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결핍 우울증 - bitamind gyeolpib uuljeung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비타민D 결핍이 우울증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일랜드의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TCD) 세인트 제임스 병원 노인의학 전문의 로버트 브릭스 박사 연구팀은 비타민D 결핍이 우울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5일 보도했다.

TCD에서 진행하고 있는 '아일랜드 노화 종단연구'(TILDA: The Irish Longitudinal Study on Aging) 자료를 분석한 결과 비타민D가 부족하면 4년 안에 우울증이 나타날 위험이 75%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만성 질환, 신체활동 부족, 심혈관질환 등 우울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다른 위험요인을 고려했지만, 이 결과에는 변함이 없었다.

항우울제 또는 비타민D 보충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 결과는 비타민D가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고 브릭스 박사는 설명했다.

비타민D 결핍은 치매,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MS)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들도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비타민D는 태양의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통해 체내에서 합성된다. 그래서 별명이 '햇볕 비타민'(sunshine vitamin)이다. 햇볕 노출을 통해 우리 몸에 필요한 비타민D의 90%가 공급된다. 매일 피부의 10%를 자외선에 15~30분 노출하는 것만으로도 체내에서 충분한 비타민D가 만들어진다.

식품 중에는 기름 많은 생선(연어, 참치, 고등어), 간, 계란 노른자, 치즈 등에 들어 있으며 비타민D가 첨가된 시리얼과 우유 그리고 비타민D 보충제를 통해서도 섭취가 가능하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노인 장기치료 의사협회(AMDA: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학술지 '급성기 이후·장기 치료 의학 저널'(Journal of Post-Acute and Long-term Care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비타민d 결핍 우울증 - bitamind gyeolpib uuljeung

비타민D 보충제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8/12/06 09:24 송고

����� '����'�� ����� �ų�, ��Ÿ��D�� ��� ����?

������ �コ���� ����

  • �� -
  • �� +

2021/01/06 06:30

비타민d 결핍 우울증 - bitamind gyeolpib uuljeung

�� �ǿ�Ȱ�� ���ҷ� ��ﰨ�� ��ٸ� ��Ÿ��D�� ������ ���� �� �ִ�. / ����=Ŭ����Ʈ�ڸ���

�ڷγ�19�� ���� �dz���Ȱ ���ȭ�� ��ﰨ�� �ް� �ִٸ� ��Ÿ��D ������ ���� ������ ���� �� ���� ������ ���δ�.

�޻������Űǰ� ì��� �ϼ����� ��Ÿ��D
��Ÿ��D�� ���� ưư�ϰ� �ϴ� ��ǥ���� ����Ҵ�. ��Ÿ��D�� Į���� ������ ���� ���� �е��� ���̰� ��������ٰ��� ���� ������ �ٿ��ش�.

�Ӹ� �ƴ϶� �ູ���� ���̴� ������� ȣ���� �ռ��� �����ϰ� �־� ��ﰨ�� �ٿ��ִ� ȿ���� �ִ�. �̱� ������ ���� �������� �ܿ�ö ������� �������� ������ ��Ÿ��D �����̶�� ���� ��ŭ ��ﰨ �������� ��Ÿ��D�� ������ ũ��.

���޺����� ����� �ڷγ� �ô�, �����?
��Ÿ��D�� ��κ� �޺��� ���� �Ǻο��� �ռ��ȴ�. ����� ���� ��Ÿ��D�� ��� ���ؼ� �Ϸ� 15��~30�� �̻� �޺��� ����Ǿ�� ������ �ڷγ�19�� ���� �޺��� ����� ����� ���� �ʴ�.

�ǿ�Ȱ���� ����� ��Ȳ������ ��ǰ�� ���� ��Ÿ��D�� ������ �� �ִ�. ��Ÿ��D�� dz���� ��ǥ���� ��ǰ���δ� ���������졤��ġ������ ���� �ִ�. ���Ĺ� ���뵵 ����� ��쿡�� �ֻ縦 ���� ������ ���� �ִ�. ���ɿ� ���� 3~4������ 1ȸ ���·� ��Ÿ��D�� �ֻ��ϸ� ���� ��Ÿ��D ��ġ�� ������ �� �ִ�.

�ٸ� ��Ÿ��D�� ���������ϰų� Į���� ���� �������� �ʵ��� �����ؾ� �Ѵ�. ��Ÿ��D�� ����ġ�� �����ϸ� Į���� �����ϰ� ������ �ŰἮ���̳� �ż�ȸȭ���� ���� �� �ִ�. ���� Į���� ��Ÿ��D�� �Բ� �����ϸ� ü������ Į�� ������ ������ ��Į�������� �߻� ������ ��������. ���׿� Į�� ������ ����ġ�� ������ �������� �� �־� ���ư�ȭ�� �̻����������� �ִ� ����� ���Ǹ� ��←�� �Ѵ�.

