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 대 차이 - de dae chai

친구와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하고 있을 때의 일이었다.

“택배 3월 2일에 온데”

“대!!”

맞춤법에 관심이 많은 나와 달리 맞춤법에 별 관심이 없는 나의 친구는 ‘-대’를 써야 할 자리에 ‘-데’를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마다 ‘-대’를 써야 한다고 알려주곤 하지만, 최근엔 이런 경우가 내 친구만의 일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유튜브, SNS,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봐도 ‘-대’를 써야 할 자리에 ‘-데’를 쓴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알고 있었데’, ‘카톡도 된데’와 같이 말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대’와 ‘데’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대

[Ⅰ] 「어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Ⅱ] ‘-다고 해’가 줄어든 말.

-데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비해,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친절한 설명대로, ‘-데’는 자신이 과거에 직접 경험한 사실을 전할 때 쓰이고, ‘-대’는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할 때 쓰인다. 내 친구는 택배가 3월 2일에 도착한다는 소식을 택배사로부터 듣고 그것을 나에게 전달하고 있으므로,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하는 상황이어서 “3월 2일에 온대(온다고 해)”라고 해야 한다.

‘-데’의 용례로는 “걔가 말을 아주 잘하데”를 들 수 있다. 나는 ‘-데’를 쓸 상황에 ‘-더라’를 주로 써서 어미에 ‘-데’를 쓰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졌다.

나에겐 너무 어색한 어미 ‘-데’. 왜 많은 사람들은 ‘-대’를 ‘-데’로 잘못 쓰고 있을까? 다른 맞춤법은 나도 많이 헷갈려서 그 어려움에 잘 공감하는데, ‘-대’가 어려운 이유는 이해할 수가 없어서 오랜 시간 고민을 해 보았다.

처음 떠오른 생각은 발음의 유사성이었다. 한국어에서 모음 'ㅐ'와 'ㅔ'는 발음상 잘 구별되지 않는다. 다들 한번쯤 “아이(ㅏ,ㅣ) 모음을 써요. 멍멍 개 할 때 'ㅐ' 모음이요.”와 같이 말해 본 적이 있지 않은가? ‘-대’와 ‘-데’도 소리가 잘 구별되지 않아 ‘-대’를 쓸 자리에 ‘-데’를 쓴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소리가 잘 구별되지 않아 표기가 헷갈릴 때, 왜 하필 'ㅔ' 모음을 써서 ‘-데’라고 쓰는 걸까? 왜 어색한 ‘-데’를 쓰단 말인가. 아직 나의 궁금증이 해결되지 않았다.

고민을 하던 중, ‘-데’를 쓰는 사람들이 당당하게, 큰 고민 없이 ‘-데’를 쓴다는 것을 포착하게 되었다. ‘로서’와 ‘로써’, ‘되’와 ‘돼’ 등 발음이 비슷해서 표기에 혼란이 있는 경우에 사람들은 검색을 해서 그 쓰임을 확인하고, 올바른 표기를 사용하려고 하곤 한다.

혹은 잠시라도 고민을 한 후에 둘 중 한 표기를 선택한다. 하지만 내 주위에 ‘-데’를 자주 쓰는 사람들은 그게 너무나 당연하고 맞다는 듯이 ‘-데’를 쓰고 있었다. 이 모습을 보고 ‘-데’가 쓰이는 여러 문장이 떠올랐다.

“돈도 없는데 붕어빵은 다음에 사자.”

“얼만데?”

“3마리에 5000원이라고 써 있던데

“헉 정말 비싼데!”

“아 오늘 저녁에 아빠가 치킨 사 오신대. 얼른 집으로 가자.”

‘-ㄴ데’로 시야를 넓히니 어미가 ‘데’로 끝나는 많은 문장이 보였다. 어미 ‘-데’가 쓰인 표현은 나에게 낯설지만, ‘-ㄴ데’가 쓰인 표현은 너무나 일상적인 표현이었다. 연결어미 혹은 종결어미로 쓰이는 ‘-ㄴ데’에 익숙한 많은 사람들이 ‘-대’를 쓸 자리에 ‘-데’를 쓰는 것이었다.

