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고시 vs 의사 - haengjeong-gosi vs uisa

3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가구

    '18.12.15 6:31 PM (115.145.xxx.18)

    시험 자체가 무지 어렵진 않아요.
    좋은 대학 나온 사람이라면, 방향 잘 잡아 공부해 붙는게 어렵진 않습니다.

    전문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은 아니라서 뭐라 답할 순 없지만.

    정부 내 주요 부처 들어갈 실력으로 탄탄히 근무하면,
    국제기구 근무 경험도 쌓을 수 있고 그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 2. 5급

    '18.12.15 6:31 PM (121.154.xxx.40)

    합격이면 최고죠

  • 3. ..

    '18.12.15 6:31 PM (39.119.xxx.123)

    네. 5급정도면 전문직이라고 봐야.

  • 4. ...

    '18.12.15 6:36 PM (121.168.xxx.29)

    장차관 하는 사람들 대부분 행시 출신입니다.

  • 5. ...

    '18.12.15 6:36 PM (61.98.xxx.232)

    전문직임.

  • 6. marco

    '18.12.15 6:37 PM (39.120.xxx.232)

    시험 자체가 무지 어렵진 않아요.
    좋은 대학 나온 사람이라면, 방향 잘 잡아 공부해 붙는게 어렵진 않습니다.

    어느 별나라에서 오셨나요?

  • 7. . . .

    '18.12.15 6:37 PM (58.231.xxx.55)

    행시출신이면 맘만 먹으면 부자집에 장가가요 여자사무관들 결혼 많이 못한건 세종시 사회적 문제고 1년에 300명 뽑아요 스카이들어갈 정도 아니면 문제를 못 푼다고들 그러죠

  • 8. 가구

    '18.12.15 6:42 PM (115.145.xxx.18)

    주변에 행시출신자 드글거립니다.
    저도 그 정도 학력 갖췄구요.

    합격자들 스스로가 저 시험 자체가 그리 어렵지 않다고 얘기해요.

    그 시험에 도전할 머리를 타고 났느냐가 문제이긴 하겠으나.
    일정 정도 학력이면 합격이 어려운 시험 결코 아닙니다.

    (제 주변엔 미용업하다 행시 붙은 케이스도 있어요.)

    예전엔 사시와는 비교 자체가 안 되는 시험이었구요.
    지금은 고시급이 행시만 남은 상황이라 얘기가 달라진 거지만.

  • 9. ㅡㅡ

    '18.12.15 6:44 PM (49.174.xxx.237)

    행시가 의사보다 낫죠. 행시 300명 의사 3000명. 의사는 천차만별이구요 행시출신 공무원은 안정적이고 평생 연금. 어디가서도 억울한 일 안당하고 대접받고 외국도 몇 년씩 자주 나가구요. 의사는 처자식이 좋고 행정고시출신들은 본인이 좋죠.

  • 10. ,,

    '18.12.15 6:44 PM (125.177.xxx.144)

    5급 경유 3급까지 간 지인 아들 결혼식에
    ㅎㄷㄷ한 간부들도 오더라구요. 축의금도 줄서서...
    퇴직해도 공사에서 여기 저기 모셔가고
    깍듯하게 예우해주고

  • 11. ㅇㅇ

    '18.12.15 6:47 PM (58.140.xxx.178)

    행시합격자 인터뷰보니 시험합격후 마지막에 최종 면접볼때
    국가를 위해 일하고 싶다는 열망하나 때문에 뛰어왔던 지난 수험시간들이 막 생각이나서 갑자기 눈물이 떨어질뻔한거 겨우 참았다는걸봤어요. 자기도 본인이왜 울컥했는지 모르겠다고.
    행시는 이런거죠.
    대학 친구들 다 대기업다니고 미국 홍콩에서 투자은행다니거나 스타트업차려서 큰돈 벌고 잘나가는데 자기라고 그런길 생각 없던건 아니였지만
    행시합격해서 사는 삶이 가진 매력이 있는거죠.

  • 12. ㅇㅇ

    '18.12.15 6:53 PM (58.123.xxx.142)

    실제 자기가 준비해보지도 않고 남의 얘기만 듣고 이러쿵저러쿵. 가소롭네요.

  • 13. marco

    '18.12.15 6:54 PM (39.120.xxx.232)

    붙은 사람은 어렵지 않다고 얘기하겠죠...

  • 14. marco

    '18.12.15 6:55 PM (39.120.xxx.232)

    하기사 공부가 제일 쉬었어요라는 책도 있으니...

  • 15. ..

