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 방문판매업체 - huwon bangmunpanmaeeobche

2016년 정보 공개 대상 후원 방문 판매 업체 수는 2015년보다 72곳 증가(2.7%)한 2천777곳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취급 품목은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생활용품, 상조용품이었다.

후원 방문 판매 시장 매출액은 △ 2013년 2조 321억 원 △ 2014년 2조 8천283억 원 △ 2015년 2조 8천806억 원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6년은 2015년보다 4천611억 원(16%) 증가한 3조 3천417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아모레퍼시픽, 엘지생활건강 등 매출액 규모 상위 5곳 사업자 본사와 소속 대리점 2016년 매출액은 2조 4천681억 원이었다. 이는 2015년 2조 2천097억 원 대비 2천584억 원(11.7%) 증가한 수치이며 상위 5곳 기업과 소속 대리점 매출액이 시장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3.9%로 2015년 76.7%보다 2.8%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원 방문 판매원 37만여 명

2016년 12월 말 기준으로 후원 방문 판매 업체에 등록된 전체 판매원 수는 약 37만2천 명으로 2015년보다 약 9만4천 명(34.0%) 증가했다.

등록된 판매원 가운데 후원 수당을 수령한 판매원 수는 약 22만3천 명으로 전체 판매원 수의 59.8%로, 2015년보다 약 3만8천 명(20.8%) 늘어났다.

후원 수당 총액 9천억원 육박

2016년 후원 방문 판매 업체의 후원 수당 지급 총액은 8천953억 원으로 2015년보다 1천249억원(16.2%) 증가했으며 매출액 규모 상위 5곳 사업자 본사와 소속 대리점 후원 수당 지급액은 2015년보다 754억 원(12.9%) 증가한 6천595억 원을 기록했다.

후원 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인 22만3천 명 기준으로 판매원 1인당 연간 평균 후원 수당 수령액은 402만 원이었고 2015년보다 16만 원(3.8%) 감소했다.

이 가운데 상위 1% 미만(약 2천200명) 판매원이 1년 간 지급받은 후원 수당 총액(688억 원)의 비중은 전체 판매원이 지급받은 후원 수당 총액(8천953억 원)의 7.7% 수준으로 2015년 8.5%보다 0.8%p 낮아졌다.

상위 1% 미만 판매원의 1인 당 평균 수령액은 3천92만 원으로 2015년보다 13.4%(477만 원) 감소했고 나머지 99% 판매원의 1인당 평균 수령액도 372만 원을 기록하며 2015년보다 3.7%(14만 원) 감소했다.

����ô� �ٴܰ��Ǹ� �� �Ŀ��湮�Ǹ� �� Ư���Ǹž�ü 34���� ���������� �ǽ��� ���� ���� ������ 9�� ��ü�� �����ߴٰ� 28�� ������.

�ô� �ڷγ�19�� ���� ���� ������ ������ ���� 3������ Ư���Ǹž�ü�� ������ �簳���� �ù����� ������ ���� �ο��� �����ưų� �ű� ����� ��ü�� ������� 5∼6�� ���������� ���� ���˿� ������.

�������� ��� 9�� ��ü�� �Ŀ����� ���� �� ���ޱ��� �� ����Ű� �ǹ� ���ؼ�, ����� �ٴܰ��Ǹ� ����, �ǸŰ�� ü�� �� �������� �ǹ� ���ؼ�, �δ��� �Ŀ����� ���� �� ���� ������ �� ������ �巯����. 2�� ��ü�� 4�� ������ ���ÿ� ������ ������ Ȯ�εƴ�.

�� �Ŀ����� ����ü��� �� �ٴܰ��Ǹ�-�Ŀ��湮�Ǹ� ����. [�ڷ���ó=�����]

A��� ȭ��ǰ�� �Ǹ��ϴ� �Ŀ��湮�Ǹž����� ����Ͽ������� �Ǹ������� 7�ܰ� ����(��ȸ��-ȸ��-������-������-���� ������-�̻�-��)�� ��������� ���� ���޺��� ��õ����(20%), ��������(8~16%), ��������(��ü ������ 1~2%)�� �����ϴ� �ٴܰ��Ǹ� ���·� ���� ���� ������ ��Ÿ����.

B��� �ǰ�������ǰ�� ȭ��ǰ�� �Ǹ��ϴ� �ٴܰ��Ǹž�ü�� �Ŀ����� ���ޱ����� ����� ��� ����ÿ� �Ű��ϵ��� �� ������ �Ǹſ� ���� ������ ���� ‘�ؿܿ��� ���θ��’, ‘�������� ���θ��’ ���� �����ϸ鼭 ����ÿ� �Ű����� ���� ������ Ȯ�εƴ�.

����ô� �� ���ݾ�ü�� ���� ���·� �ΰ� 11��(2600����), �����ǰ� 20��, ���Ǹ��� 1��, �����Ƿ� 6�� �� ������ġ�� ���ȴ�.

Ư�� �Ǹſ����� �븮�� ������ �̳��� ������ �����ϰų� �ٸ� �Ǹſ��� ������ ���� �ٴܰ��Ǹ� ������� ������ ������ �Ŀ��湮�Ǹž�ü 6���� ���ؼ��� ���� ������ ���̴ٰ� �Ǵ��� ����� �λ���������ܿ� ���縦 �Ƿ��ߴ�.

