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 배율 공식 - hyeonmigyeong baeyul gongsig

보통 현미경 배율의 경우
접안 10x, 대물 4x, 10x...이러한 식으로 표기가 되어 있고...
만약 대물 4x로 관찰하였다면..40x배율로 관찰하였다는 의미가 되는데...

독일 hund사에서 나오는 현미경으로
접안렌즈는 10x로 표기되어 있으나,
대물렌즈는(brightfiled objective, brightfiled objective/PH objective)
A4/0.10
Aph 10/0.25
SPL 20/0.35
이런 식으로 표기가 되어 있는데...
이런 경우, 보통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40x, 100x..등.몇배율로 관찰하였다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용 현미경 모델은 wilovert S.라고 적혀있습니다.

//www.hund.de

👀12505

현미경의 배율을 결정하는 방법

현미경의 배율은 실제 크기와 비교 한 대상의 겉보기 크기의 증가를 나타냅니다. 10 배 (10X) 확대 된 물체는 실제 크기보다 10 배 큰 것처럼 보입니다. 총 배율은 접안 렌즈 배율과 대물 렌즈 배율의 곱입니다. 확대는 이미지의 품질을 설명하지 않습니다. 해상도가 좋지 않은 물체를 확대하면 이미지가 커 보이지만 세부 사항은 더 이상 보이지 않으므로 빈 확대라고합니다. 해상도는 일반적으로 배율이 아닌 가벼운 현미경의 유용성을 제한합니다.

접안 렌즈에 접안 렌즈의 배율을 기록하십시오. 접안 렌즈의 배율은 대개 접안 렌즈의 측면에 새겨 져 있습니다.

대물 렌즈의 배율을 기록하십시오. 배율은 대물 렌즈 측면의 개구 수 (NA)와 함께 자주 새겨 져 있습니다. 많은 복합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다른 대물 렌즈를 회전시켜 코 받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대물 렌즈는 상이한 배율을 갖는다.

접안 렌즈의 배율에 대물 렌즈의 배율을 곱하여 총 배율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10X 접안 렌즈와 40X 대물 렌즈는 총 배율을 400X (10 x 40 = 400)로 만듭니다. 접안 렌즈 또는 대물 렌즈를 다른 배율로 렌즈로 변경하면 현미경의 총 배율이 변경됩니다. 일반적으로 배율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변경되는 것은 대물 렌즈입니다.

�������� ����ϴ� Ȯ����� ����� ��� �� �� �������?

Ȯ��� ��ǰ �������� ���� �����, �Ǵ� ����  �Ÿ��� ���ɴϴ�.

�̸� �̿��Ͽ� Ȯ����� ������ �˾ƺ��� ������ ������ �ֽ��ϴ�.

����(Magnification)�̶� ������ �ϴ� ���� ��ǥ ��ü���� �󸶳�

ũ�� ���̴��� �ϴ� �����Դϴ�. ����� ���� ��ü�� ���� �� �� �� �ִ� �Ÿ���  25cm �Դϴ�. �̸� ǥ�� ���ðŸ���� �մϴ�.  ���ðŸ��� 25cm ��� �� �� ��ü�� ũ��� Ȯ����� ���ؼ� ���� ��ü�� ��(�̹���)�� ũ���� ������ '����'�̶�� �մϴ�.

���� �׸����� F�� ���� ������ ǥ���մϴ�.

Ȯ������� ����, <��ü QP>�� ũ�Ⱑ <�̹��� Q��P��>��

ũ�� ���Դϴ�.

* �� , ���� Ȯ����� �Ÿ��� ���� ���� �׸��� �޶��� �� �ֽ��ϴ�.

1. �����Ÿ��� ������ ���� ����� �� �ֽ��ϴ�.

 ������ 250�� �����Ÿ�(mm ����)�� ���� ��ġ�Դϴ�.

​ �����Ÿ��� 12.5cm (125mm) �̸� 2���Դϴ�.

 62.5mm �� 4�谡 �˴ϴ�.

����= 250�� �����Ÿ�

2. Ȯ����� ����� (Diopter) �� ������ ����� �� �ֽ��ϴ�. 

����Ͷ� �Ȱ� ���� �������  �� �ƴ� ����ε���. "�� �Ȱ��� ��

����ʹ�" �̷� �� ��� ������ �̴ϴ�. ����Ͷ� ������ ������ (Power of Lens) �Դϴ�.

