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과식을 하거나 음식을 빨리 먹었을 때 급체하게 되는 경우를 종종 맞이합니다. 상복부를 중심으로 더부룩하고, 답답한 느낌이 들며 심할 경우 통증과 함께 헛구역질을 하거나 신물이 올라와 입이 쓴 경우도 있는데요.

자주 체한다는 건 그만큼 위와 장의 기능이 원활하지 않다는 뜻이기도 하죠. 과거엔 급체를 하면 손가락 끝을 바늘로 따서 일부러 피를 내곤 했는데요. 가정에서 위생적이지 않은 도구로 손을 딸 경우 감염 등의 위험이 있어 되도록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체했을 때는 손따기 대신 소화 개선에 도움이 되는 혈자리를 눌러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데요. 오늘은 속이 더부룩하고 체했을 때 이를 완화시켜주는 혈자리 지압법을 소개해드릴게요.

한국인이라면 대부분 속이 안 좋거나 체했을 때 지압하는 곳이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꾹꾹 누르는 곳인데요. 바로 엄지와 검지 사이에 움푹 파인 부분입니다. 이 부분을 한의학에선 ‘합곡혈’이라 합니다.

정확한 위치는 손등면 둘째 손허리뼈 중점의 노쪽에 위치해 있는데요. 합곡혈은 소화기와 긴밀한 관련이 있습니다. 합곡혈을 지압하면 대장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되고, 가스를 배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소화가 잘 안되거나 배에 가스가 차서 속이 더부룩 할 때 합곡혈과 그 주변을 꾹꾹 눌러주시면 소화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손목 부근에 위치한 내관혈은 떨어진 위장 기능을 개선하여 소화력을 높이고, 더부룩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정확한 위치는 아래팔 앞쪽면, 긴손바닥근힘줄과 노쪽손목굽힘근힘줄의 사이, 손바닥쪽 손목주름에서 위로 손가락 2마디 정도에 위치해 있는데요. 쉽게 설명하면 손바닥을 천장 쪽으로 뒤집은 후 손목 주름에서 팔꿈치 쪽으로 두~세마디 떨어진 곳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관혈을 지압하면 소화기능 장애를 완화하고 스트레스, 멀미 등으로 인한 소화불량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격수혈은 등 쪽에 위치해 있는데요. 위쪽 등부위, 일곱째 등뼈 가시돌기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뒤정중선에서 가쪽으로 1.5촌 떨어져 있는 양쪽 부위를 말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등에서 왼쪽 견갑골 아랫부분과 등뼈 사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격수혈은 상부 장기 중에서 위(胃)와 매우 가까운 혈자리입니다. 이곳을 지압하면 식도와 위의 긴장을 풀어 체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 횡격막을 자극하여 딸꾹질을 멈추는 데에도 효과가 있죠.

격수혈은 등쪽에 있어 혼자서 지압하기가 힘든데요. 이럴 땐 테니스공이나 마사지볼을 이용하여 벽이나 바닥에 공을 대고, 상체를 움직이면서 지압해주면 됩니다.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안될 땐 소화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한방차를 자주 마셔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대표적으로 매실차와 생강차가 있는데요. 매실엔 유기산이 다량 함유돼 있는데, 유기산은 신체의 내분비선을 자극하여 소화액과 소화효소가 활발하게 분비되도록 돕습니다.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과 장내 유해균 살균에도 효과가 있으니 배탈이나 설사가 났을 때 매실차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생강은 소화를 촉진하고 구토를 완화하는 작용을 하는데요. 특히 생강 특유의 매운맛을 내는 진저롤 성분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여 위장의 연동 운동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매실차와 생강차를 마실 때, 차갑게 마시면 오히려 위장이 냉해져 소화를 방해할 수 있으니 되도록 따뜻하게 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앞으로 체했을 때 손따기 보다는 오늘 알려드린 혈자리 지압과 소화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한방차로 체기를 다스려보시기 바랍니다.

