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사서 현실 - doseogwan saseo hyeonsil

[책&생각] 서영인의 책탐책틈

도서관을 떠나는 책들을 위하여

오수완 지음/나무옆의자(2020)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

강민선 지음/임시제본소(2018)

공공도서관의 휴관이 길어지고 있다. 도서관 문이 굳게 닫혀 있다는 생각을 하면 가끔 정처를 잃은 기분이다. 도서관을 자주 찾는 편은 아니지만, 휴일에 어슬렁어슬렁 걸어서 집 근처의 구립도서관에 갈 계획을 주중에 세워 본다든가 하는 일을 아예 할 수 없어서 아쉽다.

성실하고 학구적인 사람들은 장서량이 많고 특히 시중에서 구하기 힘든 책을 소장한 도서관을 가장 이상적인 곳으로 꼽을 것이다. 그러나 나같이 주의 산만하고 게으른 사람에게도 도서관은 꼭 필요한데, 조용하고 산만하게 멍하니 있을 수 있는 장소 중 도서관만 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 <도서관을 떠나는 책들을 위하여>의 호펜타운 도서관은 그래서 나 같은 사람들에게 이상적인 도서관일지도 모른다. 외출 시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곳으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싱글맘, 전직 라디오 진행자이자 현직 노숙자, 가명으로 책을 내고 숨어 사는 시인 같은 호펜타운 도서관 이용자들에게도 그럴 것이다. ‘어디에도 없는 책들을 위한 도서관’이라는 별칭이 붙은 도서관 소장 도서를 소개하는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든 책은 수학자가 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책’이었다. 가장 공감이 갔던 문장은 이런 것. “이 책은 어느 환경에서나 읽기 괴로웠고 덕분에 읽는 동안 의식은 자꾸만 책의 바깥을 헤맸다. 그 때문인지 이 책을 생각하면 책의 내용 대신 책을 읽을 당시의 경험이 떠오른다.”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의 저자에게 호펜타운 도서관의 사서 에드워드 머레이는 가장 이상적인 환경에서 일하는 사서일 것이다. 세상에 한 권밖에 없는 책들을 요약한 카탈로그를 만들고 도서관에 딸린 방에서 애인과 동거하는 사서라니. 에드워드 머레이는 이상 속의 사서일 뿐, 현실의 사서에게 도서관은 노동의 일터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아침 여섯시 반에 출근해서 전체회의를 해야 하고 직원봉사라는 이름으로 한 달에 하루씩 무급 노동을 해야 하는 이상한 곳. 책을 좋아하는 그는 그곳에서 책을 정리하고 나르고, 부당한 노동에 항의하는 문서를 만든다. 그리고 그곳에서 도서관에 없는 책을 만드는 일, 독립출판을 시작한다. 어쩌면 호펜타운 도서관에 소장된 어디에도 없는 책들은 이렇게 만들어졌을지도 모른다. 현실과 이상이 괴리되지만 또 기묘하게 만나기도 하는 곳, 그래서 도서관이 다시 열리기를 기다린다.

어쨌거나 할 일 없이 도서관에 앉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책을 읽다가 아무 책이나 기웃거리며 하루를 보내는 그런 날이 얼른 돌아왔으면 좋겠다. 그때는 카운터에 앉아 바코드를 찍는 사서들을 바라보는 눈도 달라져 있겠지.

문학평론가

인기 시들어가는 ‘도서관 사서’

‘도서관 사서’ 인기가 시들어가고 있다. 비록 몇 년 전만해도 한 번쯤 꿈꿔볼만한 직업으로 떠오르기도 했지만 점차 책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면서 자연스럽게 도서관 사서에 대한 관심도 줄어들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공공도서관 사서가 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대학에서 문헌정보학·도서관학을 전공하거나 준사서자격증을 취득하면 된다. 준사서자격증은 사서교육원에서 발급하는데 계명대, 부산여대, 성균관대 등이 유명하며, 1년 코스에 학기당 등록금은 250만 원 정도다.

자격을 갖추면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등 각종 도서관에 사서로 취업이 이론상으론 가능해진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공공도서관의 경우엔 취업하기만 하면 공무원 신분을 보장받는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막상 현실은 그렇지 않다.

