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랜선 연결 확인 - noteubug laenseon yeongyeol hwag-in

오늘은 공유기 없이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려고요.

기숙사 입실 시 노트북만 가져왔는데, 너무 심심하시다면, 랜선을 이용해서 노트북을 사용하시면 돼요!

자, 그럼 우선 랜선을 준비해주세요!

랜선은 저희 기숙사 1층 편의점에서 2,200원에 판매하고 있어요. (2015년 기준) 입실하고 저녁에 편의점을 가면 다들 랜선을 구매하려고 길게 줄 서 있어요. 집에 랜선이 있으신 분들은 챙겨 오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이렇게 책상 앞 랜선 콘센트에 랜선을 꽂아 줍니다.

IP 정보는 저의 신상보호와 IP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블라인드 처리했어요. ​ 참고로 IP는 한 사람당 1개씩 부여되니 남의 IP를 사용하시면 안 돼요. IP 충돌이 발생하거든요. 타인의 IP를 사용할 시 벌점이 부과됩니다.

그리고 랜선의 반대쪽은 노트북과 연결합니다.

요즘 노트북은 대부분 슬림한 디자인으로 출시되기 때문에, 랜선을 바로 노트북과 연결할 수 없을 거예요. 랜선을 연결해서 사용하시려면 꼭 랜선연결잭을 챙겨오셔야 해요. 이거 안 챙겨와서 고생한 친구들도 많아요ㅠㅠ

이제 노트북을 켜주세요.

그리고 와이파이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 위에 마우스를 올린 후,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두 개의 선택지가 생겨요.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열기'를 클릭해주세요.

자, 그럼 이런 창이 뜰 거예요.

저희는 여기서 '어댑터 설정 변경'을 클릭해줍니다.

그럼 이렇게 블루투스, 와이파이, 이더넷(로컬 영역)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노트북은 이더넷(로컬 영역) 아이콘이 '사용안함'으로 표시되어 있어요.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으로 바꿔 줍니다. (저는 이미 '사용'으로 바꾼 상태라, 사용안함이 뜨는 거예요.)

그 후 이더넷(로컬 영역) 아이콘을 클릭해주시면 이런 창이 나타납니다.

속성을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스크롤을 내려 'Internet Protocol Version 4'를 체크해주세요.

그리고 'Internet Protocol Version 4'를 클릭해주세요.

그럼 이런 창이 나타나요.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에서 '다음 IP 주소 사용'으로 바꿔 줍니다.

그리고 랜선콘센트 위에 부착되어 있는 IP 정보를 입력해주시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이제 연결이 완료되었어요! 복잡해 보이지만 막상 해보면 굉장히 쉽죠?

제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요. 모두들 좋은 하루 보내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