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호크니 회화 - deibideu hokeuni hoehwa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1937~)는 1960년대 영국 팝아트를 대표하는 팝 아티스트이자,
사진작가, 판화가, 삽화가 그리고 무대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을 해왔습니다.
언제나 자신 만의 색감과 분위기를 담은 그림으로 영국 최고의 화가, 20세기 생존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화가로 손꼽히죠.

로열칼리지오브아트를 금상으로 수상하며 졸업한 호크니는 미술의 메카 뉴욕을 거쳐 1964년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로 건너갑니다.
어둡고 칙칙한 영국 북부도시에서 살던 그에게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의 눈부신 햇빛은 산소가 되었죠.
그렇게 밝은 태양 아래 눈부시게 빛나는 그 곳의 수영장, 야자수, 사람들은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특히 집집마다 갖춰진 수영장에 매료된 호크니는 ‘수영장 시리즈’를 발표하며 미국에서 명성을 얻기 시작합니다.

1부산교육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근작 <더 큰 그림>에 관계된 ‘시점’에 대한 문제를 호크니의 회화론과 동시대적 입장을 통해분석하는 것을 논점으로 한다. 호크니는 회화, 판화, 사진, 무대미술, 일러스트 디자인, 그리고 ‘아이폰 드로잉’이라고 불리는 미디어통신 매체를 활용한 작품 등, 기법의 한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미술가이다. 호크니는 리처드 해밀턴, R.B. 키타이 등과 함께 영국 팝아트의 핵심인물이자 <결합(joiner)> 과 같은 독창적 포토 콜라주 작품을 고안한 사진가이며, 오페라 무대공간을 연출하는 무대미술가로서 활약했고, 2001 년에는 􋺷Secret Knowledge􋺸라는 저서를 통해 르네상스 거장들의 그림을 광학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면서 미술이론가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이른바 호크니-팔코 이론이라고 명명되는 그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은 논란 속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언급되고 있으며, 2000 년 이후부터 영국 요크셔 지방을 배경으로 마치 외광파의 방식과 유사한 풍경화, 즉 <더 큰 그림>을 통해 그의 이론을 시점에 관한 담론과 함께 전개시키고 있다. 따라서 호크니의 <더 큰 그림>은 회화를 보는 눈, 즉 시점에 관한 동시대적 담론을 가장 전통적 매체를 통해 구현해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회화를 여전히 실험 가능한 매체로 제시하는 등 이미지 제작에 대한 폭넓은 감각적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비평적 관점에서 재고해 볼 필요성이 있다. 결국 <더 큰 그림>은 ‘회화에 있어서 시점의 문제’에 대한 호크니의 회화론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실천적인 실험과정이 집약된 결과이며, 사진-이후 시대의 회화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주요 과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perspective’ issues of David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by analyzing his optical theory an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Hokney is well known for the artist who is without technical limits for example he makes painting, engraving, photography, stage design, illustration, and he uses ‘I-phone’ for drawings. Actually Hockney emerged core of British Pop artist in the early stage, then he made creative photographic collage under the name of <Joiners>, he designed opera stage for Stravinsky’s Rake’s Progress, and in 2001 he expanded his career as an art theorist. In his book 􋺷Secret Knowledge􋺸, Hockney argues that optical devices were used by European painters from the early 15th century. Usually called ‘Hockney-Falco thesis’, Hcokney’s highly controversial theory has been marked upon today’s art. It is important connecting with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which is en plein air landscape painting of Yorkshire having the implications for vision and perspective issues of painting. In this sense, <A Bigger Picture> means that Hockney embodied the discourse of the eyes or the perspective in contemporary painting with the most traditional medium of art, and it is important that he presents the latent possibility of painting as still experimental media in today’s art field. At this poin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Hockney’s wide spectrum of image making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And <A Bigger Picture> is a result of the essence of Hockney’s practical experiments progress using his own theory and multiple media so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Post-Photographic era.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multiple imagery, a bigger picture, perspective, photographic collage, hockney-falco thesis

피인용 횟수

  • KCI 4회

  • 1,118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1홍익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7년 2월, 런던 테이트 미술관을 시작으로, 파리 퐁피두센터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으로순회, 국제적으로 개최되는 데이빗 호크니의 특별전은 지난 60년 동안 회화, 드로잉, 판화, 사진, 그리고 비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80대로 접어든 노장의 오랜 성취를 회고한다. 호크니의 미적 성과는그가 본격적으로 미술사 담론에 개입한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진다. 그는 런던 스쿨에 속하면서특유의 팝 미학과 영국 리얼리즘에 기반한 포스트모던 시각언어로, 당시 미국 추상표현주의 중심의 미술사 주류담론을 비판하며 자신의 미적 존재감을 확연히 드러냈다. 이후 그는 인간의 손이 지닌 아날로그적 표현에 사진 및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스펙트럼을 넓혀왔다. 특히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한 폴라로이드 사진을 포함한 다양한 사진기재와 디지털 매체의 실험은 ‘회화’라는 고전적 미술언어를 시대에 부응해 다뤄온 그의 면모를 드러낸다. 본 논문은 오늘날 호크니 회화가 갖는 시의성에 주목하여, 그가 이전부터 일관성 있게 가져온 ‘보는 방식’의 문제를 다룬다. 즉, 그가 서구 시각구조의 근간인 원근법에 왜 반대하며, 사진이 왜 실제적이지 않다고 공격하며, 또 동양화에서 이동하는 시점을 어떻게 수용하는지를 고려한다. 동서고금을 망라하여 회화의 근본 화두인 시각의 문제는 호크니 작업을 꿰뚫는 핵심이다. 특히, 1980년대부터 본격집중하여 최근까지도 진행형인 그의 풍경화는 파격적 행보를 계속 하는 바, 포토콜라주, 파노라마적그림, 멀티캔버스 등을 통한 연속적 시점, 다시점의 시각, 그리고 경계 없는 공간지각을 보여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호크니가 평생 모색한 ‘인간의 눈에 진실한 회화’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The profound changes that Hockney’s art underwent since the 1980s have been resulted from his opposition to perspective and the camera obscura. Since then, he has sought a way out of restrictions of the conventional representation. As he realized that one-point perspective led to the portrayal of space from which the viewer being outside the picture, Hockney attempted to get the viewer involved in his painting. By breaking free of perspective, his aim was to use of observation to create an image close to the sensations of a felt experience of looking. This essay tries to follow his way of representing such looking in his landscape, that is quite revolutionary for the western history of art. Hockney has explored the cubist vision for long to get out of the ‘anti-real’ vision. This also has much to do with his experimental polaroid collages from the end of 1970s to the early 1980s. In addition, his encountering with Chinese scroll painting allowed him to see an utterly different look in representing natural environment. Focusing on his landscapes in which he absorbed himself since the 1980s, this research highlights his relentless investigation into the nature of looking, from human eyes true to lif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David Hockney, Way of Seeing, Anti-Perspectivism, Henri Bergson, Photocollage, Panoramic Landscape, Multi-Canvas Painting

피인용 횟수

  • KCI 3회

  • 560 회 열람
  • KCI 원문 미리보기
  • 원문 찾아보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