도움말 : 수원자생한방병원 윤문식 병원장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via myhealthylifeguide.com

오랜만에 온 가족들과 오순도순 둘러 앉아 웃음꽃을 피우며 정성껏 준비한 음식을 나눠먹는 민족의 대명절 설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평소보다 과식하기 쉬운 설에는 넘치는 식욕 때문에 장 운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가스가 차고 속이 더부룩해지기 십상이다.

약을 복용하지 않고도 쉽고 빠른 방법으로 소화력을 돕기 위해서는 손바닥 특정 부위를 눌러주는 지압법만 한 게 없다.

건강에 좋은 지압법 중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에 위치한 '합곡혈'은 기혈 순환에 관계되는 혈점으로, 전신의 혈액순환에 도움이 돼 소화 불량 해소에 특효가 있다.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via modernreflexology.com

지압법은 간단하다. 엄지와 검지 사이에 움푹 패인 부위를 손가락으로 문지른 뒤 살짝 아픈 정도의 세기로 강하게 눌러준다.

해당 부위를 5분 정도 꾹꾹 눌러주면 속이 시원해지고 가슴이 한결 편안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합곡혈의 놀라운 효능은 이뿐만이 아니다. 배탈, 인후통, 편두통, 눈의 피로, 무기력증, 불면증 등의 다양한 증상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이번 설 연휴기간 동안 만병통치약처럼 몸의 어느 곳이든 통증을 해소해주는 이 지압법을 부모님이나 소중한 사람들에게 해주면 좋을 듯 싶다.

곽한나 기자  

Skip to content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혈점을 꼭꼭 눌러라!

  •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알약 없이도 우리 몸의 통증을 빠르게 줄이는 방법, 바로 몸속 숨은 혈점을 자극하는 것이다.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또, 체한 것 같아.” 소화기관이 약해 식후 음식이 잘 내려가지 않는 듯한 체기를 자주 느낀다. 이렇게 체기로 인한 고통을 호소할 때면 주위 사람들이 양팔을 당겨 엄지와 검지 사이를 손가락으로 꾹꾹 눌러 지압해준다. 아프기만 할 뿐 무슨 효과가 있겠느냐며 의심했지만, 여러 차례 꾹꾹 누르다 보면 이내 막힌 속이 시원하게 뻥 뚫리는 기분이 든다. 이는 소화를 촉진하는 혈점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기가 흐르는 경로인 경락이 그물망처럼 둘러쳐져 있다. 12개의 주요 경락이 물줄기처럼 길게 흐르고 있고, 경락 중 몸에 이상이 있을 때 유독 통증이 느껴지는 지점을 ‘경혈’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 경혈점, 혈위, 혈점, 혈자리라고도 부른다. 경혈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1천여 개가 몸에 퍼져 있다. 그리고 이 경혈을 자극해 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행위가 바로 지압이다. 평소 경혈을 잘 마사지하는 것만으로도 혈액의 흐름이나 호르몬 분비가 원활해져 다양한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우리가 체했을 때 손을 만지는 것 또한 혈점을 자극하는 행위다. 손등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는 ‘합곡혈’이라는 혈점이 있다. 몸에 별다른 문제가 없을 때는 합곡혈을 지압해도 통증이 전혀 느껴지지 않지만 대장이나 위, 소화기에 문제가 있을 때는 합곡혈이 딱딱해지며 지압할수록 아픈 통증이 느껴진다. 체했을 때 합곡혈을 지압해 반복적으로 자극하면 장운동을 촉진해 막힌 기의 흐름이 뚫리며 속이 편안해지는 것이다.

경혈을 자극하는 지압은 통점을 자극해 혈액의 흐름을 촉진함으로써 통증을 줄이고 몸 전체를 편안하게 만드는 치료법이다. 두통이나 위통, 치통 등을 다스리는 것은 물론, 스트레스에서 오는 긴장감이나 불안감, 우울감, 권태감 등 정신적인 불균형을 완화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또 신진대사를 촉진해 지방이나 부기를 가라앉혀 다이어트에도 도움을 준다.

