �ǽɽ����� ������ ��Ÿ���� ���� ���� ������ �޾ƾ� �Ѵ�. ���� ��쿡 ���󼭴� �ٸ� �� ������ ��ȯ�� ������ �߰� �˻簡 �ʿ��� �� �־� ���λ� �ƴ϶� �� ������ ���� ���浵 �Բ� ġ�Ḧ �޴� ���� ����. Ư�� �ӽ��� �غ��ϰ� �ְų� �ӽ� ���� �����̶�� �ݵ�� ���� �ʱ⿡ ������ �˻縦 �޴� ���� �߿��ϴ�. �и� �������� �Ż����� �԰� �ڸ� ���� ������ �� ��� ���� ���̿��� �ĵ� ������ ����ų �� �ֱ� �����̴١��� ���ٿ� �����ߴ�.

��� �������� �����ϱ� ���ؼ��� �⺻������ ��Ģ���� ��Ȱ������ �����ϴ� ���� �ʿ��ϴ�. ����, ��Ʈ����, ����, ������ �鿪���� �ް��� ���Ͻ��� �ٸ� �縶�� ���̷����� ����DZ� ���� ������ ���ϴ� ���� ����. ���� ���� ������ ö���� �ϰ� ���к��� ����� ���ؾ� �ϸ�, �鿪���� ���ϵ� ���¶�� �����̿�ü��� �ﰡ�� ���� ����.

���ؼ� ����

* �� ����� ������ �޵��������� ��л翡�� ������ ����̸� �コ������ ��������� ��ġ���� ���� ���� �ֽ��ϴ�.(���� ���Ǵ� �ش� ��л翡 ������Ź�帳�ϴ�)

  • �پ��� �Ǻ� ���� ���� �ִ� ���׶��� ���κ��� ���� �ַ���̶�
  • ������ �� ���۵� ���㸮 ����, ��ħ���߳���� �� �ѹ� ġ�� ����
  • ��üȰ�� �ٸ� ���� Ŀ���� �������桦����� ȿ����?
  • ���и� �ϴ� ü�� ����, �ѹ� ���̾�Ʈ ���� ���� ȿ����?

최근 자궁경부암을 예방한다는 백신을 두고 국내외에서 실효성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높은 가격에 비해 실효성은 크게 떨어진다는 주장과 자궁경부암을 일부라도 줄일 수 있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사람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3%뿐
감염자중 암 발병율 극소수
예방접종 가격 너무 비싸 부담

자연적 치유 90%인데 백신 필요한가=최근 국내 언론을 통해 자궁경부암을 예방한다고 대대적으로 알려진 백신은 사실상 사람유두종바이러스를 막는다. 이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의 주 원인이기는 하지만, 항상 자궁경부암을 낳는 것은 아니다. 일생을 거쳐 모든 여성의 70~80%가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암에 걸리는 경우는 극소수다. 대한산부인과학회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에서 자궁경부암은 10만명당 14명 정도 걸리는 것으로 나와 있다. 감염률을 적용해 볼 때 10만명 가운데 7~8만명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만 실제 암 발생자는 14명 수준이라는 것이다. 김재원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물론 재발이 가능하지만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하더라도 90% 이상 자연 치유가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해림 국립암센터 암등록역학연구부장은 “기존 연구 결과를 보면 감염 뒤 1년이 지나 80% 정도에서 바이러스가 없어졌고, 그 뒤의 관찰에서도 계속 바이러스 불검출 비율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최근 미국질병관리본부는 해당 백신이 효력을 갖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4가지 가운데 한 가지라도 감염된 여성이 전체의 3.4%에 그친다는 통계자료를 발표했다. 미국 14~59살 여성의 26.8%가 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었지만,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고위험 바이러스 종류인 16, 18형에 감염된 사람은 2.3%에 불과했다.

김 교수는 “한국의 경우 국립암센터 등에서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감염률 자료 등이 있지만 연구의 한계가 있다”며 “우리나라 실정도 대체로 미국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자궁경부암 조기 검진이 필요한 경우 -성생활을 시작한 모든 여성 -외음부에 사마귀(콘딜로마)를 앓았던 여성 -성병 경험이 있는 여성 -생리 이외 부정기적 출혈이 있는 여성 -성교 뒤 이상 출혈이 있는 여성 -흡연 여성 -장기간 경구용 피임약 복용 여성 -면역억제제 등 치료중인 여성 자료 : 대한산부인과학회

“자궁경부암 감소효과 분명, 필요한 백신”=자궁경부암 발병 원인을 모두 설명하는 것은 아니지만 해당 바이러스와 암과 인과성이 어느 정도 증명됐고, 일부 사람들은 효과를 보는 만큼 예방접종은 꼭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신해림 부장은 “기존 연구에서 자연치유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재감염될 가능성도 매우 높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며 “자궁경부암의 필수요인으로 밝혀진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백신이 있다면 적극 사용을 권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선 김 교수도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효과에 비해 비용이 크다는 점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지적하고 있다. 신 부장은 “비용이 너무 높은 것은 흠”이라며 “세계보건기구 등에서도 자궁경부암 발생이 많은 후진국에 값싸게 공급하는 대책을 만들고 있고, 우리나라도 저소득층에는 낮은 가격으로 공급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백신보다는 조기 검사가 우선=예방 백신의 실효성 논란과 관계없이 자궁경부암 발생을 줄이는 첫번째 방안이 암 조기검진이라는 데에는 관련 전문가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자궁경부암 발생이 상대적으로 높게 보이는 것은 미국, 일본 등처럼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수검률이 높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신 부장은 “10만명당 31명에서 발생했던 과거에 비해 자궁경부암이 줄고 있는 이유는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수검률과도 관계가 있다”며 “수검률을 높이고, 암을 제대로 잡아내려면 검진법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자궁경부암 : 여성 자궁의 목 부분에 생긴 암으로,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여성 암의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았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 흡연, 경구피임약 등이 위험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치료 가능성과 치료 뒤 생존율은 다른 암에 비해 크게 높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