    '18.12.15 6:57 PM (49.170.xxx.24)

    네.....

  • 16. ..

    '18.12.15 6:58 PM (210.179.xxx.146)

    진짜 이해안가는댓글이네요. 서울대 친구도 고민하던데. 그렇게 만만한 시험처럼 누가 얘기를 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합격한 지인들도 만만치않다고 했지 저렇게 무슨 만만한 것차람 말한이는 아무도 없었는데 희안타는. 어느별에서 온건지.

  • 17. marco

    '18.12.15 6:59 PM (39.120.xxx.232)

    공무원직책 가운데 관자가 붙는 첫번째 직책이지요.

    관이 붙으면 족보에도 올라가는 것입니다.

    5급 밑의 직급은 관이 붙지 않지요.

  • 18.

    '18.12.15 7:05 PM (175.116.xxx.74)

    제가 행시 본 사람인데요. 행시중에 기술직이라 더 쉬웠을텐데도 2000년대 초반 경쟁률이 100대1정도 였어요. 우선 PSAT 1차붙기가 힘들고 2차는 서술형이라 아는 내용이라도 잘써야했어요. 그 시험이 쉽다니 좀 웃기네요. 2년정도 빡세게 한 애들 다들 붙긴했는데 걔네들처럼 공부하라면 못할거 같아요. 붙으면 사자 붙은 곳에서 혼처로 연락 많이 와요. 사자붙은데서 왜 연락이 오겠어요.

  • 19. 의사랑 다르죠

    '18.12.15 7:08 PM (175.113.xxx.77)

    예전 사시, 행정고시, 외무고시, 입법고시 패스자들이 전문직 의사 보다 더 칠 수 있는 건
    올라갈 수록 노는 물이 달라져서에요
    의사는 그냥 의사세계와 환자.
    고시 출신자들은 대한민국 한 자리 차지하고 있는 사람들은 거의 다 연결될 수 있다 보심 됩니다
    3급 이상 고위관료는 말그대로 대한민국 고위 정책관료들이에요

  • 20. ..

    '18.12.15 7:10 PM (211.224.xxx.142)

    연구소같은데 5급 나이도 어린 사무관오면 나이 지긋한 연구소장부터 쭈욱 다 절절 맵니다. 정부기관에서 다 정책마련하고 쥐고 흔들고 예산도 주고 하니까 그런것 같아요. 우리가 생각하는거랑 달라요. 힘있어요.

  • 21. ....

    '18.12.15 7:11 PM (221.164.xxx.72)

    5급이면 전무직과 같다고 봐야죠.
    돈이야 공무원이니 전문직 대비해서 적겠지만
    행시 사시는 권력을 가지잖아요.

  • 22.

    '18.12.15 7:16 PM (180.224.xxx.210)

    돈을 쫓냐 명예를 쫓냐 그 차이겠죠.

  • 23. 동사무소

    '18.12.15 7:19 PM (223.62.xxx.34)

    9급 공무원도 벼슬이라고 주민 위에 군림하는데
    생각할 필요도 없지 않을까요.

  • 24. ......

    '18.12.15 7:21 PM (182.229.xxx.26)

    고위 관직이고 전문직만큼 대우받는 건 맞는데, 요즘같이 돈돈하는 인식으로만 보면 전문직만큼 돈버는 직종은 아니구요. 연금이 있어도 평생 소득으로만 보면 자영업자인 의사 변호사가 더 벌긴 하죠.

  • 25. .......

    '18.12.15 7:21 PM (211.36.xxx.210)

    이런것도 질문인가요??
    어떻게 주변에 행시붙은이 공부했던이 하나도없으신건지 ㅜㅜ

  • 26. ...

    '18.12.15 7:27 PM (221.166.xxx.92)

    도대체 행시가 쉽다소리는 어찌 가능할까요?
    물론 서울대 가기가 쉬운 학생도 있지요,
    하지만 그보다 훨씬 적은 숫자의 합격자를 내는 시험을 쉽다라고 하는 사람은 참 공부는 잘할지 몰라도
    눈치도 사회성도 없을확률이 높지요.
    사회적인 상식으로 대단히 어려운 시험이고
    현재로서는 동네 현수막 걸만한 몇안되는 시험입니다.

  • 27. 333222

    '18.12.15 7:29 PM (223.62.xxx.224)

    시험 자체가 무지 어렵지 않다는..공부해 붙는 게 어렵지 않다는 저 위~~ 댓글의 오만함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고..

  • 28. 과거급제

    '18.12.15 7:31 PM (211.214.xxx.212)

    옛날로 치면 과거급제하는거랑 비슷하지 않나요.
    여자들이 5급에 많이 도전하고 붙었으면 좋겠어요.