경혈을 지압할 때는 내가 가진 힘의 세기를 1에서 10으로 나누었다고 가정할 때 3 정도의 편안한 강도로 누르는 것이 좋다. “30초간 일정한 힘으로 지그시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5~6회 반복하세요. 지압할 때 깊게 심호흡을 하면 몸이 한결 편안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어요.” 차움 한방진료센터 조희진 교수의 조언이다. 하나부터 다섯까지 세면서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마신 뒤 하나부터 일곱까지 세면서 숨을 부드럽게 내쉰다. 이때 가슴과 배, 몸통 전체에 숨을 가득 채워 부풀렸다가 천천히 내쉬면 긴장이 완화돼 경직된 몸이 부드럽게 풀어진다. 혈점이 무엇인지 알았으니 이제 평소 알아두면 좋은 혈점과 지압법을 소개한다.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우울감을 달래는 혈점

WHERE 양쪽 손톱의 뿌리 부분에 위치한 ‘정혈’
HOW-TO 엄지와 검지로 손톱 뿌리를 잡고 조금 강하게 누르면서 주무른다. 열 손가락을 모두 자극하면 기의 흐름이 활발해져 지친 몸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목결림을 완화하는 혈점

WHERE 목과 머리가 이어지는 부위 정중앙에서 양쪽으로 1.5cm 정도 떨어진 움푹 파인 곳에 위치한 ‘풍지혈’
HOW-TO 엄지로 누르면서 머리를 앞뒤로 천천히 흔들면 목과 어깨의 긴장이 완화되고 머리 전반의 혈액순환이 촉진된다.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 스트레스를 가라앉히는 혈점

WHERE 양쪽 귀를 연결하는 선과 코에서 위쪽으로 그은 선이 만나는 지점 ‘백회혈’
HOW-TO 양손 중지를 겹쳐 흥분을 가라앉히는 백회혈에 대고 2~3분간 세게 누르면서 문질러준다. 골프공처럼 단단한 공으로 굴리듯이 마사지해도 효과적이다.

ⓑ 두통을 가라 앉히는 혈점

WHERE 눈과 귀 사이 관자놀이에 위치한 ‘태양혈’
HOW-TO 양손 중지로 양쪽 태양혈을 짚은 다음 동시에 마사지한다. 30회 정도 누르면서 비비는데, 이때 힘의 강도는 아프지만 시원한 정도가 좋다.

ⓒ 긴장을 완화하는 혈점

WHERE 자율신경의 균형을 잡아주는 ‘찬죽혈’
HOW-TO 눈을 감고 양손 엄지를 찬죽혈에 대고 나머지 손가락은 이마를 짚는다. 엄지를 위로 끌어올리는 느낌으로 30회 정도 누르며 주물러준다.

ⓓ 위통을 가라앉히는 혈점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WHERE 귀의 옴폭 들어간 부분의 중앙 근처 연골 뿌리 부분에 있는 ‘위혈’
HOW-TO 검지를 위혈에 대고 기분 좋을 정도의 세기로 상하좌우로 누르면서 비빈다. 양쪽 귀를 동시에 2~3분간 마사지한다.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치통을 가라앉히는 혈점

WHERE 손바닥의 중지와 약지 사이에 위치한 ‘치통점’
HOW-TO 엄지와 검지로 치통점을 감싸듯 잡은 다음, 손톱과 손가락으로 조금 강하게 눌러 주무른다. 아프다고 느낄 정도로 세게 자극하는 것이 좋고 좌우 교대로 마사지한다. 직접적인 치주 질환 치료가 아니라 일시적으로 통증을 줄여주는 마사지다.

엄지 검지 사이 소화 - eomji geomji sai sohwa

불면증을 완화하는 혈점

WHERE 발바닥의 발꿈치 쪽 한가운데 위치한 ‘실면혈’
HOW-TO 한 손으로 발목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주먹을 쥔 다음 실면혈을 30회 정도 두드리면 신경을 안정시켜 수면을 도와준다. 바닥에 누워 양발을 서로 비비는 것도 도움이 된다.

About the Author: 김 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