  • �� ���� ���̴� ����Ÿ�Ρ��� �ִ�
  • ��ģ ����? ���� '��Ÿ��' ���� ���÷��� ���� ������ ������
  • �������� ����� ����? ���ϰ� '�� ����' ����
  • ��Ÿ��D ������ �ѱ� ������ ���� �ϡ� ���� ������
  • ü�� '�� �����' �����ϸ�, �̰����� ���� ����
  • �ҹ� ���� ��Ÿ��C��D�� ��¥ �ڷγ�19�� ȿ��?
  • ���� ����� ����Ÿ�� D�� ���� ��������, ���̰͡� ì�ܸԴ� �� �ּ�
  • �޺� �ظ� �Ǻμ� �ռ��Ǵ� '��Ÿ��D', LED ���� �ؾ����ϡ�
  • �����ص� ���ص� �� �Ǵ� ��Ÿ�� D, ��������?
  • ���� �ټҺ� ��ǰ �� ��Ÿ��D �Է� 1����?
  • �� ȯ��, ��Ÿ�� D�� �ʼ�?
  • ��Ÿ�� ������ ���, �󱼿� ���� ���� ��Ÿ��
  • �ѱ��� ��ټ� ������ ��Ÿ��D�� ���� ��ȯ�� ������ ���� �ʼ�
  • "��Ÿ��D ����, �ڷγ�19 ��� ���� ����"
  • �� �ǰ� ���� Į����? '�� �����' �����ϸ� ��¯ ���繬
  • ��Ÿ��D ����, '�� ��ȯ' ���� 11% ���δ�
  • '�� �����' ������ ���, �ڷγ��� ��ࡦ ������ ����
  • �� ���浵 �ϴµ��� �ܿ��̸� ���������� '�� �����'
  • "'�� �����' ����, ���� ����� �����Ѵ�"
  • �ڷγ� ��� ȿ�� ���̷��� ��Ÿ��D �����϶�?
  • �� � �����ϸ� �鿪�� ���ϡ� ���� '�̰�' �����ϸ� ����
  • "�츮���� û�ҳ� 80%, ��Ÿ��D ����"
  • Į��������, ��Ÿ��D�� �Բ� �����ؾߡ� ����� ����, ��������� ����
  • �dz� ��Ȱ ſ ��Ÿ��D ������ ���̵� �� �ǰ� ��¼��
  • '�̰�' �����ϸ�, ���� ��� ��������
  • �񸸴����� �յ� ���, ��Ÿ��D ���� ����
  • �ؿ� �������� ������ '������ī�� ��dz' ���� ����?
  • ���⵵ ���ϴµ��� "��Ÿ��D �����ϸ� �ڷγ� ���� ����"
  • [ī�崺��] �ڷγ�19 ġ�ῡ ��Ÿ��C�� ȿ���� �����ǰ� �ִ�?
  • ��Ÿ��D ����, �ֻ� �¾ƾ� �ϳ���?
  • "�������� ȯ�ڿ� ��ҽ�!!! KAIST �ű�� �Ƿ��� ����..."
  • 비타민d 결핍 우울증 - bitamind gyeolpib uuljeung

비타민d 결핍 우울증 - bitamind gyeolpib uuljeu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와 정신질환, 특히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 추이를 보이고 있는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비타민 D의 종류, 급원 식품, 비타민 D 영양상태 현황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타민 D와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요약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타민 D는 자연계에 주로 비타민 $D_2$(ergocalciferol)와 $D_3$(cholecalciferol)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주로 대구간유, 고등어, 정어리와 같은 지방이 많은 생선, 난황, 표고버섯 등이 주요 급원 식품이다. 둘째, 국내 외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준을 고찰한 결과 비타민 D 결핍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혈청 25(OH)D 20 ng/mL 미만인 남녀는 각각 89%, 99%로 매우 낮은 비타민 D 수준을 보였다. 셋째, 체내 비타민 D의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인종, 거주 지역, 위도, 의복차림, 계절적 차이, 직업, 자외선 노출 정도, 보충제 복용 여부 등이 보고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연령의 증가(한국인 및 일본인의 경우 반대 방향),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어두운 피부색, 흡수 불량 및 비만은 비타민 D의 합성, 흡수 및 이용률에 영향을 주어 비타민 D 부족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넷째, 최근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국외 역학연구들은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횡단 연구와 코호트 연구 결과는 불일치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비타민 D 보충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임상시험연구도 일부 진행되었으나 이 또한 불일치한 결과를 보였지만 보충제로 얻는 비타민 D는 식이로부터 얻는 비타민 D와 다르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횡단 연구 및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한 연구 결과 우울증에 대한 비타민 D의 이로운 효과에 대하여 비교적 일치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국외에서 진행된 연구이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분석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insufficient or deficient vitamin D status may be linked to increased risk of depressive conditions or depre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ll available evidence on vitamin D, depression, and any association between them. Cross-sectional,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have reported contradictory results. Some have reported that low levels of vitamin D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depression or depressive symptoms while others reported that vitamin D status may not be related to depression. Recent clinical trials examining the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depression have also showed discrepant results. However, meta-analysis study results are consistent regard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vitamin D. Several mechanisms that account for these beneficial effects of vitamin D on depression have been reported but remain largely speculative. Vitamin D deficiency is very common,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is increasing in the Asian population, especially females. However, limited literature is available on this population. Considering research results of a potential invers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level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it is important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vitamin D in depression and conduct well-designed prospective trials in the Asian population.

본문요약 

문제 정의

  • 본 장에서는 비타민 D와 우울증의 관련요인, 국내외 비타민 D 결핍 및 우울증 현황 그리고 비타민 D와 우울증 간의 연관성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요약하여 최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부 역학연구를 종합한 메타 분석은 비타민 D의 결핍이 우울증의 위험을 높일 수있다는 방향으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비타민 D와 우울증의 관련요인, 국내외 비타민 D 결핍 및 우울증 현황 그리고 비타민 D와 우울증 간의 연관성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요약하여 최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안 방법
  • 근육 및 골절 위험과 관련된 비타민의 수준을 연구한 논문에서는 비타민 D 결핍 수준으로 25(OH)D 10 ng/mL 미만을 제시하였다.

    신장병 관리 가이드라인(Kidney Disease Outcomes Quality Initiative Guidelines)에의하면 혈청 25(OH)D가 15 ng/mL 미만인 경우 ‘비타민 D 결핍’으로 정의하고 있고, 미국 의학기관(Institute of Medicine, IOM)의 기준에 의하면 12 ng/mL 미만을 ‘비타민 D 결핍’, 12∼20 ng/mL는 ‘비타민 D 불충분(insufficiency)’으로 정의하며, 50 ng/mL 이상일 경우 과잉으로 인한 건강문제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근육 및 골절 위험과 관련된 비타민의 수준을 연구한 논문에서는 비타민 D 결핍 수준으로 25(OH)D 10 ng/mL 미만을 제시하였다. 그외 논문들에서는 혈청 25(OH)D가 20 ng/mL(50 nmol/L) 미만이면 ‘비타민 D 결핍(deficiency)’으로 체내 비타민 D 영양상태 판정을 제시하고 있다.

성능/효과
  • 그 결과 DP 그룹과 DD 그룹에서는 1년간 우울증 점수가 각각 약 1점, 1.5점씩 유의 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위약그룹의 우울증 점수는 변화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우울증 예방에 대한 비타민 D 보충제의 이로운 효과를 관찰하였다(94).