����ʹ�  1��  �����Ÿ�(meter ����)�� ���� ��ġ�Դϴ�. ���� ���, �����Ÿ��� 25cm(0.25m)�̸� 4 ����� �Դϴ�.

      ����� = 1 �� �����Ÿ�

������ ����͸� 4�� ���� ��ġ�Դϴ�.

       ����= ����� ��

4

���� ��� 8����͸� ������ 2��, 12����͸� ������ 3�谡 �ǰ�����

.

�߿���  ���� �ϳ� �� �帳�ϴ�.

* ���� ������ Ȯ���� �� ������ �Ÿ��� ���� ���� �� �ش�Ǵ�

  �����Դϴ�.

 Ȯ����� ������ ���� Ȯ����� �Ÿ�, Ȯ���� ��ü�� �Ÿ��� ���� �޶����Ƿ�, ������ ���� �Ÿ��� �����ϸ鼭 ���� �Ÿ��� ã�Ƴ��� ����ϼž� �մϴ�.

 

현미경기초상식

광학현미경은 얼마나 크게 볼 수 있을까? 1000배? 2000배?!?!

​※ 본 포스팅은 PC화면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DMOPTICAL 대명광학입니다!

오늘은 광학현미경의 배율에 대하여 간단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과연 현미경..그 중에 광학현미경은 몇 배까지 사물을 크게 볼 수 있을까요?

2000배? 3000배?

[실체현미경 SD6-F10A4F / 출처 : 디엠옵티칼 홈페이지]

광학현미경을 통해 확대되어 보이는 정도,

즉 배율을 구하는 공식은 매우 간단합니다.

[BL-28T 생물현미경 / 출처 : 디엠옵티칼 홈페이지]

그림의 붉은 , 즉 눈으로 관찰하는 부분에 들어가는 접안렌즈의 배율

푸른색 원 부분의 대물렌즈의 배율을 곱하게 되면 현재 관측하는 배율이 됩니다

물론 카메라를 장착한다거나 보조대물렌즈(실체현미경의 경우)를 장착하게 되면

최종배율에서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광학현미경의 배율은

접안렌즈의 배율 X 대물렌즈의 배율입니다

[왼쪽이 10x접안렌즈, 오른쪽이 100x대물렌즈입니다]

그렇다면..

만약 20배 접안렌즈100배 대물렌즈를 장착해서 본다면..

20 x100 = 2,000

단순계산으로는 2000배라는 숫자가 나옵니다

간혹보면 광학현미경이 1000배가 넘는 배율로 관측이 가능하다는 광고도 있지요

오..2..2000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현재  광학적인 최대배율은 '1000'배입니다!

왜냐구 물어보신다면

'분해능'때문 입니다! 라고 답하겠어용 

뭐..뭔능? 뭐라능?

분해능이란 접근한 두 점이나 선을 분별하는 능력입니다.

(분해능에 대해서는 2편에서 더욱 상세히 다루겠습니다)

[망원경의 분해능 / 출처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

이해를 돕기 위해 더욱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눈에 비치는 상의 '선명도'로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분해능=선명도 라고 할 수는 없지만 분해능이 높을수록 렌즈의 선명도가 높아집니다)​

배율이 1000배가 넘어가게 되면 현미경의 렌즈 가진 분해능의 한계,

정확히는 분해능에서 '빛'이 가지는 일정한 값의 한계로

(자세한 설명은 2편에서^^;)

광학 1000배 이상에서는 ​상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됩니다.

즉, 단순 계산상로는 광학1000배이상의 배율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1000배가 넘어갈 경우 상이 제대로 보이지 않게 되어 정확한 관찰이 어려우며

이는 해당 배율로 관찰한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그 이상의 배율에서 관찰이 불가능한가...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전자현미경 CX-200/코셈, 최대배율 30만배]

전자현미경의 경우는 2000배 이상에서 수십만배의 배율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원자현미경의 경우는 수천만배까지 관찰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광학현미경에서는 1000배 이상에서의 실질적인 관찰은 힘들다는것이지요

2000배면 뭐합니까...보이질 않는데..-_-

​광학 1000배 이상의 관찰이 어려운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blog.naver.com/dmopt0801/221094188395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