  • 29. 권력

    '18.12.15 7:37 PM (122.60.xxx.162)

    금방 이 글 보고 남편한테 물어보니
    의사와 행시 둘중에 택하라면 행시라고 하네요.
    물론 돈이야 의사가 댜 벌수도 있겠지만
    남자는 권력을 더 중요시하고
    국장. 차관. 장관을 넘볼수있고
    국가의 살림이 어쩌고 저쩌고...
    K대 나와서 외무고시 몇번 낙방한 친구가 어쩌고...ㅠ

  • 30. ...

    '18.12.15 7:51 PM (211.221.xxx.123)

    서울대 출신중에 행시 몇년준비하다.포기한사람 만명은 될듯

  • 31. 2년

    '18.12.15 7:59 PM (223.62.xxx.199)

    빡세게 라는 말부터가 무지 어려운 시험인거에요
    사람이 1년만 빡시게 해도 지칩니다 그런데 그걸 2년 3,4,5년 한다는건 정말 일상모든 생활을 포기해야하는건데 절대 쉽지않죠

  • 32. ..

    '18.12.15 8:03 PM (175.223.xxx.245)

    행시가 어렵지 않다니 ㅡㅡ;;

  • 33. 그래도

    '18.12.15 8:10 PM (47.138.xxx.68)

    부인이 맞벌이를 해줘야 좋습니다
    능력에 비해 공무원 급여는 박봉이라서요.
    같은 급 친구들 민간부분에서 잘나갈때
    부인이 경제활동해주면 박탈감 안느끼고
    소신 껏 공무원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 34. 명예직이죠.

    '18.12.15 8:20 PM (211.210.xxx.20)

    힘든 자리죠.고로 든든한 부인 찾는 이유가 있어요

  • 35. 제가볼때는

    '18.12.15 10:23 PM (220.76.xxx.252)

    스카이중 KY는 조금 더 어렵던데요
    제가 Y대 나와 선후배들 많이 도전 봐서요
    S나온 형제 둘은 행시 출신

  • 36. 그린

    '18.12.15 11:38 PM (175.202.xxx.87)

    대한민국 최고의 전문가 집단중 하나입니다.
    잘 모르시는 분들이 사시와 급수차이가 많은걸로 아시는데 거의 비슷한 수준입니다.
    대한민국 각 부처의 모든 계획들이 고참사무관들과 승진한 4급 서기관들의 머리에서 나옵니다.
    그위의 부이사관이나 이사관급에선 계획의 대강만 제시할뿐 5급과 4급의 (나이로는 30대중후반)머리에서 몇개의 기획안이나오면 그 윗급에선 선택하고 결정하는거죠.
    대한민국이 4,5급의 머리속에서 이루어지는 건데 대단하지 않습니까?
    참고로 오래전 군생활중 북한의 도발에 대비한 국방부의 대비계획을 제 상사인 소령이 기안해서 올린것이 채택돼서 그에 상응한 훈련을 열심히 했던 기억이나고 ,뿐만아니라 교육부 통일부 등 각부처의 핵심 추진계획들이 거의다가 사무관과 서기관들의 작품입니다.
    대한민국이 그들의 머리에의해 움직입니다.

  • 37. 패러디

    '18.12.16 12:35 AM (211.36.xxx.169)

    주변에 서울대 합격자 드글거립니다.
    저도 그 정도 학력 갖췄구요.

    합격자들 스스로가 서울대 합격 자체가 그리 어렵지 않다고 얘기해요.

    그 학교에 도전할 머리를 타고 났느냐가 문제이긴 하겠으나.
    일정 정도 점수면 서울대 입학이 어려운 학교 결코 아닙니다.

    (제 주변엔 미용업하다 서울대 붙은 케이스도 있어요.)

  • 38. ㅎㅎㅎ

    '18.12.16 6:50 AM (123.212.xxx.56)

    그 어려운 시험치르고 붙은 인간들이
    세상을 이따구로...
    공부 잘 한다고 합리적인건 아님.
    공뭔들 하는 탁상행정 치가 떨림.

  • 39. ㅎㅎㅎ님

    '18.12.16 9:37 AM (124.54.xxx.63)

    이따구 세상에 태어난 것도 인류 전체로 보자면 행운인 건 아시나요?
    세상이 원래 유토피아인 줄 아시는 건지?
    공무원이 신은 아닙니다만 나라가 이전보다 발전하고 있으니 잘하고 있다 봐야지요.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