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일본 관계 - baegje ilbon gwangye

백제 유민, 대한해협 건너 일본국 탄생에 큰 역할…일본 일왕가와 혈연관계 깊어지고 문화발전에 기여

입력 2021.05.31 09:00
수정 2021.05.31 09:00 생글생글 709호

역사 산책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51) 백제 유민의 디아스포라

백제 일본 관계 - baegje ilbon gwangye

평양 이전 고구려 수도였던 국내성 뒤편에 있는 환도산성의 정문 발굴현장. 둘레 7㎞, 정문의 성벽은 두께가 10m가 넘고, 옹성구조와 만두형 형태를 혼합한 효율적인 방어체제다. 때때로 임시 수도 역할을 담당한 난공불락의 성. 668년 이후 복국군의 편에서 전투를 벌임.

고당(高唐)전쟁에서 평양성이 함락당하면서 보장왕과 연남산 등의 귀족들과 장군들, 관리들, 기술자들, 예술가들 그리고 군인과 백성 등 3만 명이 묶인 채로 중국의 시안(長安)까지 끌려갔다. 유민들은 요서지방, 산둥반도, 강회 이남(장쑤성·저장성), 산남(내몽골 오르도스), 경서(산시성·간쑤성), 량주(칭하이성과 쓰촨성이 만나는 주변 지역) 등의 불모지에 분산됐다. 신라로 망명해 대당(對唐)전쟁에 합류했던 부류는 신라인이 됐고, 북만주나 동만주 일대 오지로 탈출한 유민들은 거란·선비·말갈 등 방계종족들에 동화되고 말았다. 또 한 무리는 이미 진출해 교류했던 일본열도로 건너갔다.

한편, 나라를 부활시키는 데 성공한 고구려인들도 있었다. 이정기 일가는 청주, 서주 등 산둥반도와 장쑤성(江蘇省) 일대에 제나라를 세운 후 당나라와 전투를 벌이며 54년 동안 발전했다. 또 만주 일대와 한반도 북부에서 발해가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성장했다. ‘보트피플’ 백제 유민 일본으로 건너가그럼 백제 유민들은 어떤 운명을 맞이했을까? 660년 8월, 실정과 오만으로 저항 한 번 못한 채 항복한 의자왕과 대신들 그리고 죄없는 병사들 1만2800명은 배에 실려 당(唐)으로 끌려갔다. 의자왕과 왕자들, 일부 대신은 당나라의 벼슬을 받았으나, 복국군의 임금으로 고구려로 망명했던 부여풍은 붙잡혀 영남(廣東·廣西지방)으로 귀양가서 죽었다. 산둥지역에 버려졌던 백성들은 다시 요동으로 이주당했다. 한편 주류성 전투와 백강(백촌강)해전에서 대패한 복국군은 “어찌할 수 없도다. 백제의 이름은 이제 끊어졌고, (조상)묘소에도 갈 수가 없구나…”(《일본서기》)라고 절규하며 음력 9월 25일에 왜(倭)의 병선을 타고 거친 북서풍을 맞으며 대한해협을 건넜다. 뒤따라 백성들과 지방세력도 전라도 해안 등에서 출항해 ‘보트피플’로 떠돌다가 일본열도의 곳곳에 닿았다. 그리고 665년 2월, 400여 명이 오우미(近江) 지역에 분산된 것처럼 여러 곳에서 개척자로 변신했다.

백제 일본 관계 - baegje ilbon gwangye

752년에 완성한 도다이지의 대불전(개축한 건물). 세계 최대 목조건축물로 설계·경비조달·기술자 등 백제계 유민 세력들이 주도해 건축했다.

한반도 유민이 ‘日 르네상스’에 큰 역할그들은 절치부심하면서 나당(羅唐) 연합군을 방어할 요충지마다 성을 쌓고, 군비를 증강하는 한편 생존을 모색하는 외교를 했다. 670년에 일본국(日本國)이 탄생했다. 왕실 교체 같은 변란과 격심한 정치혼란이 일어났고, 심지어는 유민세력 간에도 전투가 벌어졌다. 1992년 규슈 중부 산골인 난고(南鄕)촌을 방문, 이곳 오지로 도피했다가 중앙에서 파견한 추격군에 살해당한 백제계 정가왕 부자의 흔적을 찾아본 적이 있는데 슬픈 느낌이 들었다.

