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아밀라아제 수치 - chong-amillaaje suchi

신랑이 건강검진을 했는데 아밀라아제 수치가 높다고 하네요 정상이 112인데 116이 나왔대요

1개월 후에 다시 검사해보라는데 경미하게 높아서 괜찮을까요?

췌장염이나 위장,간이 안 좋아도 아밀라아제 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다고 해서 걱정입니다

췌장염은 치료도 힘들다는데 약을 먹어서 치료하나요?

총아밀라아제 수치 - chong-amillaaje suchi
총아밀라아제 수치 - chong-amillaaje suchi

총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경증의 췌장염이라면 금식, 즉 음식을 먹지 않는 게 가장 기본 치료입니다. 그리고 술은 절대 금지 입니다.

술이 가장 흔한 췌장염의 원인입니다.

설사와 구토 증상이 발생하면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므로, 수액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박우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남편분께서 아밀라아제 수치가 높으셔서 걱정이 많으시겠지만 두괄식으로 먼저 말씀드리자면

    1) 다른 복통 등의 증상 없고 아밀라아제 수치만 116 정도이면 추천 받으신 대로 추적 관찰을 권유드립니다.

    아밀라아제 수치가 높은 경우 대개 췌장쪽을 의심하게 되는데 췌장염의 경우 급성 복통, 열, 오심 등의 다른 증상들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검사상 정상치보다 2-3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소변과 혈액 속 아밀라아제 수치는 급성 충수 돌기염, 당뇨병성 케톤산증, 볼거리, 장 막힘 또는 천공성 궤양과 같은 다른 다양한 상태에서도 약간 증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는 아니며 이러한 경우에도 통상적으로 남편분께서 보인 수치보다 더 증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그리고 췌장염 치료에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나 췌장분비억제제 , 항산화제 혹은 항염증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효과에는 논란이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보존적 치료와 합병증에 대한 처치가 치료의 근간입니다.

    보존적 치료 -> 금식, 적절한 수액 공급을 조기에 실시하는 것 이 가장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자세한것은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박우영 올림.

    2021. 04. 05. 21:01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민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밀라아제 수치는 바이러스감염등에 의해서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116이라는 수치는 정상치에서 큰 차이가 없는 수치로 현재 아밀라아제수치 만으로 췌장이 안좋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또한 췌장에서 분비되는 효소로는 아밀라아제 이외에도 리파아제라는 효소가 있는데, 리파아제가 췌장의 손상정도를 조금 더 특이적으로 반영합니다.

      현재 질문에는 아밀라아제 수치 이외에 다른 수치가 없어 정확히 파악하기는 힘드나 1개월 뒤 다시 검사하셔서 수치를 보고 판단하셔도 늦지않을 것 같습니다.

      현재 췌장염의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췌장염의 치료의 기본은 수액공급입니다. 췌장염은 심각한 복통으로 나타나 증상이 있을시 병원 방문을 권유드립니다.

      자세한것은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김민수 배상

      2021. 04. 05. 19:26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수치상으로 보아는 특별한 질병이 의심되지 않습니다. 정상범위 내에서 약간 벗어난 것으로 이는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나 생활습관 그리고 스트레스 및 피로에 의해서도 증가할 수 있는 수치 범위입니다.

        따라서 췌장염이나 위장, 간 질환을 의심하기에 앞서 1개월 뒤 재검사를 통해 다시 한번 수치를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별다른 증상이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2021. 04. 05. 14:24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췌장에 염증이 있거나 하는 경우에 아밀라아제가 정상보다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급성 췌장염이나 만성 췌장염의 경우, 증상이 심하면 병원에 입원하여 수액 치료로 자연호전될때까지 경과를 지켜보는 치료를 진행합니다.

          일반적으로 췌장염이 있으면 정상치와 근접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고 3배 이상 이런식으로 명확하게 증가합니다.

