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지갑을 두고와서 현재 가지고 있는 현금이나 카드가 없다면 난감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요즘에는 모바일 뱅킹으로 계좌 이체를 쉽게 할 수 있지만 현금, 카드 결제를 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려고 해도 카드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삼성페이와 같이 교통카드 서비스가 있어도 사전에 등록을 해두었어야만 이용을 할 수 있고 계좌이체를 할 수 있어도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결제는 불가능합니다.

카드, 현금이 모두 없을 때

버스, 지하철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할 때

지갑이 없을 때 현장 결제를 해야 할 때

스마트폰은 가지고 있을 때

이럴 때 저는 해결 방법으로 카카오페이 ATM 출금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카카오톡에서 사용했던 카카오페이 서비스는 충전과 사용을 위해서 나의 은행 계좌와 연결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ATM의 모바일 출금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카드 없이도 스마트폰으로 카카오페이 ATM 출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용이 가능한 ATM 종류가 있다는 것과 소정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두시고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카카오페이 ATM 출금 가능 기기 및 수수료 안내

2. 카카오페이 ATM 출금 이용 방법

카카오페이 ATM 출금 가능 기기 및 수수료 안내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 카카오페이 ATM 출금 수수료는 1,300원입니다.

- 출금은 1회 최대 30만원, 1일 최대 200만원 한도입니다.

- 카카오페이 ATM 출금 지원 기기는 CU, 세븐일레븐, GS25, 미니스톱 편의점과 롯데마트에 있는 ATM에서 가능합니다.

- 잔액부족시 연결된 계좌에서 카카오페이 자동 충전 뒤 출금이 됩니다.

카카오페이 ATM 출금 이용 방법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1. 스마트폰에 카카오페이 앱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2. 카카오톡 로그인을 해줍니다.

3. 이름, 생년월일을 입력하고 핸드폰 문자 인증을 합니다.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4. 카카오페이 앱의 더보기 메뉴로 들어갑니다.

5. ATM 출금을 눌러줍니다.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6. 카카오페이 ATM 출금 금액을 입력합니다. [최소 1만원 이상]

7. 인증번호 요청을 누릅니다.

8. 하단 보기를 누르면 ATM 출금 인증번호 6자리가 표시됩니다.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9. 카카오페이를 지원하는 ATM을 찾습니다.

10. 카카오페이를 클릭합니다.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11. 사용자 확인을 위한 생년월일 8자리를 입력합니다. [예시: 20190315]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12. 8번에서 확인한 카카오페이 앱의 ATM 출금 인증번호 6자리를 입력합니다.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13. 인출액과 수수료가 출금되며 ATM에서 현금이 인출됩니다.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 - gyotongkadeu eobs-eul ttae beoseu

월요일 출근길, 지하철역에 도착했는데 뭔가 싸한 느낌이 들었어요.

주말에 별도로 결제를 할 것이 있어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카드를 빼 두었다가 집에 놓고 온 것입니다.

평소 현금을 들고다니지 않는 저는 지하철 개찰구 앞에서야 수가 틀렸음을 인지한 저는 두뇌를 풀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집에 다시 갈까? -> 지각 각 -> 역내 편의점에서 현금깡 해주나? -> 그럴리가 -> 지나가는 사람 붙잡고 이체해주겠다고 해볼까? -> 시간 없음

30초 동안 제가 내린 결론은 일단 '역무실에 가보자'였습니다.

현금을 주면 이체 해주겠다고 떼를 써도 직원한테 떼를 써야 하니까요.

역무실에 들어가서 개미똥만한 목소리로 존재감을 드러냈더니 

조금 놀라는 낌새였던 역무원은 어떤걸 도와드릴까요? 하고 친절히 응대해주셨어요.

나 : "혹시 계좌이체나 카드결제로 발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역무원 : "아.. 현금 또는 교통카드 기능으로만 탑승이 가능합니다."
나 : "전혀 방법이 없나요 ㅠㅠ 집에 들렀다 올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저는 머릿속이 하얘지며 이 질문의 대답이 "네 방법이 없습니다ㅠㅠ" 인 경우 택시를 타야겠다 다짐했습니다.

하지만 돌아온 대답은 "우선 개찰구를 열어드릴테니 도착하신 곳에 가서 서약서를 하나 작성하세요" 였습니다!

현금 없이 지하철 타는 방법이 있었던 겁니다!!!

"감사합니다!!!"를 외치고 저는 개찰구 쪽 문을 열고 플랫폼으로 이동했습니다. 저 무임승차 아니에요....라고 마음속으로 당당하게 외치면서요.

그리고는 도착지에 도착해서 개찰구 비상문에서 역무원을 호출하고 구구절절 상황을 설명하면 일단 역무실로 오라고 하며 문을 열어줍니다.

도착지 역무실에 가서 개인정보동의의 내용이 포함된 서류를 하나 작성하면 되고요. 성명과 연락처를 기재하고 서명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음 번에 현금 또는 교통카드로 역무실에 들러서 결제해주시면 됩니다.

요약합니다.

1. 지하철을 타려고 역까지왔는데 교통카드도 현금도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역무실로 가세요.

2. 도착지에서 역무원을 호출하여 역무실로 간 후 성명과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3. 다음 번에 도착지 역무실로 가 현금 또는 교통카드로 미수납된 탑승료를 결제하면 됩니다.

물론, 당연히, 반드시 악용하시면 안되고요.

급한 상황일 때 도움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