하지만 대거 들어온 군인·정치인·지식인·기술자 등의 인적자원은 신흥 일본을 경제적·문화적으로 발전시켜 역사상 최대의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백제의 역사와 뒤섞인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등이 출판됐고, 유민들의 족보도 만들어졌다. 또 일본 천황가와 부계·모계로 얽혀 혈연관계는 더욱 강해졌다. 의자왕의 아들인 선광이 거주하는 지역은 ‘구다라군(百濟郡)’으로 명명됐다. 2002년 월드컵 때 아키히토(明仁) 일왕이 “칸무(桓武)천황의 어머니는 무령왕의 자손”이라고 말한 것은 이 때문이다. 유민들의 행적과 백제계 출신이 주도한 도다이지(東大寺)나 호류지(法隆寺) 같은 대사찰, 대규모의 방어체제, ‘백제왕 신사’ 등 수많은 유적과 유물들은 우리가 상실했던 백제역사를 복원해 준다(윤명철,《동아지중해와 고대일본》, 1996). 잊혀진 고구려·백제 유민의 삶만주, 몽골은 물론이고 산둥지역, 시안과 간쑤성(甘肅省) 일대, 신장성(新疆省)의 사막, 중앙아시아 실크로드와 파미르 고원, 티베트와 칭하이성 및 쓰촨성(四川省) 일대 또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와 하바로프스크 지역 그리고 일본의 에도, 규슈, 오사카와 서쪽 해안의 도시들, 심지어는 윈난성(雲南省)과 동남아시아 북부의 산족 마을에도 고구려·백제의 최후와 유민들의 깊은 한이 배어 있다(김병호,《고구려를 위하여》).

유대인은 2000여 년 동안 고난을 겪으면서도 디아스포라와 정체성을 유지했고, 끝내는 감동적으로 부활했다. 그런데 이 처절한 디아스포라의 존재조차 모르는 우리가 ‘민족통일’과 ‘한민족 공동체’를 실현할 수 있을까? √ 기억해주세요

백제 일본 관계 - baegje ilbon gwangye

동국대 명예교수·사마르칸트대 교수

백제 복국군은 왜(倭)의 병선을 타고 거친 북서풍을 맞으며 대한해협을 건넜다. 뒤따라 백성들과 지방세력도 전라도 해안 등에서 출항해 ‘보트피플’로 떠돌다가 일본열도의 곳곳에 닿았다. 대거 들어온 군인·정치인·지식인·기술자 등의 인적자원은 신흥 일본을 경제적·문화적으로 발전시켜 역사상 최대의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만주, 몽골은 물론이고 중앙아시아 실크로드와 파미르 고원, 티베트,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와 하바롭스크 지역 그리고 일본의 에도, 규슈, 오사카 등에도 고구려·백제의 최후와 유민들의 깊은 한이 배어 있다.

1고려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6세기 백제와 일본 사이의 외교 관계를 양국 사이에 이루어진 문물교류의 양상을 통해 천착해 보았다. 사료가 보여주듯이, 일본이 군사 등의 병력과 말, 배, 활, 화살 등 군수물자를 보낸 것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백제의 요구 때문이었다. 일본의 군원 지원에 대해 백제는 선진문물을 보냈다.한반도 내에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 백제는 對일본 관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6세기 일본도 5세기 후반 이후 중국과의 관계가 단절되었기 때문에,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는 대외창구로 한반도, 특히 4세기 이래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던 백제가 중심이 되었던 것이다. 선진 문물의 안정적인 수입을 위해서 일본은 한반도 정세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백제 역시 고구려ㆍ신라ㆍ가야와의 역관계 속에서 중국이나 일본 관계를 유리하게 전개하여 자국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백제의 선진문물에 대한 대가로서, 일본은 백제의 對高句麗戰과 新羅戰을 위하여 군사원조를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562년 신라의 대가야 함락 이후 백제와 일본의 관계도 변화를 보이게 된다. 대가야 멸망을 계기로 백제―가야―일본으로 이어지는 협력라인이 붕괴되면서 일본은 백제 뿐 아니라 신라고구려에 대한 다면외교를 진행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 것이다.즉, 백제는 한반도 내에서 고구려ㆍ신라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후원세력의 필요라는 정치적인 배경에서, 일본은 고대 국가 체제로 정비해 나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제적ㆍ문화적 필요성에서 적극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6세기 백제와 일본의 관계는 조공관계도 아니었으며, 영원한 동맹관계도 아니었다. 동아시아 국제 관계 속에서 자국의 발전과 이익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복잡하고도 다양한 외교관계를 펼쳐나갔던 것이다.