    노르웨이에서는 과체중 혹은 비만인 성인 남녀 334명을 대상으로 플라시보 그룹(위약그룹), 비타민 D를 보충한 DP 그룹 (주당 비타민 D 20,000 IU), DD 그룹(주당 비타민 D 40,000 IU 보충)으로 구분하여 1년간 우울증상에 대한 비타민 D 보충제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DP 그룹과 DD 그룹에서는 1년간 우울증 점수가 각각 약 1점, 1.5점씩 유의 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위약그룹의 우울증 점수는 변화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우울증 예방에 대한 비타민 D 보충제의 이로운 효과를 관찰하였다(94). 이와는 대조적으로 30∼75세의 노르웨이인 남녀 230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진행된 임상시험연구(95)와 미국에서 진행된 폐경기 여성 36,282명의 2년간 임상시험연구에서 비타민 D의 보충제와 우울증 간의 연관성은 제시되지 않았다.

  • 대상자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혈청 비타민 D 수준이 높아지는 추이를 보였고, 특히 20∼29세에서 비타민 D 불충분에 포함되는 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대상자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혈청 비타민 D 수준이 높아지는 추이를 보였고, 특히 20∼29세에서 비타민 D 불충분에 포함되는 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 둘째, 우울증 및 우울증상을 경험 했던 대상자라면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비타민 D를 포함한 다른 보충제를 사용함으로 인해 보충제 사용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

    첫째, 식이로 얻는 비타민 D는 보충제로 얻는 비타민 D보다 혈청 25 (OH)D 농도에 더 강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우울증 및 우울증상을 경험 했던 대상자라면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비타민 D를 포함한 다른 보충제를 사용함으로 인해 보충제 사용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식이로부터 얻는 비타민 D의 긍정적인 결과는 전반적으로 건강한 식사패턴에 의하거나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에 있는 다른 영양소에 의해 반영되는 교란인자(confounding factor)에 의해 그럴듯하게 반영 되는 것일 수 있다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마지막으로 식이로부터 얻는 비타민 D의 긍정적인 결과는 전반적으로 건강한 식사패턴에 의하거나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에 있는 다른 영양소에 의해 반영되는 교란인자(confounding factor)에 의해 그럴듯하게 반영 되는 것일 수 있다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우울증 및 우울증상을 경험 했던 대상자라면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비타민 D를 포함한 다른 보충제를 사용함으로 인해 보충제 사용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식이로부터 얻는 비타민 D의 긍정적인 결과는 전반적으로 건강한 식사패턴에 의하거나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에 있는 다른 영양소에 의해 반영되는 교란인자(confounding factor)에 의해 그럴듯하게 반영 되는 것일 수 있다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이하 NHANES) 자료를 이용하여 1988∼1994년과 2000∼2004년 미국인 각각 18,158명, 20,289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수준을 비교 연구한 결과 미국인의 비타민 D 수준은 과거 10∼15년 동안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비타민 D 불충분 상태 (혈청 25(OH)D 10∼20 ng/mL)에 해당되는 대상자는 약 23∼24%, 비타민 D 결핍(혈청 25(OH)D 10 ng/mL 미만) 은 6∼10% 수준을 보였다(34,35).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이하 NHANES) 자료를 이용하여 1988∼1994년과 2000∼2004년 미국인 각각 18,158명, 20,289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수준을 비교 연구한 결과 미국인의 비타민 D 수준은 과거 10∼15년 동안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비타민 D 불충분 상태 (혈청 25(OH)D 10∼20 ng/mL)에 해당되는 대상자는 약 23∼24%, 비타민 D 결핍(혈청 25(OH)D 10 ng/mL 미만) 은 6∼10% 수준을 보였다(34,35).

  • 미국인 남녀 성인 12,594명을 대상으로한 횡단 분석 연구 결과, 대상자의 혈청 25(OH)D 수준이 10 ng/mL씩 증가할 때마다 우울증 유병 위험이 약 8% 더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odds ratio(OR): 0.92, 95% confidence interval(95% CI): 0.87∼0.97)(79), 65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진행된 암스테르담 노화추적연구(Longitudinal Aging Study Amsterdam) 데이터를 이용한 횡단 분석연구에서도 혈청 25(OH)D 수준과 우울증 간의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보였다(83).

    미국인 남녀 성인 12,594명을 대상으로한 횡단 분석 연구 결과, 대상자의 혈청 25(OH)D 수준이 10 ng/mL씩 증가할 때마다 우울증 유병 위험이 약 8% 더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odds ratio(OR): 0.92, 95% confidence interval(95% CI): 0.87∼0.97)(79), 65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진행된 암스테르담 노화추적연구(Longitudinal Aging Study Amsterdam) 데이터를 이용한 횡단 분석연구에서도 혈청 25(OH)D 수준과 우울증 간의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보였다(83).

  • 비타민 D 결핍과 우울증 사이의 관련성에 대하여 횡단연구 및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한 결과(99) 횡단연구의 메타 분석에서는 비타민 D 수준이 낮은 그룹이 비타민 D 수준이 높은 그룹에 비해 우울증 유병률이 약 31%높았고(OR: 1.31, 95% CI: 1.0∼1.71), 코호트 연구의 메타 분석 결과는 비타민 D 수준이 낮은 그룹이 비타민 D 수준이 높은 그룹에 비해 위험률이 약 2.21배 증가하였다(HRs:2.21, 95% CI: 1.40∼3.49)(99).

    비타민 D 결핍과 우울증 사이의 관련성에 대하여 횡단연구 및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한 결과(99) 횡단연구의 메타 분석에서는 비타민 D 수준이 낮은 그룹이 비타민 D 수준이 높은 그룹에 비해 우울증 유병률이 약 31%높았고(OR: 1.31, 95% CI: 1.0∼1.71), 코호트 연구의 메타 분석 결과는 비타민 D 수준이 낮은 그룹이 비타민 D 수준이 높은 그룹에 비해 위험률이 약 2.21배 증가하였다(HRs:2.21, 95% CI: 1.40∼3.49)(99).

