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워치4 핸드폰 거리 - gaelleogsi wochi4 haendeupon geoli

질문 워치4 휴대폰과 연결이 끊어지면 진동 오는 설정 끌 수 있나요? 2

2021-11-12 15:30:43 220.♡.117.28

워치 4를 사용중입니다.

워치4가 휴대폰과 거리가 멀어지면서 연결이 끊어지면 짧은 진동이 와서 알려주는데,

저는 이 기능이 필요 하지가 않네요.

예전 워치는 설정에서 조정이 가능했던 것 같은데, 워치 4는 설정을 찾아봐도 안 보입니다.

혹시 워치4가 휴대폰하고 거리가 멀어졌을때 진동 알람이 안 오도록 하는 방법 알고 계신 분 있으신지요?

리드컴

IP 118.♡.0.106

21-11-12 2021-11-12 17:14:14

·

워치4 클래식 사용중입니다.
워치에서 설정 - 연결 - 연결해제 알림 - 설정 안함 하시면 될듯 합니다.

퍼스트다

IP 220.♡.117.28

21-11-12 2021-11-12 18:11:04

·

@리드컴님 감사합니다. 워치 설정을 봐야 하는 군요.
휴대폰에서 갤럭시 웨어러블 어플에서 설정을 아무리 봐도 없었는데, 잘못된 곳에서 찾고 있었네요 ^^;;

삭제 되었습니다.

갤럭시워치4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연동하는 방식에 따라 “Bluetooth 모델”과 “LTE 모델”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갤럭시워치4는 전용 OS(Google의 안드로이드 기반 Wear OS)를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이므로, 스마트폰과 연동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처럼, 갤럭시워치4도 인터넷망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Wi-Fi 또는 LTE(모바일 네트워크)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갤럭시워치4 Bluetooth 모델”에서는, 인터넷망에 직접 연결을 해야 하는 경우, Wi-Fi 기능을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갤럭시워치4 Bluetooth 모델”에서 제공하고 있는 Wi-Fi 기능에 대하여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이후부터는, 갤럭시워치4는 Bluetooth 모델만을 지칭합니다.

갤럭시워치4를 구매하여 동작을 시키면 기본적으로 Wi-Fi가 ON이 된 상태로 동작합니다. Wi-Fi 가 ON이 되었을 때의 단점은 배터리를 좀 더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보다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Wi-Fi를 OFF 시킨 상태로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절전모드” 상태로 동작시키면 Wi-Fi는 자동으로 OFF가 됩니다.

Wi-Fi를 OFF 하면, 동작 상에 불편한 점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하여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Wi-Fi를 사용하려면, 사용자가 “자신의 Device”를 주변 “Access Point”에 연결(Connect)시켜야 합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무선 공유기는 Access Point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안을 위해 Wi-Fi Device 와 Access Point는 암호 통신 기능을 제공합니다. 암호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를 선택한 후, Access Point에 설정된 암호방식(WEP또는 WPA)과 Password를 입력하면 됩니다. 첫 연결 시 한번만 설정해 두면, 두 변째 연결부터는, Access Point의 SSID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입력이 되어 동작합니다. “자동 연결(Auto-Connect)” 기능을 사용하면, 자신의 Device가 이전에 연결된 적이 있는 Access Point 주변으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Connect됩니다. 자동 연결(Auto-Connect) 기능이 ON되어 있으면, 자신의 Device가 Wi-Fi 망에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주변 Access Point를 찾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배터리가 좀 더 소모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약간의 보안 Issue도 있습니다(Wi-Fi 보안 Issue에 관심이 있으시면, 본 블로그에 게시된 “Wi-Fi Network 과 보안” 과 “Evil Twin Attack” 기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갤럭시워치4를 구매하여 처음으로 실행시키면,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작업을 가지는 데, 이 때 스마트폰에 저장된 Access Point 관련 정보도 전부 가져 옵니다. 그리고 갤럭시워치4는 기본으로 “자동 연결(Auto-Connect)”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연결된 적이 있는 Access Point 주변으로 가면 자동으로 Wi-Fi 연결이 됩니다.

갤럭시워치4에서 Wi-Fi 기능을 ON/OFF 하는 방법

워치4 시계 화면에서,

1) 손가락으로 위에서 아래로 밀면, “빠른 설정 창”이 나오는 데,

2) 여기서 설정 아이콘을 선택 한 후,

3) “연결” 아이콘을 선택한 후,

4) “Wi-Fi”를 선택 한 후,

5) “사용 중” 또는 “사용 안 함”을 선택 하면 설정이 반대로 되게 됩니다.