20일 서울도서관의 연구용역 과제 ‘서울시 공공도서관 위탁 및 고용실태조사(2019)’에 따르면 서울지역 공공도서관 사서는 1640명. 그중 공무원 신분인 사서는 468명으로 1172명은 비공무원 신분이 대다수다. 서울시 등이 직접 운영하는 공공도서관이 스물한 곳에 불과한 탓인데, 이 외에도 대다수 도서관이 학교법인이나 민간재단, 종교법인 등에 위탁(공공위탁 94곳, 민간위탁 52곳)돼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나 도서관 사서들의 직업 만족도 또한 높지 않은 수준이다. 출판업계에 따르면 사서들의 직장생활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42.6점으로 열 명 중 네 명이 1년 내 이·퇴직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출판업계 관계자는 “도서관 사서의 직업 만족도가 높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생각한 일과 해야 하는 일간의 ‘간극’ 때문”이라며 “일반적으로 사서 업무라고 하면 책을 추천하거나 대출해주는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사서 업무는 도서관 운영 전반을 아우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책을 비치하고 수납하고 관리하고 홍보하는 모든 일에 관여하고 육체노동과 각종 잡무에 시달리면서 사실상 과업에 내몰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과업에 반해 적은 월급도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 6월 기준 서울지역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평균 월급은 229만 원으로, 대졸 학력을 지닌 1년 차 사서의 월급은 182만 원, 3년 미만의 경우 192만 원을 받고 있다. 월 임금총액이 200만 원을 넘으려면 적어도 3년 차는 넘어야 하는데 대다수 인원이 4~5년을 버티지 못하고 그만두고 있는 형국이다. 또 사서 열 명 중 한 명은 일주일에 열다섯 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초단기노동자로 실업급여조차 받지 못하는 현실이다.

한 때 도서관 사서를 꿈꿨던 대학생 김수정(여) 씨는 “도서관 사서라고 하면 무언가 책과 가깝고 여유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부푼 꿈을 가지고 있었다”면서도 “점차 도서관 사서의 역할이 광범위해지는 것과 동시에 월급 또한 적어 꿈을 접은 지 오래”라고 귀띔했다.

사서직 공무원의 장점에 이어서 단점도 다뤄보려고 합니다.

저번 편처럼 공무원의 단점부터 보고가실까요?

1. 직업으로서의 공무원의 단점

우스갯소리로 돌아다니는 짤이 있죠. 후후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안정성과 그에 따른 단점을 함께 보시죠. 후후.

① 월급이 많지 않다.

근데 개인적으로는 만족하는 편이다. 원래 수험생 때 40만원 받고 생활했었고,(교통, 통신비, 식비포함)

잠깐 계약직으로 근무했을 때, 월급이 115만원이었는데 사서교육원 등록금 등등해서 모아야해서 70만원을 적금했었다.

워낙 자린고비생활만 하다보니 월급이 그렇게 적게만 느껴지지는 않았다.

물론 지금은 사고 싶은게 많아서 더 많았으면 하지만...ㅎㅎㅎ

아직 미혼이기도 하고 그래서 내 한몸만 돌보면서 살면 되니까 큰 불만은 없다.

여기에 수당도 더해지니까 저 표에 있는 본봉에서 좀 더 많기는 하다.

개인적으로 급여에 만족은 하나 큰 돈을 버는 직업은 아니라는 것!

② 상식적으로 이해가 잘 안되는 민원을 받아야 할 때도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정서비스에 대해서 정말 공공기관이 대놓고 잘못하는 경우가 있는 게 아니면,

크게 민원을 제기하지 않는다.

또한 제기한다고 하더라도, 홈페이지에 글을 남긴다거나 적정수준에서의 불만만 제기하는 정도다.

하지만.

가끔 정말 이상한 민원인이 마치 공무원을 괴롭히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처럼 집요하게 민원을 넣는 경우가 있다.

민원에 대한 문제는 어느 직렬을 막론하고 다 있고,

사회복지직같은 민원은 그 강도가 공무원이 공포를 느낄 정도라고 하니까.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1&aid=0002392377

이런 민원 말고도 건축직, 지적직, 세무직 등 재산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민원을 받게되면 엄청난 고통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업무 강도도 상당한 편이다.

(이로인해 밥먹듯이 야근하는 스터디 같이했던 공무원을 안다...ㅠㅠ)

내가 겪었던 가장 황당한 민원을 예를 들자면.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주말에 도서관 로비에 있는 PC에서 이용자가 USB를 꽂았는데 포맷하시겠습니까? 라는 팝업이 떠서 사용을 하지 않았는데.

집에 가서 다시 USB를 사용해보니 자료가 다 날아간 것.

도서관 PC에서 사용 이후 이런 일이 생겼으니 자료를 복원하는 비용을 보상 해달라는 것이 요지.

PC보수업체를 부르고 PC를 다시 확인한 결과 PC문제라기보다는 USB자체의 문제로 보인다는 것.

하지만 국민신문고에 민원이 들어와서 꼭 전화로 답변을 듣고 싶다고 해서 최대한 친절하게 통화를 하고

보상은 어렵다는 말을 전했다.