이제 ‘-데’를 사용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어미 ‘-대’보다 ‘-ㄴ데’의 쓰임이 더 빈번해서 /데/라는 형태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대’를 쓸 자리에 ‘-데’를 쓰고 만 것이다. 하지만 ‘-대’를 쓸 자리에 ‘-데’를 쓰면 의미가 많이 달라져 소통의 오류를 낳기 때문에 맞춤법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헷갈린다면 하나만 기억하자. ‘-다고 해’의 의미를 가질 때는 ‘-대’를 쓴다! “엄마가 청소하”와 같이 다른 사람의 말을 전할 때는 /ㅐ/를 쓴다는 것을 꼭 기억하고, 적절한 상황에 ‘-대’를 사용해 보자. 몇 번 연습해 보면 ‘-대’와 친해질 수 있을 것이다.

글쓰기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도 자주 헷갈리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종결어미(終結語尾)인 ‘-대’와 ‘-데’이다. 가령 “철수가 집에 ○○”라고 할 때 “왔데”라고 써야할 지 “왔대”라고 써야할 지 헷갈리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을 컴퓨터의 한글 프로그램에 의존하곤 한다. 한글 프로그램 자체에 맞춤법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맞춤법에 어긋나면 단어 아래에 붉은 색 줄이 그어지고, 그런 경우에만 맞춤법을 확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 종결어미 ‘-대’와 ‘-데’는 어떻게 쓰건 붉은 줄이 그어지지 않는다. 단순하게 보면 둘 다 맞춤법에는 문제가 없지만, 어떤 경우에 쓰느냐에 따라 맞춤법에 어긋난 것일 수도 있는 게 ‘-대’와 ‘-데’이다.

의미전달에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소홀하기 쉬운데, ‘-대’와 ‘-데’는 잘 구별하여 써야 할 종결어미이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데’는 ‘~하게’ 할 자리에 쓰이어 경험한 지난 일을 돌이켜 말할 때 쓰는, 곧 회상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이다. 구체적으로 ‘-데’에서는 ‘더’라는 형태소가 분석되는데, 이 형태소는 예부터 회상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로 그 기능이 그대로 ‘-데’에 반영된 것이다. ‘-데’가 회상을 나타낸다는 것은 아래의 예들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①그가 그런 말을 하데.

②경치가 과연 좋데.

③신부가 예쁘데?

위의 예문에서 ①은 “그가 그런 말을 하더라”는 의미이고, ②는 “경치가 과연 좋더라”는 의미로 각각 말하는 사람이 자신이 직접 체험한 사실을 회상하여 듣는 사람에게 말하는 것이다. 또한 ③에서처럼 ‘-데’는 의문문에 쓰이기도 한다. “신부가 예쁘데?” 하면 결혼식에 가서 신부를 직접 본 사람에게 신부가 예쁘더냐고 물어보는 말이 된는 것으로 ‘-던가’와 같은 뜻이다.

참고로 “오늘 날씨 참 덥데”, “두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리는데”, “기분 좋은데” 등에서 보듯 ‘-ㄴ데, -는데, -은데, -던데’ 등의 종결어미들도 있다. 이 어미들에도 ‘데’가 보이긴 하지만 스스로 감탄하는 뜻을 나타내며 보통 다른 사람의 의견이 어떠한지 묻는 의도를 내포하기도 하는 것으로 ‘-데’와는 뜻이 다르다.

한편 ‘-대’는 ‘다(고) 해’의 준말이다. ‘다고’에서 ‘고’가 탈락하고 남은 ‘다’에 ‘해’에서 ‘ㅎ’이 탈락한 ‘ㅐ’가 합쳐진 말이다. 아래의 예문에서 보듯 ‘-대’는 형용사 및 동사의 어간 다음과 동사 및 지정사(무엇이 무엇이라고 지정하는 단어로, 긍정의 ‘이다’와 부정의 ‘아니다’가 있다)의 시제형태소 ‘ㄴ, 는, 었, 겠’ 등에 연결되어 ‘-대, -ㄴ대, -는대, -었대, -겠대’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①그 여자 참 예쁘대(예쁘다고 해).

