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핀 릴레이 결선도 - 8pin lillei gyeolseondo

최근 자동화를 위해서는 PLC를 사용합니다. PLC가 출현하기 전에는 시퀀스 회로를 릴레이를 경우의 수에 따라 엄청나게 많이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습니다. 그래서 유지보수도 어렵고 시퀀스(로직)를 변경해야 한다면 회로 배선을 풀어내고 다시 결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PLC가 출현한 이후로 소프트웨어 상에서 래더나 펑션 블록을 이용하여 PLC 로직을 수정하면 됩니다. 즉, 편의성이 엄청나게 개선되었다는 것이죠. 오늘은 PLC 회로를 꾸밀 때 아직도 사용되는 보조 릴레이의 결선하는 방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을 완독 하시면 여러분은 릴레이의 각 접점이 어떠한 원리로 구동되는지 확실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잘 따라와 주세요.

8핀 릴레이 결선도 - 8pin lillei gyeolseondo
PLC 판넬에 설치된 보조 릴레이들

 보조 릴레이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여러 개의 A접점, B접점을 가지고 있는 회로 구성 소자입니다. 회로를 구성하기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A접점 회로에서는 항시 전류가 흐를 준비를 하고 있다가, 코일이 활성화되면 회로가 도통됩니다. 떨어져 있던 A접점이 활성화되는 것이죠. 

위의 사진들을 보시면 PLC PANEL에 아웃풋으로 사용하기 위한 여러 개의 보조 릴레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한 보조 릴레이는 14핀짜리 릴레이입니다.

8핀 릴레이 결선도 - 8pin lillei gyeolseondo
릴리에 소켓에서 릴레이 제거한 모습

릴레이는 사진과 같이 릴레이 소켓과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릴레이를 소켓에 꼽아서 결합시키며, 전기 배선은 릴레이 소켓에 합니다. 소켓 상단과 하단에 접점과 코일 동작을 위한 배선이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조 릴레이 회로 구성하는 법

8핀 릴레이 결선도 - 8pin lillei gyeolseondo
14핀 릴레이 뒷면

위의 사진은 14핀 릴레이 뒷면입니다. 보시면 1부터 14까지 핀번호가 쓰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핀 별로 쓰임이 다른데요. 과연 어떻게 사용될지 한 번 보실까요?

8핀 릴레이 결선도 - 8pin lillei gyeolseondo
릴레이 핀별 접점 배열

제조사별로 코일과 COMMON 접점의 순서가 바뀔 수 있지만 14핀 릴레이의 접점 배열은 위의 사진과 비슷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제가 세로로 붉은 박스를 4개 그려두었습니다. 즉, 세로로 1개의 세트 접점이라는 의미입니다. 14핀 릴레이는 총 4개의 A접점과 4개의 B접점, 그리고 COMMON, 그리고 코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회로 구성을 보통 A접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제일 위의 핀과 위에서 3번째 핀으로 회로를 구성합니다. A접점은 항시 준비되어 있는 접점입니다. 즉, 코일에 전류가 흘러 활성되면 바로 회로가 도통되어 전류가 흐릅니다. 이때 바로 맞은편에 연결된 기기에 출력 시그널이 전달됩니다. PLC에서 어떠한 기기를 동작시키고자 할 때 주로 A접점을 이용하여 릴레이와 결선을 하기 때문에 참고로 하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럼 PLC에서 아웃풋을 내보내는 로직이 구동되었을 때 동작되는 순서를 살펴볼까요?

PLC 로직에서 출력(OUTPUT) 시그널 처리 => DO(디지털 아웃풋) 모듈에서 동작 시그널 발생 => 보조 릴레이(AUX RELAY)에서 코일 활성화 => 폐회로 구성 => 기기 동작(펌프, 팬, 모터 등)

 정리하며

자동제어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PLC로부터 보조 릴레이(AUX RELAY) 결선과 동작 원리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업무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들 :

안녕하세요? 오늘은 릴레이(Relay)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릴레이는 하나의 스위치입니다. 다만 전기적으로 조작되며 하나의 신호로 여러 가지를 조작할 때 사용합니다. 

1. 릴레이 외형

필자가 근무하는 곳의 릴레이입니다. 일단 외형으로 보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붉은색 동작 표시등입니다. 릴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위 사진의 세 번째 릴레이처럼 붉은색 동작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만약 릴레이가 고장이 발생하면 전원이 인가되어도 동작 표시등이 점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고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릴레이의 동작 표시등은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전원이 인가되었는데도 동작 표시등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코일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릴레이의 내부 구조 및 동작 원리

8핀 릴레이 결선도 - 8pin lillei gyeolseondo

릴레이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사진 중에 위의 사진이 가장 간단하면서도 쉽게 표현이 되어 있었습니다. 왼쪽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릴레이의 내부에 스프링이 들어 있고 이것이 이동접점을 항상 잡아당기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점접은 지렛대의 원리로 항상 위쪽으로 붙어있게 됩니다. 즉, 위쪽에 있는 접점은 Normally Closed 접점(NC)이 되고 다른 용어로 b 접점이 됩니다.

