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취업 쉬운 나라 - haeoechwieob swiun nala

- 정보기술(IT), 서비스, 사무, 항공/호텔 등 취업 인원이 많은 4개 직종 선정
- 직종별 맞춤형 전략으로 해외취업 도전 청년을 위한 길잡이 제공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어수봉, 이하 ‘공단’)은 5월 31일 정보기술(IT), 서비스, 사무, 항공/호텔 등 4개 직종별 맞춤형 해외취업 전략을 담은 직종별 해외취업 완전정복 가이드북을 발간한다.
이번에 제작된 정보기술(IT), 서비스, 사무, 항공/호텔 등 4개 직종은 최근 3년간 공단을 통해 해외취업에 성공한 청년들이 가장 많은 직종으로, 취업준비생의 선호도가 높다.

기존 공단의 해외취업 완전정복 가이드북은 국가별로 제작되어 해당 국가의 취업시장 전반과 비자 및 생활정보를 담고 있으나, 이번 가이드북은 직종을 중심으로 진출 국가와 전략, 경력경로(커리어패스) 등을 제시한다.
특히, 직종별.국가별 개요, 비자 발급 방법 등의 기본적인 정보와 더불어 직종별로 특화된 이력서 작성법, 면접 방법, 취업사례 등 해외취업을 처음 준비하는 청년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담았다.

이번 직종별 해외취업 완전정복 가이드북에서 소개하는 직종별 주요 취업 전망과 전략은 다음과 같다.
정보기술(IT) 직종의 경우 미국, 일본, 독일 등으로 진출이 유망하며, 최근 코로나19 시기 및 코로나 이후 시대 인공지능(AI) 솔루션을 통한 원격근무와 비대면 채용이 확산하며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정보기술(IT) 직종은 부족직업군에 속함에 따라 다른 분야에 비해 취업비자 발급이 상대적으로 쉬운 분야로 평가된다.
특히, 일본의 경우 한일 정보기술(IT) 기술자격 상호인증으로 한국의 자격취득자(정보처리기사 및 정보처리산업기사)는 비전공자일지라도 취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략적인 취업이 가능하다.

서비스 직종은 대부분 요리 및 조리 분야로 취업을 하고 있으며, 주요 취업 국가는 호주, 싱가포르, 미국, 일본 등이다.
해외 요리전문학교에 진학할 경우 인턴십을 통해 수습조리사 역할을 경험하므로, 바로 정식 조리사 취업이 가능하고, 이직을 거치며 직급이 높아지는 등 국내와 동일한 요리경력을 가지고도 상대적으로 높은 직급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무 직종의 경우 미국, 일본, 베트남, 싱가포르 등의 국가로 진출이 쉬우며, 한국기업의 현지 법인에서는 국내의 본사와 글로벌 법인을 연결하는 초급·중간 관리자 역할이 요구된다.

국가별로 일본의 경우 주로 종합직이라는 이름으로 자격조건보다는 인성과 잠재력, 일본어 실력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베트남에서는 중간관리자 역할로 현지 법인의 생산직원과 국내 본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호텔 및 항공 직종은 서비스 직종과 함께 코로나19로 고용시장에 큰 타격을 입은 분야이나, 코로나19 극복 이후 잠재된 채용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종이다.

주요 진출 국가는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일본, 싱가포르 등이며, 호텔 직종의 경우 상대적으로 초임이 낮지만 비교적 빠른 승진과 함께 전 세계 글로벌 체인 호텔에서 근무할 경우 경력을 토대로 다양한 국가로의 이직이 원활하다.

외국 항공사의 경우 통상 초대졸 이상 학력, 일정 수준 이상의 외국어 능력, 제시한 신체조건을 충족하면 다른 제약이 없는 편으로 우리 청년의 진입 가능성이 큰 직종이다.