          그래서 병원에서도 정확한 판단을 위해 1달 뒤에 재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너무 심려치 마시고 재검 결과를 기다려 보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 04. 05. 00:39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단순히 아밀라제 수치가 높은 경우, 특히 정상보다 약간 높은 경우에는 심각한 질환이 있다고 의심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추가 검사보다는 1~2달 정도 지나 다시 검사를 해보자고 하지요. 만약 췌장염과 같은 질병이 있다면 검사를 받기 전부터 계속 통증이 있었을 겁니다. 아마 남편께서는 전혀 증상은 없었을 거구요. 그러므로 그냥 맘 편히 계시고, 물론 음주는 피하시는 것이 좋구요. 1달뒤에 다시 검사를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

            서민석 드림

            2021. 04. 04. 21:43

            서민석 의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수로 56, 인천성모병원 본관 1층 가정의학과 1544-9004

            가족 주치의, 가정의학과 전문의

            총아밀라아제 수치 - chong-amillaaje suchi

            신고사유 :

              총아밀라아제 수치 - chong-amillaaje suchi

              질문

              아밀라아제 수치 상승

              34살 여자이고
              17년 건강검진에서 145
              18년 건강검진에서 243
              20년 건강검진에서 163으로 아밀라아제 수치가 정상치보다 계속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 복부통증 같은 증상은 없습니다.
              복부초음파는 17년 19년 두번 했고 두번 다 정상 소견이었구요~
              갑상선 결절, 만성 위염/갑상선염이 가끔 있고 편도가 잘 붓긴 하는데, 다른 수치가 정상이라 그런지 병원에선 딱히 이상소견을 주거나 재검 판정이 나오진 않더라구요...그래서 건강검진 후에도 문제가 있는지 모르고 있다가 다른 수치 확인하던 중에 우연히 발견하게 됐는데ㅠ
              그냥 이렇게 둬도 괜찮은 걸까요?이유없이 아밀라아제가 상승한 상태로 나오는 사람도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임신 초기라 복부ct 촬영도 힘든데, 일단 식습관 개선하고 운동 꾸준히 하면서 관리해보면 될까요ㅠ?근시일 내에 이게 심각해져서 암으로 진행한다거나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보면 될지요ㅠ?건강염려증만 심해지고 있네요ㅠ
              불안한 마음에 스트레스가 심해서ㅜㅜ조언 부탁드립니다

              총아밀라아제 수치 - chong-amillaaje suchi

              총아밀라아제 수치 - chong-amillaaje suchi

              하이닥 스코어: 1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0명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2021.03.04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권영재입니다.

              혈중에 아밀라아제 수치가 높은 경우는 굉장히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가까운 큰 병원 소화기내과 (췌장 파트)에 가셔서  기본적인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건강검진에서 다른 원인이 없었고, 현재 임신 중이라 즉시 병원에 가보시라고 권유하기는 어렵지만
              걱정이 너무 많이 되고, 힘들다면 가까운 곳에 계신 의사 선생님과 면담을 해보는 것이 가장 좋아 보입니다.

              혈중에 아밀라아제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는 췌장 혹은 췌장 주변의 원인,
              그리고 비췌장 원인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췌장 혹은 췌장 주변의 원인은
              가성낭종, 췌장복수, 악성 종양, CNPH (만성 비병인성 혈중췌장효소증가증)가 있으며,
              비췌장 원인으로는 인종, 침샘문제, macroamylasemia, 종양에 의한 것이 있습니다.
              만성 고아밀라아제혈증의 원인으로 췌장염, 가성낭종, 또는 췌장복수가 제시되기도 하지만,
              많은 환자에서는 이와 연관된 췌장질환을 밝히지 못합니다.

              비췌장성 고아밀라아제혈증의 대표적인 것들로 salivary hyperamylasemia, 침샘 장애,
              신경성 식욕부진이나 폭식증 같은 섭식 장애, 종양에 의한 것이 있습니다.

              매우 다양한 종양에서 고아밀라아제혈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종양에서 효소의 과생성이 발생하기도 하고
              염증반응으로 인해 조직에서 효소가 과분비되기도 합니다.

              췌장효소 상승과 연관된 약물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
              췌장염을 동반할 수도 안 할 수도 있으며
              췌장효소를 상승시키는 기전이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약제 종류로는 Paracetamol, steroid, azathioprine, ephedrine, ritodrine, roxithromycin,
              cyclosporine, clozapine, pentamidine, didanosine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병원을 가시게 되면 임신 중이라 아마도 없겠지만 현재 복용중인 약물을 확인하여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문헌
              https://doi.org/10.15279/kpba.2017.22.3.103
              증상 없는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증가에 대한 평가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총아밀라아제 수치 - chong-amillaaje su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