  • 이 연구에서는 혈청 25(OH)D 수준이 가장 높은 그룹(30 ng/mL 이상)과 비교하여 가장 낮은 그룹(10 ng/ mL 미만)의 우울증 유병률이 약 74% 더 높았으며 이는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OR: 1.74, 95% CI: 1.03∼2.93) (82).

    이 연구에서는 혈청 25(OH)D 수준이 가장 높은 그룹(30 ng/mL 이상)과 비교하여 가장 낮은 그룹(10 ng/ mL 미만)의 우울증 유병률이 약 74% 더 높았으며 이는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OR: 1.74, 95% CI: 1.03∼2.93) (82).

  • 주요 우울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n=89, 25(OH)D: 27±10.1 ng/mL)와 대조군(n=44, 25(OH)D: 34±14.4 ng/mL)의 혈청 25(OH)D 수준을 비교한 결과 환자군의 혈청 25(OH)D 수준이 약 7 ng/ mL 정도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02)(90).

    주요 우울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n=89, 25(OH)D: 27±10.1 ng/mL)와 대조군(n=44, 25(OH)D: 34±14.4 ng/mL)의 혈청 25(OH)D 수준을 비교한 결과 환자군의 혈청 25(OH)D 수준이 약 7 ng/ mL 정도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02)(90).

  • 첫째, 25(OH)D는 신경생장인자, 아세틸콜린 아세틸라제, 세로토닌, 테스토스테론, 갑상선호르몬, 티로신수산화효소 RNA의 합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물질들은 체내에서 우울증 발병 기전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위 연구의 결과들은 몇 가지 가능성으로 설명되었다. 첫째, 25(OH)D는 신경생장인자, 아세틸콜린 아세틸라제, 세로토닌, 테스토스테론, 갑상선호르몬, 티로신수산화효소 RNA의 합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물질들은 체내에서 우울증 발병 기전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둘째, 비타민 D 수용체는 시상하부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이는 신경내분비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최근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이하 KNHANES)를 이용하여 10세 이상 남녀 6,925명의 비타민 D 수준을 성별 및 연령대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39) 혈청 25(OH)D가 20 ng/mL 미만에 속하는 결핍자의 비율은 남성약 47%, 여성 약 65%인 반면, 혈청 25(OH)D가 30 ng/mL 이상인 대상자는 남성 약 13%, 여성 약 7%에 불과하였다.

    건강 검진을 목적으로 2004∼2006년 서울대학교병원의 내분비외과를 방문한 환자 19∼84세 남녀 994명의 혈청 비타민 D 수준을 분석한 결과 혈청 25(OH)D 수준이 20 ng/mL 미만인 대상자가 약 17% 수준이었고(40), 12∼13세 청소년 188명을 대상으로 2009년에 진행한 연구에서는 20 ng/mL 미만인 대상자가 남녀 청소년 각각 89%, 99%로 매우 낮은 비타민 D 수준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41). 최근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이하 KNHANES)를 이용하여 10세 이상 남녀 6,925명의 비타민 D 수준을 성별 및 연령대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39) 혈청 25(OH)D가 20 ng/mL 미만에 속하는 결핍자의 비율은 남성약 47%, 여성 약 65%인 반면, 혈청 25(OH)D가 30 ng/mL 이상인 대상자는 남성 약 13%, 여성 약 7%에 불과하였다. 대상자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혈청 비타민 D 수준이 높아지는 추이를 보였고, 특히 20∼29세에서 비타민 D 불충분에 포함되는 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 혈청 25(OH)D 수준을 ‘15 ng/mL 이하’, ‘16∼30 ng/ mL’, ‘31∼50 ng/mL’, ‘50 ng/mL 초과’로 분류하여 우울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혈청 25(OH)D 수준이 가장 낮은 그룹은 가장 높은 그룹에 비해 우울증 발생률이 유의적으로 약 2.7배(hazard ratios(HRs): 2.70, 95% CI: 1.35∼5.40)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10).

    혈청 25(OH)D 수준을 ‘15 ng/mL 이하’, ‘16∼30 ng/ mL’, ‘31∼50 ng/mL’, ‘50 ng/mL 초과’로 분류하여 우울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혈청 25(OH)D 수준이 가장 낮은 그룹은 가장 높은 그룹에 비해 우울증 발생률이 유의적으로 약 2.7배(hazard ratios(HRs): 2.70, 95% CI: 1.35∼5.40)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10).

후속연구
  • 그러나 이러한 질환들과 우울증의 상호 인과관계는 명백하게 밝혀 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일부 역학연구에서는 염증반응(68), 대사증후군(69), 당뇨병(67), 심혈관 질환(66) 등의 건강문제와 우울증이 관련이 있다고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질환들과 우울증의 상호 인과관계는 명백하게 밝혀 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연구는 횡단연구에 국한되어 있거나 비타민 D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어 전향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인의 경우 나이(타 연구와 반대 방향), 거주 지역, 직업 등이 체내 비타민 D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연구는 횡단연구에 국한되어 있거나 비타민 D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어 전향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질문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

우울증이란 무엇인가?

정서, 인지, 행동, 신체적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를 나타내는 정신의학적 장애로 흔히 슬픔, 불안, 외로움, 죄책감, 무력감 등의 감정을 느끼는 현상

우울증이란 정서, 인지, 행동, 신체적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를 나타내는 정신의학적 장애로 흔히 슬픔, 불안, 외로움, 죄책감, 무력감 등의 감정을 느끼는 현상을 말하며(13), 주의 집중력 저하, 수면장애, 식욕저하 등을 동반한다고 알려져 있다(49). 우울증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고(14,15),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2002년 가장 큰 공중 보건 부담을 야기하는 질환 중 우울증을 4위로 보고한 바 있으며 2030년에는 2위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50,51).