�ڷγ�19 �߻� ���� ����ÿ� ��ϵ� �ٴܰ��Ǹ� ��ü ���� 2019�� 110������ ���� 96������ ���� �߼����� �Ŀ��湮�ǹ���ü�� �ű� ��ü�� �븮�� ������� ���� �Ⱓ 395������ 1164������ �����ߴ�.

�Ŀ��湮�Ǹž� ��� ����� �ں��� ������ ����, �����Һ��� �Ǹź��� 70%�� �����ϸ� �ٴܰ��Ǹſ� �޸� �Һ������غ������� �ǹ�ȭ, �Ŀ����� �Ѿ� ����, �����ǰ ���ݻ��� �� �������� ������ ���ܵǴ� ������ ������.

����ô� �̹� ���� ���˿� �̾� 9∼10���� ‘Ư���Ǹž� ����� �ع�����’�� �ǽ��� ��ȹ�̴�.

�ٴܰ��Ǹ� �� �Ŀ��湮�Ǹſ� ������ ���ر��� �� ����� ����� �����ŷ����ջ�㼾�� Ȩ������(sftc.seoul.go.kr), ������������(02-2133-5367, 5371), �ٻ��ݼ���(120)�� �����ϸ� �ȴ�.

�̺��� ����� �������������� “�ٴܰ��Ǹ�, �Ŀ��湮�Ǹ� �� Ư���Ǹž��� ���� �߻� �� �Ը� ũ�� �������̶� �Ǹſ����� �����ϱ� ���� ���� ��� ��ü ���� ���� �IJ��ϰ� ����� �Ѵ�"�� "����õ� �ù����� ������ ���� ����·������ ������ ��ȭ�� ��ȹ”�̶�� ���ߴ�.

다단계판매업 및 후원방문판매업 등록 안내
  • 다단계판매업
    • 판매원이 특정인을 하위판매원으로 모집
    • 판매원 가입 3단계 이상
    • 판매원의 판매 및 조직관리 활동에 대해 후원수당 지급
  • 후원방문판매
    • 방문판매 및 다단계판매업 요건에 해당하되
    • 특정판매원의 구매·판매 등의 실적이 그 직근 상위판매원 1인의 후원수당에만 영향을 미치는 후원수당 지급방식을 가진 경우
  • 다단계판매와 후원방문판매 차이

  • 규제
    규제구 분등 록 제피해보상
    보험가입임직원
    결격사유후원수당
    상한취급제품
    가격제한시·도 등록자본금다단계판매○○
    (5억원)○○○
    (35%)○
    (160만원)후원방문판매○X○○○
    (38%)○
    (160만원)

    ※ 단, 후원방문판매 중 최종소비자 매출비중이 70% 이상인 경우 3대 사전규제(피해보상 보험가입, 후원수당 상한, 취급제품 가격제한) 제외

다단계판매업 및 후원방문판매업 등록관련 안내 및 민원서식
  • 다음에 해당하는 자는 다단계판매업자 및 후원방문판매업자로서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개인 또는 그 개인이 임원으로 있는 법인
  • 가. 미성년자ㆍ피한정후견인 또는 피성년후견인
  • 나.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 다. 이 법을 위반하여 징역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라. 이 법을 위반하여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지배주주로 있는 법인
  • 가. 이 법을 위반하여 징역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나. 이 법을 위반하여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 3. 제49조제5항에 따라 등록이 취소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개인 또는 법인
  • 4. 제3호에 따른 개인 또는 법인의 등록취소 당시 임원 또는 지배주주였던 자가 임원 또는 지배주주로 있는 법인
다단계판매업 준수사항
  • 다단계판매업체는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의무사항 등을 준수하셔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 부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에 처하게 됩니다.
  • 세부적인 사항은 "다단계판매업 준수사항"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다단계판매 피해예방
  • 다단계판매 피해예방 수칙
    • 방문판매법 등에 관한 법률을 읽어보고 해당 회사에 대한 정보(공정거래위원회 홈페이지 사업자정보)를 꼼꼼히 체크한다.
    • 관할 시·도에 등록되어 있고, 공제조합(직접판매공제조합,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 등에 가입한 회사인지 확인한다.
    • 재화 등 구매시 계약서를 반드시 교부받고, 공제조합 홈페이지(직접판매공제조합,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를 통해 공제번호가 발급되었는지를 확인한다.
    • 구입한 제품을 환불받고 싶을 경우 청약철회 기간 내(소비자 14일 이내, 판매원 3개월 이내)에 서면으로 청약철회를한다.
    • 청약철회에 따른 대금반환이 안될 경우 공제조합을 통한 피해보상 신청, 공정거래위원회 및 시·도에 피해구제 신청을 한다.
    • 재화 등의 거래 없이 금전거래만을 하거나 재화 등의 거래를 가장하여 사실상 금전거래만을 하는 것은 정상적인 거래행위가 아니므로 청약철회 및 공제조합 등을 통한 보상에 제한을 받으므로 유의한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