그랬더니 그건 알겠다고 하더니 당시 자신을 응대했던 직원이 불친절 했다면서 당시 직원에 대해 민원을 또 넣고 싶다는 것.

제가 그분 담당이니 제가 친절교육을 잘 시키겠다고 하고 넘어갔지만

자신의 직업을 들먹이면서 자신은 한가한 사람이 아니라며 화를 내시는 모습이....꽤나 스트레스였다.

민원 내용과 민원인과의 직업은 도대체 무슨 상관일까..

하지만 이정도 민원은 심한 민원에 비하면 애교정도다.

③ 조직의 분위기가 보수적이다.

굳이 조직에 해가 되는 말을 해야하나 싶은 마음이 들기는 했는데..

성격상 또 하고 싶은 말을 꼭 해야하는 성격이라.

일단 사적인 질문을 물어보는 데에 거리낌이 없다. 그리고 소문이 굉장히 빠르다.

(인사철만 되면 어떤 직원이오는 지에 대해서 빠르게 소문이 퍼지고 그 직원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물어보고

좋은 사람은 어떻게든 데려오려고 하고 별로인 직원은 어떻게든 안받고 싶어한다)

구체적으로 예시를 들어드리지는 못하겠지만, 어쨌든 공무원조직 자체의 분위기가 주는 스트레스가 엄청나다.

근데 이러한 점은 반드시 공무원 조직때문이라기 보다는 큰 조직 자체가 다양한 연령으로 구성되이 있고,

각 세대간의 생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생기는 갈등이라는 생각도 든다.

또한 거대한 조직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가 힘들고 공무원 업무 또한 법에 의해서 집행을 해야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행사를 진행할 때도 조심해야할 부분도 많다.

예를 들면 도서관 행사에서 간혹 아무생각없이 이용자들에게 무언가를 나눠주는 행사를 했는데

그게 선거법 위반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예산으로 몇 천원 쓸때도 기안을 올리고 서류를 작성하고 보내고 과정이 복잡하다.

그래서 처음에 신규자로 들어왔을 때 겪는 심리적 고통이 엄청나다.

이건 최근에 공무원이 되신 분들은 다들 공감하실 텐데,

'공무원'이라고 하면 칼퇴하고 여유로운 생활이 기다리고 있을 것 같고

초반에는 기대에 차있기 마련이다.

'정말 열심히 공부해서 들어온 직장인데..좋을거야'하는 생각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실상은 회식도 많고 행정직이라면 주민센터에서 행사동원도 많고, 사서는 주말근무도 많다.

사회생활하느라 윗분들 눈치 등등. 힘든 점이 많다.

물론 수험생활보다야 낫겠지만, 의외로 천국같은 삶이 기다리고 있지는 않다.ㅋㅋㅋㅋ

하지만 공무원이어서가 아니다. 사회생활은 원래 그런거 같다^^.

그냥 먹고 살려면 견뎌야한다^^

2. 사서직공무원의 단점

①주말근무가 있다.

우리시 도서관 자료실(문헌정보실)은 평일 주말 할 것 없이 밤 10시까지 운영된다.

그래서 10시까지 직원이 남아있어야 한다. 열람실은 12시까지인데 열람실과 도서관 여닫는 일을 청경주사님들이 해주신다.

그래서 평일과 주말 및 공휴일 근무가 나뉘어져 있다. 그래서 평일 10시까지 하는 근무, 주말 10시까지하는 근무를 해야한다.

각오하고 들어오긴 했지만 가끔 행사들이 겹치고 하면 주 6일 근무가 흔할 때도 있다.

나는 지금 한달에 총 세번정도의 근무를 한다(평일 두번, 주말 한번)+가끔 행사

②승진이 느리다.

이건 우리시에만 해당되는건지는 모르겠는데 일단 승진이 행정직에 비해 느린 편이다.

또한 도서관이 많아도 사서출신 관장님은 없다.

중요 보직은 도서관임에도 사서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아마 연공서열이 중요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공직에서의 빠른승진과 성공이 목표라고 하면,

사서직렬이나 소수직렬을 선택하기 보다는 행정직으로 가는게 좋다.

③소수직렬이기 때문에 같은 직렬 분들과 사이좋게 지내야한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사서직은 도서관만 돌고 좁은 집단이기 때문에 언제든 다시 만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 사이좋게 지내야 사회생활하기가 편하다.

분명 더 단점이 있기도 할텐데 일단은 생각나는게 이것밖에 없고.

또 생각나는 단점이 공무원의 단점이라기 보다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생기는 단점이 대부분이어서 생각보다 몇 개 못 적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사회 생활은 모두 힘든거네요.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그런거네요ㅎㅎㅎ화이팅.

직장인 화이팅.

미래직장인 학생 화이팅.

우리존재 화이팅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