비타민 D

비타민 D는 자연계에서 주로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

비타민 D2(ergocalciferol)와 D3(cholecalciferol) 두 가지 형태로 존재

비타민 D는 자연계에 주로 비타민 D2(ergocalciferol)와 D3(cholecalciferol)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16). 비타민 D2는 효모나 식물이 햇빛에 노출될 때 생성되는 형태이며 (17), 비타민 D3는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 털 등이 태양 자외선에 노출되어 생성되는 물질이다.

대규모 코호트 연구

대규모 코호트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인 이유는 무엇인가?

전반적인 문헌 고찰 결과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한 우울증상의 위험은 꾸준히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생물학적 기전도 보고되고 있다

연구 디자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역학연구 결과들은 불일치한 양상을 보였으나 최근 메타 분석 결과들은 비타민 D의 수준이 우울증 및 우울증상 위험과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고보고하고 있다. 전반적인 문헌 고찰 결과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한 우울증상의 위험은 꾸준히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생물학적 기전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한 비타민 D와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연관성 연구, 특히 대규모 코호트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10)

  1. 1. Korean Association for Vitamin Research. 2009. Vitamin D. Hansol Medical Book, Seoul, Korea. p 14-94. 
  2. 2. Hadley ME, Levine JE. 2008. Endocrinology. Pearson Education Korea Ltd. and Bio Science, Seoul, Korea. p 189-219. 
  3. 3. Koeppen BM, Stanton BA. 2009. Berne & Levy Physiology. 6th ed. E-public, Seoul, Korea. p 645-798. 
  4. 4. Holick MF. 2006. Resurrec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d rickets. J Clin Invest 116: 2062-2072. 
  5. 5. Ford ES, Ajani UA, McGuire LC, Liu S. 2005. Concentrations of serum vitamin D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Diabetes Care 28: 1228-1230. 
  6. 6. Mitri J, Muraru MD, Pittas AG. 2011. Vitamin D and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Eur J Clin Nutr 65: 1005-1015. 
  7. 7. Sun Q, Shi L, Rimm EB, Giovannucci EL, Hu FB, Manson JE, Rexrode KM. 2011. Vitamin D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US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94: 534-542. 
  8. 8. Giovannucci E. 2009. Vitamin D and cancer incidence in the Harvard cohorts. Ann Epidemiol 19: 84-88. 
  9. 9. Stewart R, Hirani V. 2010.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s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residents from a national survey population. Psychosom Med 72: 608-612. 
  10. 10. May HT, Bair TL, Lappe DL, Anderson JL, Horne BD, Carlquist JF, Muhlestein JB. 2010. Association of vitamin D levels with incident depression among a general cardiovascular population. Am Heart J 159: 1037-1043. 
  11. 11. Milaneschi Y, Shardell M, Corsi AM, Vazzana R, Bandinelli S, Guralnik JM, Ferrucci L. 2010.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women and men. J Clin Endocrinol Metab 95: 3225-3233. 
  12. 12. Ganji V, Milone C, Cody MM, McCarty F, Wang YT. 2010. Serum vitamin D concentrations are related to depression in young adult US populatio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 Arch Med 3: 29. 
  13. 13. Yang S, Ha YS, Lee GS, Lee JS, Kwon HJ, Lee MH. 2011.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4th ed. Hyunmoon, Seoul, Korea. p 243-276. 
  14. 14. Park JH, Kim KW. 2011.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4: 362-369. 
  15. 15. Ustun TB, Ayuso-Mateos JL, Chatterji S, Mathers C, Murray CJ. 2004. Global burden of depressive disorders in the year 2000. Br J Psychiatry 184: 386-392. 
  16. 16. Lips P. 2006. Vitamin D physiology. Prog Biophys Mol Biol 92: 4-8. 
  17. 17. Soram Khalsa MD. 2009. The vitamin D revolution. Health Chosun, Seoul, Korea. p 23-43. 
  18. 18. Holick MF. 2007. Vitamin D deficiency. N Engl J Med 357: 266-281. 
  19. 19. Muller DN, Kleinewietfeld M, Kvakan H. 2011. Vitamin D review. J Renin Angiotensin Aldosterone Syst 12: 125-128. 
  20. 20. Cannell JJ, Vieth R, Umhau JC, Holick MF, Grant WB, Madronich S, Garland CF, Giovannucci E. 2006. Epidemic influenza and vitamin D. Epidemiol Infect 134: 1129-1140. 
  21. 21. Cannell JJ, Hollis BW. 2008. Use of vitamin D in clinical practice. Altern Med Rev 13: 6-20. 
  22. 22. Rosen CJ. 2011. Clinical practice. Vitamin D insufficiency. N Engl J Med 364: 248-254. 
  23. 23. Zerwekh JE. 2004. The measurement of vitamin D: analytical aspects. Ann Clin Biochem 41: 272-281. 
  24. 24. Reichel H, Koeffler HP, Norman AW. 1989. The role of the vitamin D endocrine system in health and disease. N Engl J Med 320: 980-991. 
  25. 25. Wei MY, Giovannucci EL. 2010. Vitamin D and multiple health outcomes in the Harvard cohorts. Mol Nutr Food Res 54: 1114-1126. 
  26. 26. Weaver CM, Fleet JC. 2004. Vitamin D requirements: current and future. Am J Clin Nutr 80: 1735-1739. 
  27. 27. Wagner D, Hanwell HE, Vieth R. 2009. An evaluation of automated methods for measurement of serum 25-hydroxyvitamin D. Clin Biochem 42: 1549-1556. 
  28. 28. Hollis BW. 2008. Measuring 25-hydroxyvitamin D in a clinical environment: challenges and needs. Am J Clin Nutr 88: 507-510. 
  29. 29. Roth HJ, Schmidt-Gayk H, Weber H, Niederau C. 2008. Accuracy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seven 25-hydroxyvitamin D methods compared with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as a reference. Ann Clin Biochem 45: 153-159. 
  30. 30. Ng K, Meyerhardt JA, Wu K, Feskanich D, Hollis BW, Giovannucci EL, Fuchs CS. 2008. Circulating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J Clin Oncol 26: 2984-2991. 
