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현재 라이젠5 3600을 쓰고 있습니다.

지금 쓰는 쿨러는 2만원대 공냉 쿨러입니다.

온도가 올라가면 팬소음이 커져서 pbo를 비롯한 오버는 따로 안하고

오히려 전압 내리고 클럭 고정해서 저소음으로 쓰고 있습니다.

그동안에는 크게 부하량이 높은 작업을 안해서 저소음으로 잘 써왔는데

디아2를 해볼까 싶기도 하고 또 예전부터 쿨러가 신경쓰이기도 해서 쿨러를 바꿔볼까합니다.

대략적인 예산은 대략 10만원 정도 맥시멈 15만원정도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원하는 부분은..

1. 한번 조립하면 다시 뜯을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2. 오버클럭은 뭐 조용한 선에서 PBO 켜는정도?? 답이 안나오면 오버클럭 안해도 되긴 합니다.

3. 조용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쿨러도 온도때문에 뻗거나 하진 않지만 풀로드에서 소음이 커서 바꾸고 싶습니다

4. 굳이 RGB가 막 화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LED는 없음 좋고 있어도 되고.. 그냥 그렇습니다

공냉 쿨러랑 수냉쿨러랑 비슷한 소음정도에서 성능차이가 클까요?
또 수냉쿨러 2팬과 3팬의 성능차이가 클까요?

지금 케이스가 아주 오래된 케이스(풍3)라

2열 수냉도 장착을 못하기때문에 만약 수냉으로 간다면 케이스도 바꾸어야 할것 같습니다
그럴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여기저기 벤치마크 자료를 찾아보고 하긴 했습니다만
아무래도 실제 사용하신분들의 조언을 듣는게 좋을것 같아서 기글님들께 여쭈어봅니다.

쿨링 | 공랭과 수랭의 장단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낙문 작성일21-04-13 13:45 조회23,540회 댓글92건

  • 목록

본문

공랭을 쓰다 최근에 일체형 수랭 쿨러로 바꿨습니다. 

바꾸면서 느꼈던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공랭과 수랭의 정의

공랭은 cpu 바로 방열판이 얹어져 있고, 이 방열판을 팬이 직접적으로 식혀주는 쿨러입니다. 

수랭은 펌프를 통해 냉각수의 흐름을 만들어 이 냉각수로 cpu를 식혀주는 쿨러입니다. 냉각수를 식히는 것은 공랭처럼 방열판인 라디에이터와 팬이 담당합니다. 

이글에서 공랭은 히트파이프가 들어간 타워형 쿨러만, 수랭은 일체형 수랭만 가지고 이야기 하겠습니다.

그리고 공랭의 장점은 수랭의 단점이고, 수랭의 장점은 공랭의 단점이기에 각 쿨링의 장점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공랭의 강점

1. 소음

공랭은 cpu와 방열판이 직접적으로(정확히는 히트파이프가 결합된 방열판) 닿고 바로 팬이 식혀주기에 소음 발생원이 팬 뿐입니다. 

반면 수랭 쿨러의 경우 팬 이외 유량을 만들어내는 펌프의 소음이 있습니다. 펌프는 스크류같이 생긴 원심력을 만들어내는 임펠러와 모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냉쿨러 자켓의 한계로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작은놈이 공기도 아니고 저항이 더 큰 물을 밀어내야 하기 때문에 고rpm으로 돌아야 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됩니다. 펌프 자체의 소리 크기는 작지만, 작은놈이 만들어내는 특유의 소음은 소리의 크기 상관없이 높은 확률로 많이 거슬립니다.

2. 영구적인 성능과 안정성

공랭의 경우 밀봉된 히트파이프와 방열판, 그리고 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히트파이프와 방열판은 시간이 지나도 물질이 변하지 않기에 성능이 하락되지 않습니다. 소모품인 팬만 교체한다면 영구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반면 수랭은 자켓에 내장된 펌프 역시 팬과 마찬가지로 소모품입니다. 하지만 펌프는 자켓에 내장되어 있어 교체가 불가능합니다. 거기다 안에 있는 냉각수는 지속적으로 증발합니다. 냉각수의 양은 수랭쿨러의 성능은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펌프가 감당 할 수 있는 선에서 냉각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그런데 일체형 수냉쿨러에 들어있는 냉각수의 양은 라디에이터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마시는 물 한컵에도 매우 못 미치는 양입니다. 그런데 지속적으로 증발하기에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수랭쿨러를 냉매를 냉각수로 쓰기에 항상 누수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제조사와 유통사들이 보증기간을 정합니다. 수랭쿨러의 사용가능기한은 이 보증기간으로 보는게 좋습니다.