어수봉 이사장은 “해외취업은 자신의 능력을 바탕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라며, “이번 직종별 완전정복 가이드북이 해외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공개되는 직종별 해외취업 완전정복 4권은 월드잡플러스 누리집(www.worldjob.or.kr) 해외취업가이드 – 해외취업 가이드북에서 누구나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문  의:  해외취업기획부 제은솔 (052-714-8606)

미국비자서비스_더엘케이(LK)

이민가기 쉬운 나라 정말 있을까? 본문

전문직 창업 및 이민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보면 항상 물어보는 질문이 "쉽게 이민 갈 수 있는 나라가 있냐"는 질문입니다. 해외취업/이민 수요가 많이 줄었다고 하지만 아직도 해외 이민 및 창업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있는 것 같네요.

이민가기이민 가기 쉬운 나라 순위에 항상 포함되는 나라들은 파라과이(Paraguay), 에콰도르(Ecuador), 파나마(Panama), 멕시코(Mexico), 태국(Thailand), 카타르(Qatar)등이다. 몇몇 조사업체에서 싱가포르와 아랍에미레이트를 순위에 넣는 경우도 있지만, 싱가포르의 경우 이민 가기 어려운 국가 순위에 넣어야 할 것 같다. 투자비자로 가더라도 미국에 비하여 투자비용이 많고 기술이민으로 갈려고 하여도 기술 수준과 학력 기준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에콰도르의 경우 미화 $27,000이상의 자금을 부동산에 투자하거나 은행에 입금하게 되면 영주권(Permanant residence)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생기는 등 해외이주가 쉽지만, 실질적으로 중남미 국가는 특별한 이유(과거에 국내 국제학교 입학을 위해 중남미 국가 영주권을 취득하는 사례가 있었음)가 없다면 한국인의 입장에서 영주권 신청에 매력이 없는 국가입니다.

파나마 영주권에 대한 관심은 몇년사이에 부쩍 늘어나고 있는데, 파나마 우호국가 비자(Panama Friendly Nations Visa)에 따르면 미화 5,000이상을 파나마 은행에 예치하고 법인을 설립하게 되면 영주권 취득이 가능하고 5년 후 에는 시민권 신청도 가능한 경우입니다. 한국기업과 개인들의 세금 관련 목적으로 관심이 많았지만, 지금은~~ 수요가 점점 줄어드는 것 같네요.

태국과 말레이지아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는 외국인에 대한 영주권 및 시민권 혜택이 원칙적으로 없다고 봐야 합니다. 국가의 세수 확장과 관광사업 진흥을 위해 골든 비자 형식(말레이시아 경우 MM2H 비자)으로 장기간 체류할 수 있는 혜택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해외취업 쉬운 나라 - haeoechwieob swiun nala

**참고: 동남아시아 외국인 부동산 취득 가능 여부

국가

외국인부동산취득여부

말레이시아

외국인의경우일정금액이상의부동산(콘도미니엄과아파트만해당)구입할경우부동산소유가능하다. (토지소유권+ 토지 이용권)

인도네시아

외국인토지를소유할없다. 외국인의경우토지사용권(right to use the land)만을취득할있다.

필리핀

외국인은토지를소유할없다. 외국인의경우콘도미니엄단지의60%이상이필리핀인이소유하였을경우, 나머지40%대하여 외국인이소유가가능하다.

태국

외국인은토지를소유할없다. 외국인의경우전체콘도미니엄단지의 51%이상이 태국인이소유하였을경우나머지49%대하여 외국인이소유할있다.  (방콕시내콘도미니엄 20%정도 외국인이소유)

베트남

외국인토지 소유 할 없다. 외국인의경우“Land use right”(토지사용권)취득하여사용할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쉽게 이민 갈 수 있는 나라들은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결정하면 되는 것 같습니다. 

포르투갈과 스페인과 같은 유럽 국가와 미국도 외국인 투자 활성화와 이민을 연결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포르투갈의 경우 EUR 500,000 이상의 모든 유형의 부동산(낙후 주택의 경우 투자 금액 하향)을 외국인이 구매하였을 경우 5년 후 영주권 또는 시민권 취득이 가능하도록 오래전에 이민정책을 변경하였고, 미국의 경우에도 개인의 역량 및 자격증 유무에 따라 다르지만, 미화 $100,000~$200,000 이상의 기업을 인수하거나 신규 창업하였을 경우 외국인에게 소액투자비자를 부여하고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프레데릭리앤킴(유) International Immigration Consulting

전화번호:02-6013-2255,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