  31. 31. Yetley EA, Pfeiffer CM, Schleicher RL, Phinney KW, Lacher DA, Christakos S, Eckfeldt JH, Fleet JC, Howard G, Hoofnagle AN, Hui SL, Lensmeyer GL, Massaro J, Peacock M, Rosner B, Wiebe D, Bailey RL, Coates PM, Looker AC, Sempos C, Johnson CL, Picciano MF. 2010. NHANES monitoring of serum 25-hydroxyvitamin D: a roundtable summary. J Nutr 140: 2030-2045. 
  32. 32. Holick MF. 2009. Vitamin D status: measurement, interpret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Ann Epidemiol 19: 73-78. 
  33. 33. Priemel M, von Domarus C, Klatte TO, Kessler S, Schlie J, Meier S, Proksch N, Pastor F, Netter C, Streichert T, Puschel K, AmLing M. 2010. Bone mineralization defects and vitamin D deficiency: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iliac crest bone biopsies and circulating 25-hydroxyvitamin D in 675 patients. J Bone Miner Res 25: 305-312. 
  34. 34. Looker AC, Pfeiffer CM, Lacher DA, Schleicher RL, Picciano MF, Yetley EA. 2008. Serum 25-hydroxyvitamin D status of the US population: 1988-1994 compared with 2000-2004. Am J Clin Nutr 88: 1519-1527. 
  35. 35. Looker AC, Johnson CL, Lacher DA, Pfeiffer CM, Schleicher RL, Sempos CT. 2011. Vitamin D status: United States, 2001-2006. NCHS Data Brief 59: 1-8. 
  36. 36. Greene-Finestone LS, Berger C, de Groh M, Hanley DA, Hidiroglou N, Sarafin K, Poliquin S, Krieger J, Richards JB, Goltzman D. 2011. 25-Hydroxyvitamin D in Canadian adults: biological,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correlates. Osteoporos Int 22: 1389-1399. 
  37. 37. Ardawi MS, Qari MH, Rouzi AA, Maimani AA, Raddadi RM. 2011. Vitamin D status in relation to obesity, bone mineral density, bone turnover markers and vitamin D receptor genotypes in healthy Saudi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Osteoporos Int 22: 463-475. 
  38. 38. Ardawi MS, Sibiany AM, Bakhsh TM, Qari MH, Maimani AA. 2012. High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among healthy Saudi Arabian men: relationship to bone mineral density, parathyroid hormone, bone turnover markers, and lifestyle factors. Osteoporos Int 23: 675-686. 
  39. 39. Choi HS, Oh HJ, Choi H, Choi WH, Kim JG, Kim KM, Kim KJ, Rhee Y, Lim SK. 2011. Vitamin D insufficiency in Korea - a greater threat to younger gener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 J Clin Endocrinol Metab 96: 643-651. 
  40. 40. Cho SW, Kim SW, Shin CS, Kim SY. 2007. The prevalence and the threshold of vitamin D insufficiency in Korea. Korean J Bone Metab 14: 19-26. 
  41. 41. Shin YH, Kim KE, Lee C, Shin HJ, Kang MS, Lee HR, Lee YJ. 2012. High prevalence of vitamin D insufficiency or deficiency in young adolescents in Korea. Eur J Pediatr 10: 1475-1480. 
  42. 42. Nakamura K, Nashimoto M, Matsuyama S, Yamamoto M. 2001. Low serum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in young adult Japanese women: a cross sectional study. Nutrition 17: 921-925. 
  43. 43. McKenna MJ. 1992. Differences in vitamin D status between countries in young adults and the elderly. Am J Med 93: 69-77. 
  44. 44. Mithal A, Wahl DA, Bonjour JP, Burckhardt P, Dawson- Hughes B, Eisman JA, El-Hajj Fuleihan G, Josse RG, Lips P, Morales-Torres J. 2009. Global vitamin D status and determinants of hypovitaminosis D. Osteoporos Int 20: 1807-1820. 
  45. 45. Lips P. 2007. Vitamin D status and nutrition in Europe and Asia. J Steroid Biochem Mol Biol 103: 620-625. 
  46. 46. Aris RM, Merkel PA, Bachrach LK, Borowitz DS, Boyle MP, Elkin SL, Guise TA, Hardin DS, Haworth CS, Holick MF, Joseph PM, O'Brien K, Tullis E, Watts NB, White TB. 2005. Guide to bone health and disease in cystic fibrosis. J Clin Endocrinol Metab 90: 1888-1896. 
  47. 47. Lo CW, Paris PW, Clemens TL, Nolan J, Holick MF. 1985. Vitamin D absorption in healthy subjects and in patients with intestinal malabsorption syndromes. Am J Clin Nutr 42: 644-649. 
  48. 48. Wortsman J, Matsuoka LY, Chen TC, Lu Z, Holick MF. 2000. Decreased bioavailability of vitamin D in obesity. Am J Clin Nutr 72: 690-693. 
  49. 49. Peveler R, Carson A, Rodin G. 2002. Depression in medical patients. BMJ 325: 149-152. 
  50. 50. Mathers CD, Loncar D. 2005. Updated projections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2002-2030: data sources, methods and result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51. 51. Mathers CD, Loncar D. 2006. Projections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from 2002 to 2030. PLoS Med 3: e442. 
  52. 52.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2001.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 Gen Intern Med 16: 606-613. 
  53. 53. Kessler RC, McGonagle KA, Zhao S, Nelson CB, Hughes M, Eshleman S, Wittchen HU, Kendler KS. 1994. Lifetime and 12-month prevalence of DSM-III-R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 Gen Psychiatry 51: 8-19. 
  54. 54. Kessler RC, Chiu WT, DemLer O, Merikangas KR, Walters EE. 2005.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 Gen Psychiatry 62: 617-627. 
  55. 55. Radloff L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56. 56. Zigmond AS, Snaith R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67: 361-370. 
  57. 57.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4: 561-571. 
  58. 58. Casper RC. 1998.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s. Depress Anxiety 8 Suppl 1: 96-104. 
  59. 59. Devaud C, Jeannin A, Narring F, Ferron C, Michaud PA. 1998.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adolescents in Switzerland: prevalence and associations with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t J Eat Disord 24: 207-216. 
  60. 60. Park JE, Kim SJ, Choue RW. 2009. Study on stress, depression, binge eating, and foo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ir BMI.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 175-181. 