The resources that were sent by Backjae to Japan consisted of scholars, specialists, buddhist figures, and other cultural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resources sent to Backjae by Japan consisted of horses, ships, worker, bows and arrows, solders, and other military goods so that soldiers were the majority. Japan chose Backjae as their means for exposure to advanced culture. It appears, that since Backjae influenced the Gaya region, Japan relied on Backjae for supplies of high quality steel and advanced culture. Japan was a firm supporter of Backjae for a long time, the reason for Japan's change in attitude towards Backjae seems to lie in the decline of Backjae's status and influence in the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loss of the Han River and Gaya regions. During the later half of the 6th century, Backjae actively pursued foreign relations with China and through these friendly relations exerted pressure on Koguryo. Thus it appears that Backjae did not completely lose its influential status as being the supplier of advanced cultural resources to Japan. Thus, while maintaining its position of being the supplier of advanced cultural resources to Japan, Backjae restored its statu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overcame alienation. In this light, 6th century foreign relations between Backjae and Japan, which were characterized by the interest's of individual nations within the international realm of East Asia, were complex and diverse.

The resources that were sent by Backjae to Japan consisted of scholars, specialists, buddhist figures, and other cultural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resources sent to Backjae by Japan consisted of horses, ships, worker, bows and arrows, solders, and other military goods so that soldiers were the majority. Japan chose Backjae as their means for exposure to advanced culture. It appears, that since Backjae influenced the Gaya region, Japan relied on Backjae for supplies of high quality steel and advanced culture. Japan was a firm supporter of Backjae for a long time, the reason for Japan's change in attitude towards Backjae seems to lie in the decline of Backjae's status and influence in the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loss of the Han River and Gaya regions. During the later half of the 6th century, Backjae actively pursued foreign relations with China and through these friendly relations exerted pressure on Koguryo. Thus it appears that Backjae did not completely lose its influential status as being the supplier of advanced cultural resources to Japan. Thus, while maintaining its position of being the supplier of advanced cultural resources to Japan, Backjae restored its statu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overcame alienation. In this light, 6th century foreign relations between Backjae and Japan, which were characterized by the interest's of individual nations within the international realm of East Asia, were complex and divers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6th Century, Backjae and Japan, Foreign relations, Exchange of resources, Advanced culture

피인용 횟수

  • KCI 10회

  • 724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왜백제관계?

백제의 멸망기에도 백제에 대한 우호적 관계는 변함이 없었다. 이러한 사실은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될 때 에서는 대군을 파견하여 백제군을 지원하고자 한 것에서 알 수 있다. ≪日本書紀≫권 27, 天智天皇 원년 8월. 백제관계는 부흥운동기에도 계속 유지되었다.

백제 몆년?

678년 동안 존속한 백제 역사의 전개과정을 수도 변천을 중심으로 보면 한성도읍기(漢城都邑期: 기원전 18∼기원후 475), 웅진도읍기(熊津都邑期: 475∼538), 사비도읍기(泗沘都邑期: 538∼660)로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신라 몇년?

신라(新羅)는 기원전 57년부터 935년까지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이끌고 발해와 함께 남북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계승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다.

왜 일본 차이?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일본인을 가리키던 말인 (倭)라는 글자의 비하적인 의미를 희석하기 위해 이를 일본어로 발음이 '와'로 같은 '화'(和) 자로 바꾸고 앞에 '대'(大)를 붙여서 '大和'를 국명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