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렌토 6인승 단점 - ssolento 6inseung danjeom

현재 스포티지 디젤 차량을 8년째 몰고 있다가 작년 말에 둘째가 태어나 공간의 부족함(?)을 느끼고 차량 변경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쏘렌토 하이브리드 두 번째 장점은 조용하고 진동이 없다는 점이다. 오늘은 쏘렌토 하이브리드 단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쏘렌토 하이브리드 단점

주차장에서는 보통 EV모드이기 때문에 매우 조용하고 주행 중에도 자주 EV모드로 들어가서 매우 정숙한다. 그리고 또 하나 찾아볼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세단보다는 SUV 등 덩치가 있는 차들이 하이브리드 선택 비율이 더 높다는 것이다. 마일드 하이브리드는 EV모드가 없다. 말 그대로 엔진 출력을 보조해주는 역할만 한다. 연비도 약 10% 정도 절감 효과가 있다. 탄소배출량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한 방편이다. 전륜 디젤 2륜 suv만 타 오던 제게 크게 와 닿습니다. 눈 쌓인 언덕길에 다른 차들 난리 났는데 제 차는 스무스 하게 넘길래 뿌듯했다. 맨 처음에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하이브리드는 생소한 기관으로만 느껴졌었는데 하루가 다르게 대중화되어가고 있네요. 는 무조건 큰 차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팰리를 고민하다가 내가 뭐 차박이나 캠핑을 하는 것도 아니고 앞으로 계획도 없는 편이라 굳이 그렇게 큰 차가 필요할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 팰리를 고민하였기 때문에 예산은 5천 정도는 생각하고 있어 맞는 차량을 찾다 보니 작년에 나온 쏘렌토 MQ4가 보이더라고요. 하이브리드 모델로 한다.

전기 모토 장비의 디젤

또 쏘렌토는 아무래도 운전의 80%는 서울 시내를 출퇴근하다 보니 연비까지 무시할 수가 없다.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에 전기모터를 더한 구성으로 저속에서는 전기모터만으로 차량을 구동해 연료 소비를 줄이는 획기적인 기관이다. 올해 7월부터는 쏘렌토 하이브리드 친환경 혜택 또한 가능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인기를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다.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도달 시간인 제로백도 디젤보다 쏘렌토 하이브리드 모델이 빠르다고 한다. 물론 중형 SUV인 쏘렌토가 제로백에 그렇게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겠지만요. 두 차량을 비교하다 보니 네이버 카페는 두 곳 모두 가입을 하고 글 도쓰고 단점도 이 저 저거 읽어보고 있는데 알아보면 볼수록 각 차량이 장/단점이 보이는 거 같아 더욱 고민을 깊게 만든다. 향후 출시 예정인 쏘렌토 가솔린 모델은 2.5 가솔린 터보가 얹힐 예정으로 디젤보다도 조금 더 비싼 자동차세가 부과된다. 절대 5명 이상 태울 일도 생각도 없거니와 낚시 및 캠핑 등 싣고 다닐 장비가 많은 취미를 즐기는 저로써는 트렁크 공간이 넓은 게 최고네요. 6인승도 고민해봤지만 중간에 공간이 있어서 짐 수납 시 불편할 것 같아 5인승을 선택했다. 똑같은 글을 팰리 카페에도 썼는데 동일한 고민을 하는 분들이 생각 외로 많습니다. 주행 시 계기판이나 네비를 보는 일이 거의 없다. 옵션 추가하시길 강력히 추천한다. 디젤은 36.7%, 쏘렌토 가솔린 비중은 27.4%로 쏘렌토 하이브리드 출고 비중이 디젤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이 단연 눈에 띕니다. 또한 가솔린 모델의 판매율도 거의 30%에 육박하는 것도 눈에 띄네요.

그리고 아무래도 거긴 팰리 홈 구장이니 팰리를 추천하시는 분들이 많았다. 이상으로 쏘렌토 하이브리드 단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광고

인기 모델

  • 전체

    1. 1

      현대 그랜저 (7세대)

    2. 2

      BMW 7시리즈 (7세대) 1억 7,300만원

    3. 3

      쌍용 토레스 (1세대) 2,740 ~ 3,220만원

    4. 4

      현대 그랜저 하이브리드 (7세대) 4,376 ~ 5,264만원

    5. 5

      기아 K9 F/L (2세대) 5,772 ~ 8,487만원

  • 국산차

    1. 1

      현대 그랜저 (7세대)

    2. 2

      쌍용 토레스 (1세대) 2,740 ~ 3,220만원

    3. 3

      현대 그랜저 하이브리드 (7세대) 4,376 ~ 5,264만원

    4. 4

      기아 K9 F/L (2세대) 5,772 ~ 8,487만원

    5. 5

      제네시스 G90 (4세대) 8,957 ~ 9,307만원

  • 수입차

    1. 1

      BMW 7시리즈 (7세대) 1억 7,300만원

    2. 2

      BMW X5 (4세대)

    3. 3

      BMW 5시리즈 세단 F/L (7세대) 6,370 ~ 1억 1,600만원

    4. 4

      아우디 A6 세단 (8세대) 6,946 ~ 7,776만원

    5. 5

      벤츠 마이바흐 GLS클래스 (3세대) 2억 6,950 ~ 3억 650만원

추천 시승기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