  61. 61. Sherwood NE, Jeffery RW, Wing RR. 1999. Binge status as a predictor of weight loss treatment outcom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3: 485-493. 
  62. 62. Cassidy K, Kotynia-English R, Acres J, Flicker L, Lautenschlager NT, Almeida OP. 2004.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factors and mental health measures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women. Aust N Z J Psychiatry 38: 940-947. 
  63. 63. Pan A, Sun Q, Czernichow S, Kivimaki M, Okereke OI, Lucas M, Manson JE, Ascherio A, Hu FB. 2012. Bidirectional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obesity in middle- aged and older women. Int J Obes (Lond) 36: 595-602. 
  64. 64. Simon GE, Ludman EJ, Linde JA, Operskalski BH, Ichikawa L, Rohde P, Finch EA, Jeffery RW. 2008.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Gen Hosp Psychiatry 30: 32-39. 
  65. 65. Vaccarino V, McClure C, Johnson BD, Sheps DS, Bittner V, Rutledge T, Shaw LJ, Sopko G, Olson MB, Krantz DS, Parashar S, Marroquin OC, Merz CN. 2008. Depression,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Psychosom Med 70: 40-48. 
  66. 66. Atlantis E, Shi Z, Penninx BJ, Wittert GA, Taylor A, Almeida OP. 2012. Chronic medical conditions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47: 615-625. 
  67. 67. Pan A, Lucas M, Sun Q, van Dam RM, Franco OH, Manson JE, Willett WC, Ascherio A, Hu FB. 2010. Bidirectional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in women. Arch Intern Med 170: 1884-1891. 
  68. 68. Leonard BE. 2007. Inflammation, depression and dementia: are they connected? Neurochem Res 32: 1749-1756. 
  69. 69. Pan A, Keum N, Okereke OI, Sun Q, Kivimaki M, Rubin RR, Hu FB. 2012. Bidirectional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al studies. Diabetes Care 35: 1171-1180. 
  70. 70. Shim RS, Baltrus P, Ye J, Rust G. 2011. Prevalence, treatment, and control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2005-2008. J Am Board Fam Med 24: 33-38. 
  71. 71. Pirkis J, Pfaff J, Williamson M, Tyson O, Stocks N, Goldney R, Draper B, Snowdon J, Lautenschlager N, Almeida OP. 2009. The community prevalence of depression in older Australians. J Affect Disord 115: 54-61. 
  72. 72. Solhaug HI, Romuld EB, Romild U, Stordal E. 2012. Increased prevalence of depression in cohorts of the elderly: an 11-year follow-up in the general population-the HUNT study. Int Psychogeriatr 24: 151-158. 
  73. 73. Roh MS, Jeon HJ, Kim H, Han SK, Hahm BJ. 2010.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depression among medical student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in South Korea. Acad Med 85: 1384-1390. 
  74. 74. Lee S, Tsang A, Huang YQ, He YL, Liu ZR, Zhang MY, Shen YC, Kessler RC. 2009.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metropolitan China. Psychol Med 39: 735-747. 
  75. 75. Mulsant BH, Ganguli M. 1999. Epidemiology and diagnosis of depression in late life. J Clin Psychiatry 60 Suppl 20: 9-15. 
  76. 76. Eaton WW, Anthony JC, Tepper S, Dryman A. 1992. Psychopathology and attrition in th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urveys. Am J Epidemiol 135: 1051-1059. 
  77. 77. de Graaf R, Bijl RV, Smit F, Ravelli A, Vollebergh WA. 2000. Psychiatric and sociodemographic predictors of attrition in a longitudinal study: The Netherlands Mental Health Survey and Incidence Study (NEMESIS). Am J Epidemiol 152: 1039-1047. 
  78. 78. Chang SM, Hahm BJ, Lee JY, Shin MS, Jeon HJ, Hong JP, Lee HB, Lee DW, Cho MJ. 2008. Cross-national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caused by the diagnostic threshold. J Affect Disord 106: 159-167. 
  79. 79. Hoang MT, DeFina LF, Willis BL, Leonard DS, Weiner MF, Brown ES. 2011. Association between low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depression in a large sample of healthy adults: The Cooper Center Longitudinal Study. Mayo Clinic Proc 86: 1050-1055. 
  80. 80. Jaddou HY, Batieha AM, Khader YS, Kanaan SH, El- Khateeb MS, Ajlouni KM. 2012.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low levels of 25-hydroxyvitamin D among Jordanian adults: results from a national population survey.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62: 321-327. 
  81. 81. Kjærgaard M, Joakimsen R, Jorde R. 2011. Low serum 25- hydroxyvitamin D level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n adult Norwegian population. Psychiatry Research 190: 221-225. 
  82. 82. Lee DM, Tajar A, O'Neill TW, O'Connor DB, Bartfai G, Boonen S, Bouillon R, Casanueva FF, Finn JD, Forti G, Giwercman A, Han TS, Huhtaniemi IT, Kula K, Lean ME, Punab M, Silman AJ, Vanderschueren D, Wu FC, Pendleton N. 2011. Lower vitamin D level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community-dwelling European men. J Psychopharmacol 25: 1320-1328. 
  83. 83. Hoogendijk WJ, Lips P, Dik MG, Deeg DJ, Beekman AT, Penninx BW. 2008.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25-hydroxyvitamin D and increased parathyroid hormone levels in older adults. Arch Gen Psychiatry 65: 508-512. 
  84. 84. Cassidy-Bushrow AE, Peters RM, Johnson DA, Li J, Rao DS. 2012. Vitamin D nutritional status and antenatal depressive symptoms in African American women. J Womens Health (Larchmt) 21: 1189-1195. 
  85. 85. Lapid MI, Cha SS, Takahashi PY. 2013. Vitamin D and depression in geriatric primary care patients. Clin Interv Aging 8: 509-514. 
  86. 86. Pan A, Lu L, Franco OH, Yu Z, Li H, Lin X. 2009.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25-hydroxyvitamin D in middle-aged and elderly Chinese. J Affect Disord 118: 240-243. 