3. 수랭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는 최대 성능(대장급 공랭에 한함)

일반적으로 공랭은 수랭에 비해 성능이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최대부하를 제하고만 맞습니다. 최대부하시에는 cpu의 열이 계속 쌓이는데, 공랭은 이 열이 히트파이프를 타고 결합된 방열판으로 퍼지고, 이 방열판을 팬이 식힙니다. 

수랭은 cpu의 열이 냉매인 물에 전달되어 이 물이 라디에이터를 흐르면서 라디에이터와 팬에 의해 식혀지는데, 수랭쿨러 안에 들어있는 냉각수의 양이 물 1컵에도 못 미치는 적은 양이기에, 냉매인 냉각수의 수온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어 최대 부하에서 최대 성능은 공랭과 수랭 큰 차이가 없습니다.(단, 냉각수가 많이 들어가고 방열 면적이 넓어지는 3열 이상에서는 차이가 벌어지기 시작합니다)

4. 따로 요구되지 않는 전원부 쿨링

공랭은cpu 위에 바로 방열판이 얹혀져 있고, 이 방열판을 팬이 식히기에, 자연스레 전원부도 이 바람에 노출되어 쿨링이 됩니다. 

반면 수랭의 경우, 전원부에 바람이 오지 않기에 따로 쿨링을 해줘야 합니다.

*수랭의 강점

1. 저, 중부하시의 온도 유지력

수랭의 경우 저부하와 중부하시 온도 유지력이 좋습니다. 이는 구조적 차이에서 발생하는데, 수랭에는 열전도율이 높은 콜드 플레이트가 있는데, 한 면은 cpu와 직접적으로 접하고, 반대쪽 면은 표면적을 늘린 미세수로가 있는데 이 곳을 직접적으로 물이 식혀줍니다.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콜드플레이트의 미세수로

그러하기에 cpu의 열이 바로바로 이 콜드플레이트에 전달되고, 이 전달된 열을 바로바로 냉매인 물이 식혀주기에 저부하와 중부하시 온도 유지력이 공랭에 비해 좋습니다. 

반면 공랭의 경우 cpu의 열이 히트파이프에 전달되는데, 이 히트파이프의 열이 다시 히트씽크에 퍼져야 하고 이 열을 팬이 식혀줘야 하기에, 저부하와 중부하시 온도 유지력이 수랭에 비해 떨어집니다. 

2. 공랭보다 높일 수 있는 최대 성능

공랭의 경우 성능을 높이려면, 방열면적으로 늘리고, 팬의 성능을 높여야 합니다. 팬은 공랭과 수랭 역시 마찬가지이니 논외로 치고, 결국 히트파이프와 히트씽크를 늘려야 하는데, 공간과 메인보드가 버틸 수 있는 하중이 제한되어 있기에 늘릴 수 있는 방열면적에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수랭의 경우 성능을 높이려면, 펌프 성능, 냉매의 양, 방열면적, 팬을 개선해야 합니다. 팬은 역시 논외로 치고, 모터가 들어가는 펌프 역시 논외로 치겠습니다. 그렇다면 냉매의 양과 방열면적을 늘려야 하는데, 라디에이터의 크기가 커지면 자연스레 방열면적이 늘어나고 냉매인 냉각수의 양이 늘어나게 되면서,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라디에이터는 케이스에 고정가능하기에 케이스만 지원한다면 더 큰 라디에이터가 달린 수랭쿨러를 달 수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높일 수 있는 최대 성능은 수랭이 공랭보다 더 큽니다.

관련링크



        92 개의 댓글 ───────────────────────

    • 목록

    질문 | 수냉과 공랭의 온도차이점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K.W.Y] 작성일07-08-22 16:30 조회1,740회 댓글9건

    • 목록

    본문

    현재 Q6600과 함께 지포스 8600GT SLI쓰고 잇는데,,
    발열량이... 장난이 아닙니다. 케이스 뚜껑열고 선풍기까지 동원중.ㅋㅋ

    그래서 생각한것이 튜닝용 쿨러팬과 수냉식 쿨러를 생각햇는데,
    가격면에서는 비교할  필요가 없이 나오고,  문제는 온도의 변화량인데,
    과연 수냉식으로 햇을때 어느정도의 차이점이 잇나요? 가격만큼이나 큰지 의구심이 생기더군요..