6) “사용 중” 상태로 변경 될 경우에는, 연결되는 Access Point 의 SSID 정보와 함께 연결되었다는 메세지가 표시되게 됩니다.

Wi-Fi가 사용 중일 경우는, “빠른 설정 창”이 표시 될 때, 상단에 안테나 표시가 나타납니다. 즉 “빠른 설정 창”에서 워치4의 Wi-Fi 사용 여부를 바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Access Point에 연결이 안되어 있는 경우는, “사용 중”을 선택한 경우에도, 안테나 표시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갤럭시워치4에서 Wi-Fi 기능을 ON 한 경우

매뉴얼에 의하면, 갤럭시워치4는 필요한 때에만 Wi-Fi를 사용한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기술된 내용을 보면, Wi-Fi 사용으로 인한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해, 워치4와 스마트폰이 Bluetooth로 연결이 된 경우에는 Wi-Fi 사용을 중지하나, 아래의 경우에는 Wi-Fi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1) 워치4 와 스마트폰의 Bluetooth 연결이 해제 되었을 경우

2) App에서 Wi-Fi 연결이 필요한 경우

3) 워치4를 충전하는 경우

4) 워치4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하기 위해 다운로드 할 경우

5) 그 외 Wi-Fi 연결이 필요한 경우

“원격 연결” 기능을 사용할 경우(기본으로 ON으로 되어 있으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Galaxy Wearable App에서 “워치 설정/유용한 기능/원격 연결” 메뉴에서 ON/OFF 설정할 수 있음), 워치4 와 스마트폰의 Bluetooth 연결이 해제 되었을 경우에(Bluetooth가 지원하는 일정 거리를 벗어날 경우, 연결이 자동으로 해제됨), 워치4 와 스마트폰이 각각 인터넷망에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즉 Network으로 연결이 된 경우는, 워치4 와 스마트폰이 원격으로 연결이 됩니다. 즉 스마트폰으로 오는 알림 기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집에 스마트폰를 두고 출근한 경우, 스마트폰이 모바일 네트워크나 Wi-Fi에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회사에서 워치4의 Wi-Fi 기능을 사용하면, 원격 연결이 되므로 비상 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화 받기는 안됩니다. 워치4 매뉴얼에 “원격 연결” 모드에서는 전화 받기가 안 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참고로, 이전 모델인 갤럭시워치 액티브2 모델에서는 전화 받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원격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는, 워치4의 시계 화면 상단 중앙에 “특정 아이콘(아이콘 모양은 매뉴얼 참조)”이 나타나며, 스마트폰에 설치된 Galaxy Wearable App 의 첫 화면에, “원격으로 연결됨”이 표시됩니다.

갤럭시워치4에서 Wi-Fi 기능을 OFF 한 경우

Wi-Fi 기능을 사용하는 특정 App 이나 내부 Setting 이 동작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App 이 동작할 때, 간혹 “네트워크에 연결이 안되어 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자동으로 Update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App인 경우는, 자동으로 Update가 되지 않게 됩니다.

“빠른 설정 창”에서, 설정/앱 을 선택하면, “삼성 앱 업데이트” 메뉴가 나오는 데, 여기를 터치하면,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다시 해 보세요” 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따라서, Wi-Fi 기능이 필요한 특정 App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Wi-Fi를 OFF 한 상태로 두는 것이, 배터리가 더 오래 갑니다. Wi-Fi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만, 그 때 Wi-Fi 기능을 ON 시키면 됩니다.

Wear OS 용 App을 설치하려면

갤럭시워치4가 사용하는 OS가 Wear OS 이므로, 워치4에서 동작하는 App을 Wear OS용 App 이라고 부릅니다. 워치4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Play Store에서 App을 설치하면 됩니다(Play Store는 워치4의 “앱스 화면”에서 볼 수 있는 데,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앱스 화면”은 “시계 화면”에서 손가락으로 아래에서 위로 밀면 나타납니다).

설치가 되려면, 워치4가 Wi-Fi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동된 스마트폰이 인터넷에 연결(Wi-Fi 연결 또는 Mobile Network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스마트폰과 Bluetooth로 연동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있는 Play Store 에서 Wear OS App을 설치하면, 워치4가 Wi-Fi에 연결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워치4에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Wear OS 용 App들을 보려면, 스마트폰에 있는 Play Store에서 Wear OS로 검색하면 Play Store에 등록되어 있는 App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App들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동작하며, 스마트폰에도 동일한 이름의 App이 설치됩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지 않고 워치4에서만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App들은, 워치4에서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