  87. 87. Zhao G, Ford ES, Li C, Balluz LS. 2010. No associations between serum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and parathyroid hormone and depression among US adults. Br J Nutr 104: 1696-1702. 
  88. 88. Nanri A, Mizoue T, Matsushita Y, Poudel-Tandukar K, Sato M, Ohta M, Mishima N. 2009. Association between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depressive symptoms in Japanese: analysis by survey season. Eur J Clin Nutr 63: 1444-1447. 
  89. 89. Koo S, Park K. 2014. Associations of serum 25(OH)D levels with depression and depressed condition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KNHANES 2008-2010. J Nutr Health 47: 113-123. 
  90. 90. Eskandari F, Martinez PE, Torvik S, Phillips TM, Sternberg EM, Mistry S, Ronsaville D, Wesley R, Toomey C, Sebring NG, Reynolds JC, Blackman MR, Calis KA, Gold PW, Cizza G. 2007. Low bone mass in premenopausal women with depression. Arch Intern Med 167: 2329-2336. 
  91. 91. Chan R, Chan D, Woo J, Ohlsson C, Mellstrom D, Kwok T, Leung P. 2011. Association between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psychological health in older Chinese men in a cohort study. J Affect Disord 130: 251-259. 
  92. 92. Brouwer-Brolsma EM, Feskens EJ, Steegenga WT, de Groot LC. 2013. Associations of 25-hydroxyvitamin D with fasting glucose, fasting insulin, dementia and depression in European elderly: the SENECA study. Eur J Nutr 52: 917-925. 
  93. 93. Tolppanen AM, Sayers A, Fraser WD, William D, Lewis G, Zammit S, Lawlor DA. 2012. The association of serum 25-hydroxyvitamin $D_3$ and $D_2$ with depressive symptoms in childhood - a prospective cohort study. J Child Psychol Psychiatry 53: 757-766. 
  94. 94. Jorde R, Sneve M, Figenschau Y, Svartberg J, Waterloo K. 2008.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symptoms of depression in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randomized double blind trial. J Intern Med 264: 599-609. 
  95. 95. Kjaergaard M, Waterloo K, Wang CE, Almas B, Figenschau Y, Hutchinson MS, Svartberg J, Jorde R. 2012.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 on depression scores in people with low levels of serum 25-hydroxyvitamin D: nested case-control study and randomised clinical trial. Br J Psychiatry 201: 360-368. 
  96. 96. Bertone-Johnson ER, Powers SI, Spangler L, Larson J, Michael YL, Millen AE, Bueche MN, Salmoirago-Blotcher E, Wassertheil-Smoller S, Brunner, Robert L, Ockene I, Ockene JK, Liu S, Manson JE. 2012.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depression in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calcium and vitamin D trial. Am J Epidemiol 176: 1-13. 
  97. 97. Hogberg G, Gustafsson SA, Hallstrom T, Gustafsson T, Klawitter B, Petersson M. 2012. Depressed adolescents in a case-series were low in vitamin D and depression was ameliorated by vitamin D supplementation. Acta Paediatrica 101: 779-783. 
  98. 98. Bertone-Johnson ER, Powers SI, Spangler L, Brunner RL, Michael YL, Larson JC, Millen AE, Bueche MN, Salmoirago- Blotcher E, Liu S, Wassertheil-Smoller S, Ockene JK, Ockene I, Manson JE. 2011. Vitamin D intake from foods and supplem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diverse population of older women. Am J Clin Nutr 94: 1104-1112. 
  99. 99. Anglin RE, Samaan Z, Walter SD, McDonald SD. 2013. Vitamin D deficiency and depression in adul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 J Psychiatry 202: 100-107. 
  100. 100. Ju SY, Lee YJ, Jeong SN. 2013.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the risk of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Nutr Health Aging 17: 447-455. 
  101. 101. Shinpo K, Kikuchi S, Sasaki H, Moriwaka F, Tashiro K. 2000. Effect of 1,25-dihydroxyvitamin $D_3$ on cultured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to the combined toxicity caused by L-buthionine sulfoximine and 1-methyl-4-phenyl pyridine. J Neurosci Res 62: 374-382. 
  102. 102. Jorde R, Waterloo K, Saleh F, Haug E, Svartberg J. 2006.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relation to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The Tromsø study. J Neurol 253: 464-470. 
  103. 103. Brown J, Bianco JI, McGrath JJ, Eyles DW. 2003. 1,25- Dihydroxyvitamin D3 induces nerve growth factor, promotes neurite outgrowth and inhibits mitosis in embryonic rat hippocampal neurons. Neurosci Lett 343: 139-143. 
  104. 104. Newmark HL, Newmark J. 2007. Vitamin D and Parkinson's disease - a hypothesis. Mov Disord 22: 461-468. 
  105. 105. Garcion E, Wion-Barbot N, Montero-Menei CN, Berger F, Wion D. 2002. New clues about vitamin D functions in the nervous system. Trends Endocrinol Metab 13: 100-105. 
  106. 106. Levin A, Bakris GL, Molitch M, Smulders M, Tian J, Williams LA, Andress DL. 2007. Prevalence of abnormal serum vitamin D, PTH, calcium, and phosphorus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results of the study to evaluate early kidney disease. Kidney Int 71: 31-38. 
  107. 107. Institute of Medicine. 2011.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and vitamin D.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p 12. 
  108. 108. Holick MF, Binkley NC, Bischoff-Ferrari HA, Gordon CM, Hanley DA, Heaney RP, Murad MH, Weaver CM. 2011.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96: 1911-1930. 
  109. 109. Peppone LJ, Huston AJ, Reid ME, Rosier RN, Zakharia Y, Trump DL, Mustian KM, Janelsins MC, Purnell JQ, Morrow GR. 2011. The effect of various vitamin D supplementation regimens in breast cancer patients. Breast Cancer Res Treat 127: 171-177. 
  110. 110. Pearce SH, Cheetham TD. 2010.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itamin D deficiency. BMJ 340: b5664.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