②그 사람 오늘 떠난대(떠난다고 해).

③그 사람은 책만 읽는대(읽는다고 해).

④그 사람은 학생이 아니었대(아니었다고 해).

⑤집에 그냥 있겠대(있겠다고 해).

위의 예문들은 모두 괄호 속에 보이듯 ‘○○대’가 ‘○○다고 해’의 뜻을 갖는 것들이다. 곧 ‘-대’는 말하는 사람이 문장 속의 주어를 포함한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듣는 사람에게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선생님이 너 오래”처럼 명령형 등의 뒤에서 쓰이는 ‘-래’는 ‘-라고 해’에서 줄어진 말로 ‘-대’와 같은 뜻을 가진 또 다른 형태소입니다.

그래도 ‘-데’와 ‘-대’가 헷갈린다면 다음과 같은 원칙만 기억하자.

①영화 ‘명량’이 참 재미있데.

②영화 ‘명량’이 참 재미있대.

위의 예문에서 ①은 말하는 사람이 직접 그 영화를 보고 “영화 ‘명량’이 참 재미있더라” 하는 뜻으로 말하는 것이고, ②는 말하는 사람이 직접 그 영화를 보지 못한 채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은 대로 “영화 ‘명량’이 참 재미있다고 해”라는 뜻으로 말하는 것이다. 즉, 자신이 직접 경험한 것으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할 때는 ‘-데’를 쓰고, 경험하지 못한 채 남의 말을 전하면서 ‘-다고 해’라는 의미를 전달할 때에는 ‘-대’를 쓴다.

안녕하세요!

맞춤법을 같이 배워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너무나도 많이 헷갈리는

'데와 대'의 차이점을 알아볼게요!

데 vs 대

출처:네이버 사전 검색 결과

위를 보시면

'-데'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하는 것이고,

'-대'는 다른 사람에게 들었거나,

이미 알고 있는 사실

옮겨 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1. 옆집 할머니 음식이 너무나 맛있데~

    옆집 할머니 음식이 너무나 맛있대~

둘 다 맞는 문장이지만, 뜻이 다르답니다.

'맛있데~'는

자신이 직접 음식을 먹어보고

'할머니 음식 맛있더라'

라는 뜻이고,

'맛있대'는

다른 사람이 음식을 먹고

그 사람에게 들은 사실

이야기하는 것이죠.

'할머니 음식 맛있다고 하더라'

라는 뜻이죠.

2. 그 놀이공원 정말 재밌던데!

그 놀이공원 정말 재밌대!

'-데'는 자신이 경험한 뒤에 말한 것이므로,

과거형으로 사용해야

자연스럽죠.

'-대'는 들은 시기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과거형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자연스러운 걸 알 수 있습니다.

[구별하는 쉬운 방법]

뜻을 해석하며 구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더 쉬운 방법은

'-데' →'~더라',

'-대' →'~다고 해'

이렇게 바꿔서

넣어보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1. 정민이가 요리를 그렇게 잘한(대 vs 데)

여기서는 '잘한더라'보다는

'잘한다고 해'가 더 자연스럽죠?

그래서 '잘한대'가 맞습니다.

그러나 '잘하더라'라고 의미를

바꿔 쓸 수는 있겠죠?

2. 내가 들어봤는데 그 친구 진짜 노래 잘하(대 vs 데)

'잘하더라'가 더 자연스럽죠?

여기서는 내가 직접 경험해서

얻은 사실을 비롯해서 말하기 때문에

'잘하데'가 맞습니다.!!

[다른 경우]

1. 의문문의 종결 어미로

헷갈릴 때

'대'를 쓰면 됩니다.

예) 영희도 이 파티에 온대?(데x)

어쩜 그리 인물이 잘생겼대?(데x)

자신이 직접 경험한 일에 대한 사실에

의문을 가지면 이상하겠죠 ㅋㅋ?

2. 문장을 연결시킬 때,

그리고 의존 명사로는 대부분

'데'가 쓰입니다.

예) 그 친구는 힘들었다. 그런데 항상 웃음을 잃지 않았다.(그런대 x)

사람 많은 그런 는 좀 불편해.(대 x)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