릴레이의 내부에는 코일이 들어있어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이 됩니다. 평상시에는 이동 접점의 위쪽의 b 접점에 붙어 있다가 릴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이동접점이 아래쪽으로 붙게 됩니다. 그래서 아래쪽의 접점은 Normally Open 접점(NO)이 되고 다른 용어로 a 접점이 됩니다. 

3. 릴레이의 종류

릴레이의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잘 사용되는 8핀 릴레이와 14핀 릴레이를 가지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14핀 릴레이에서 가운데 부분이 빠진 모양이 8핀 릴레이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즉 14핀 릴레이만 외우면 8핀은 그냥 따라오는 것입니다. 또한 14핀 릴레이에서 보시면 동일한 구조의 접점이 4번 반복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역시 한 개만 외우시면 4개 모두 외우는 것과 같습니다. 

14핀 릴레이에서 1, 2, 3, 4번은 닫혀있으니 b 접점이고, 5, 6, 7, 8 은 열려있으니 a 접점입니다. 만약 전원이 13, 14번에 인가되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석이 접점을 당겨서 b 접점은 떨어지게 되고 a 접점은 붙게 됩니다. 릴레이의 내부구조 및 동작 원리에서 보셨듯이 릴레이의 a 접점은 전자석과 가까운 쪽에 있고 b 접점은 외곽에 있습니다. 즉 전원과 먼 쪽이 b접점이고 전원과 가까운 쪽이 a접점이라고 외우시면 편하실 것입니다. 

4. 릴레이 소켓

릴레이는 위의 왼쪽 그림과 같은 소켓에 끼워서 사용합니다. 참 아쉬운 것은 이 소켓을 사용하면서 릴레이의 번호를 한번 꼬아 놓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몇 번씩 봐도 헷갈립니다. 

전원선이야 13, 14번으로 아래쪽의 두 개의 단자를 사용하니 덜 헷갈립니다. 그리고 9, 10, 11, 12번은 공통선이기 때문에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a, b 접점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릴레이와 역순으로 단자 번호를 설정해 놓았습니다. 꼭 저렇게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지 아쉬운 부분입니다. 그냥 릴레이와 동일하게 단자를 만들어 놓으면 쉬울텐데 저렇게 반대로 해놓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저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a, b, 전, 공 이렇게 외웠습니다.

5. 릴레이 회로 용어 정리

릴레이를 보시다가 SPST, SPDT, DPST, DPDT 등의 글자를 보신 일이 있을 것입니다. 처음에 저도 '저게 도데체 뭐지?' 했는데 알고보면 간단한 것이었습니다. 이 글자들을 풀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SPST: Single Pole Single Through

- SPDT: Single Pole Double Through

- DPST: Double Pole Single Through

- DPDT: Double Pole Double Through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위 그림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SPST를 예로 들면 A 쪽이 Pole가 되고 B 쪽이 Through가 되는 것이지요. 나머지도 그와 동일하게 보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6. 릴레이 사용 시퀀스 회로

매우 간단한 시퀀스 예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모터에 과전류가 흘러서 EMPR이 동작하게 되면 49X 릴레이 13, 14번에 전류가 흐르면서 릴레이가 여자되게 됩니다. 그러면 오른쪽 위쪽에 10번과 6번이 a 접점인데 붙게 되어 고장상태를 방재실에 표시하게 됩니다. 이해하기 쉽게 가장 간단한 시퀀스를 예로 들어 보았습니다. 

오늘은 릴레이(Relay)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AG : 14핀 릴레이, 8핀 릴레이, DPDT, DPST, Power Relay, relay, Relay Coil, Relay contact, Relay inside, SPDT, SPST, 릴레이, 릴레이 a접점, 릴레이 b접점, 릴레이 구조, 릴레이 내부구조, 릴레이 다이오드, 릴레이 동작, 릴레이 동작원리, 릴레이 동작표시등, 릴레이 사용 시퀀스 회로, 릴레이 소켓, 릴레이 시퀀스, 릴레이 원리, 릴레이 전자석, 릴레이 접점, 릴레이 접점 순서, 릴레이 표시등, 릴레이원리, 시퀀스회로, 전기기능사 릴레이, 전기릴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