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돈 바꾸는곳 - yesnal don bakkuneungos

옛날돈 천원 오천원 만원 구권 지폐(화폐) 사용 가능여부 알아보겠습니다.

▶ 요즘도 구권 사용이 가능할까요?

교환 후 사용이 가능합니다.

▶ 구권은 은행 교환이 가능한가요?

시중은행 아무곳이나 방문해도 교환이 가능합니다.

아직도 신권이 아닌 구권이 시중에 많이 있나봅니다.

옛날돈 천원 오천원 만원 구권 지폐(화폐) 사용 가능여부

여러분은 언제 태어나셨나요? 아마도 신권과 구권의 기준을 놓고 볼때 2007년에 제작된 것을 토대로 구권과 신권을 나누게 될텐데요 각 지폐의 초상화나 그려진 도안을 볼때 1970년대까지 가지 않는 이상 대부분의 모양은 비슷합니다. 물론 제가 말씀드린 내용은 만원권 기준이고 각 지폐 제작 및 사용시기가 다른만큼 참고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요즘 현금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이 있었나요? 저만해도 지하철 정기권을 충전하기 위해 현금을 사용하는 용도 말고는 실제 현금을 사용해본지가 언제인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현금이 필요하면 대부분 모바일 뱅킹을 통해 계좌이체를 했을 뿐 실제 지폐를 주고 받은 기억이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그만큼 생활에 있어 현금 사용이 줄어들었는데 의외로 구권이 종종 사용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각 지폐 구권 사용 가능한가?

현재 사용 가능한 신권이라 불리는 지폐 외의 모든 지폐를 구권이라 부르는데 이론상으로는 1962년 화폐개혁으로 -환이 -원으로 바뀐 이후 발행된 지폐는 법정통화로서 인정되어 현재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말 그대로 이론상 가능한정도며 실제 사용을 하려고 하면 그 값어치로 사용승인을 하는 것은 아니고 신기해서 받아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특히 이전 구권이 아닌 몇단계 전 구권인 경우 사용가능 여부를 떠나서 오히려 가지고 있으면 나중에 해당 금액보다 더 비싸게 팔리는 경우가 많다보니 사용을 하지 않고 중고나라 또는 경매와 같은 방식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에하나 구권을 받아주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자판기) 이 경우 교환을 할 상황이 생길 수 있는데 구권 교환은 시중 1금융권 은행 어디든지 가능합니다. 바로 이전 구권이라면 상태가 A급이 아닌 이상 가격상승여지는 거의 없으므로 교환을 하지 않고 그냥 사용하셔도 대부분 잘 받아줍니다.

옛날돈 천원 오천원 만원 구권 지폐(화폐) 사용 가능여부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물건 구매 후 현금지불시 대부분 잘 받아주므로 두단계 이전 구권이 아니라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화폐수집

옛날돈 최고가로 매입합니다. (옛날지폐, 옛날동전, 기념주화, 은화, 등등) #옛날돈파는곳 #옛날돈 #옛날돈파는법 #희귀동전거래소 #화폐수집 #옛날동전 #1970년10원

김형인2019. 8. 24. 0:00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신고하기

1998년 500원은 사용제여도 최고가에 구매합니다.

옛날돈을 판매 원하시는 분들은 댓글 바랍니다.

01049005204 <= 연락처

재테크

옛날 돈을 한국은행에 가지고 가면 제 값 받을 수 있나요?

방송이나 신문을 보면 옛날 돈, 오래된 동전이 비싸다는 내용이 종종 나옵니다.

화폐수집가라면 몰라도 일반인은 값비싼 것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가격이 얼마나 되는지, 어떻게 팔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문외한입니다.

그러다보니 쉽게 은행이나 한국은행에 가져가면 제값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합니다.

은행, 한국은행은 옛날돈을 매매하는 곳이 아닙니다. 단지 현행 통용화폐, 즉 원화에 대해서는 액면가와 동일하게 교환을 해주고 있습니다.

액면가라는 것은 지폐나 동전에 찍혀있는 금액으로 당연히 오래된 돈을 액면가로 바꾸게 되면 손해를 보게 됩니다.

기념주화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기념주화는 일반 동전과는 달리 프리미엄이 붙어서 처음 발행시에서부터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959년 1/2프랑 실제 사용된 은화

이렇게 비싸게 판매된 기념주화라고 하더라도 그 액면가로만 교환을 해주는 것이죠.

결국 옛날돈의 가치를 알아볼려면 고화폐상, 화폐수집상에 문의를 하거나 수집까페 같은 곳에 가입을 해서 문의해보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판매, 거래 역시 화폐수집상을 통해서 파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고 수집까페, 중고거래사이트 등을 통해서 매매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까페 등은 조금 더 비싸게 팔 수는 있지만, 판매시에 높은 회원등급과 인증번호 등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고전화폐상이 더 편한 편입니다.

  1. 홈페이지 바로가기
  2. 화폐
  3. 화폐교환 기준 및 신청
  4. 화폐 교환 기준 및 방법
  5. 화폐교환장소 안내

  • 손상화폐 교환
  • 유통정지·발행중지화폐의 교환
  • 화폐교환장소 안내
  • 화폐교환 한도
  • 화폐교환 기준

  • 손상화폐 및 불에 탄 돈은 한국은행 본부 및 전국의 지역본부에서 교환할 수 있음
  • 다만, 교환금액을 판정하기가 어렵지 않은 손상화폐의 경우에는 가까운 은행(농협, 수협 및 우체국 포함)에서도 교환할 수 있음

     ※ 한국은행 지역별로는 1인당 화폐교환량 제한, 코로나19 등 제반여건으로 인해 중식시간중 화폐교환이 안될 수 있으므로 교환량이 많을 경우                사전에 유선확인 필요

한국은행 본부 및 지역본부의 소재지와 전화번호

한국은행 본부 및 지역본부 소재지 및 전화번호

본부(발권국)부산본부대구경북본부목포본부광주전남본부전북본부대전충남본부충북본부강원본부인천본부제주본부경기본부경남본부강릉본부울산본부포항본부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202(역삼동 717번지) 02) 560-1688, 1689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25(문현동 1230번지) 051) 240-3700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45(동인동 2가 80번지) 053) 429-0301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109(명륜동 3-1번지) 061) 241-1000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126(치평동 1202번지) 062) 601-100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달로 325(진북동 301-3번지) 063) 250-4000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북로 65(둔산동 1377번지) 042) 601-1114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 145(수동 309-2번지) 043) 220-0550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31(중앙로 1가 60-1번지) 033) 258-3200
인천광역시 중구 인항로 10(신흥동 3가 7-208번지) 032) 880-011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복지로1길 20(도남동 669-1번지) 064) 720-2411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팔달로 217(영화동 439번지) 031) 250-0114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633(신월동 94번지) 055) 260-5114
강원도 강릉시 경강로 2063(성내동 3번지) 033) 640-0100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 52(신정2동 650-7번지) 052) 259-7400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흥로 180(죽도2동 643-1번지) 054) 289-2800

담당부서 및 연락처 : 발권국 발권기획팀 | 02-560-1630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