    수냉으로 가야한다면 자작을 고려해서 부품 스펙들좀 조언해주시면 너무나 감사하겟습니다.

    관련링크



          9 개의 댓글 ───────────────────────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나브양과힘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나브양과힘= (작성일 07-08-22 16:51)

      아무리 수냉이라도 수온(즉 실온) 이상으로 내려가지는 .....
      그리고 ... 수냉의 성능은 대부분 라디의 성은이 좌우합니다 ...
      하이엔드 공랭과의 차이점이라면 좀더 빠른 온도 회복력과 또 일정한 온두유지가 좋다는겁니다 ..
      물론 컴 내부온도의 하락도 상당하지요 ... 아무리 매부 공기를 잘뺀다고 하지만 잔류 열은 어절수없으니까요 ..
      결론을 말하자면 가격대비 성은은 하이엔드 공랭이 우수하합니다 ...
      그러나 수냉의 장점은 컴내부온도 의 하락과 또한 실내온도상승을 많이 줄어든다는 겁니다...
      기성품의 경우 가격대 성능비는 꽝 입니다 ..ㅎㅎㅎ
      자작을 한다고하시드라도 하이엔드 공랭의 쿨러값과 자켓의 값이 비슷하지요 ....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증조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증조= (작성일 07-08-22 17:05)

      작년 여름에 컴퓨터의 열기때문에 상당히 고생 하였는데.. 올해는 수냉으로 바꾸고 나서 확실히 좋아진것
      같습니다.. 보통 하루에 게임만 4~5시간정도 하는데 공랭이였을때는 그열기때문에... 온몸이 땀투성이 였고..
      수냉으로 바꾼결과 아주 만족하면서 하고 있습니다.. (소음은 수냉이 약간더 있는듯..)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냉각기맨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냉각기맨= (작성일 07-08-22 17:21)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에라짱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에라짱= (작성일 07-08-22 17:30)

      수냉 처음하시는거라면 냉각기는 일단 절대 비추입니다. 가격, 전력, 소음 등등 비추입니다.
      자작하실려면 여기저기 다니면서 많이 공부하셔야 되구요~ 그냥 조금 편하게 수냉을 하고 싶으시다면
      기성품중에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도 괜찮은 써O라이트완제품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그래픽까지 같이 하실려면 돈이 좀더 들겠네요~ 수냉은 중고가 공냉만큼 없어서 중고구입하기가 쉽지않죠~
      저두 지금 자작해서 사용중인데 성능은 괜찮은데 뭔가 약간 부족한듯하여서 구입여부를 심히 고민중 입니다.
      신중히 생각하시고 판단하시길...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반에이커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반에이커= (작성일 07-08-22 19:55)

      하이앤드 공랭이 간편하면서도 효율이 높은 겁니다^^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teamudt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teamudt= (작성일 07-08-23 13:20)

      수냉이 단 1도라도 효과는 있긴한데, 방안이 좀 어지럽혀질테고, 관리도 번거로운게 사실이죠.
      전기세도 더나갔으면 더나가지 덜나가지는 않을겁니다. 득이 있으면 실이 있다는 이바닥의? 정설을 보여주는것이죠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江深水靜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江深水靜= (작성일 07-08-23 14:19)

      고가형은 미관은 좋은데...  워낙 고가라서.....

      저가형 수냉 시스템 괜찬습니다....하이엔드공냉하고도 가격차이도 많지않구요....

      3r 제품 같은경우 10만원미만으로도 중고알아보시면 완제품구입가능하실겁니다...

      완품같은경우 아무래도 누수의위험이 확실이 적더군요...

      윗분들 말씀대로 자작시 미관이 영 안좋습니다.....   성능 차이는 큰의미가 없는거 같고...

      정말 잘만드신분 자작품 보면 감탄 나오지만...  그렇게 만드시는분 대부분 내공이 크신분들이더군요...^^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시너지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시너지= (작성일 07-08-24 15:54)

      역시 수냉은 쩐의전쟁이지요 ^^; 쓸만한 쟈켓하나가 6만원씩은 하니..
      노스,gup에 전원부까지 자켓값만해도..아우~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K.W.Y]님의 댓글

      공냉 수냉 차이 - gongnaeng sunaeng chai
      [K.W.Y]= (작성일 07-08-26 20:30)

      아하,,, 윗분들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신중히 생각해봐야겟네요.ㅎ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