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문근 융해증 근육 회복 - hoengmungeun yunghaejeung geun-yug hoebog

-갑작스럽고 과도한 운동, 콩팥 기능 떨어뜨릴 수 있어

-근육 파괴되면 근육세포 내 물질이 콩팥 세뇨관 망가뜨려 발생

-운동 후 갑작스런 근육통이나 콜라색 소변 나타나면 의심

횡문근 융해증 근육 회복 - hoengmungeun yunghaejeung geun-yug hoebog

운동의 계절 봄이 만개했다. 살랑살랑 불어오는 봄바람과 함께 가까운 체육시설이나 공원을 찾아 농구, 축구, 배드민턴, 스케이트보드 등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그동안 코로나19 대유행과 쌀쌀한 날씨로 자의 반 타의 반 즐겨왔던 방콕(?) 생활의 설움을 털어내듯 운동복이 흠뻑 젖도록 달리고 뛰고 열심이다. 그러나 과도한 의욕은 자칫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횡문근 융해증 근육 회복 - hoengmungeun yunghaejeung geun-yug hoebog

신석준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갑작스러운 고강도 운동은 근육을 파괴하고, 파괴된 근육세포 내 물질은 다시 혈류로 흘러 들어가 콩팥(신장) 기능을 떨어뜨린다”며 “이렇게 되면 극심한 근육통과 혈뇨, 심하면 급성신부전 등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응급실을 찾는 ‘횡문근융해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운동 후 갑작스런 근육통이나 콜라색 소변 발생하면 의심

횡문근(橫紋筋)이란 가로무늬근육으로, 운동신경으로 지배되고 있는 우리 신체 대부분의 골격근을 말한다.

횡문근융해증(橫紋筋融解症- Rhabdomyolysis)은 갑작스럽고 강도 높은 운동으로 인해 근육(횡문근)에 충분한 에너지와 산소 공급이 이뤄지지 않게 되면서 근육세포가 파괴 또는 괴사하는 질환이다. 횡문근이 파괴돼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하면 근육 세포 안에 있는 미오글로빈, 단백질, 크레아틴키나제, 전해질 등이 혈류로 흘러들어가고, 혈류로 들어간 근육세포 내 물질은 콩팥 세뇨관을 망가뜨리게 된다.

횡문근융해증의 주요 증상은 운동을 한 부위의 갑작스러운 근육통과 함께 검붉은색(콜라색)의 소변을 보는 것이다. 심한 경우 발열, 구토, 전신쇠약, 부종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되거나 갑작스러운 콩팥 기능 악화로 급성신부전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신석준 교수는 “몸 속 정수기로 불리는 콩팥은 우리 몸의 대사 과정이나 음식을 섭취해 생기는 노폐물을 처리하고, 몸 안의 수분량과 전해질을 조절하며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면서 “운동 후 갑작스러운 근육통이나 콜라색 소변이 나타난다면 콩팥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는 만큼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급성신부전증으로 진행하면 투석치료 필요할 수도

치료는 기본적으로 병의 원인인 고강도 운동을 중단하고, 절대적인 침상 안정과 수액 치료를 병행한다. 초기에는 충분한 수액 치료와 수분 공급을 통해 소변으로 근육 괴사물질을 배출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급성신부전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드물게 투석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다만 평생 투석치료가 필요한 말기신부전증 환자와 달리 대부분 신장 기능이 회복돼 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

횡문근융해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본인에게 맞는 적정량의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 후에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근육에 무리를 주는 과격한 운동, 부동자세, 근육의 장시간 압박 등의 상황은 피한다. 또 과격한 운동이나 활동 후 심한 근육통, 발열, 전신쇠약, 소변색의 변화 등이 나타나면 신속히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도록 한다.

신석준 교수는 “횡문근융해증은 젊은 사람이라도 급성신부전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며 “처음부터 무리한 운동을 하기보다는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적절한 운동을 찾아 조금씩 운동량을 늘려나가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운동을 하는 것은 건강에 좋다.’라는 말은 모두 공감하실 겁니다. 실제로 적당한 운동은 우리 몸 건강을 지키는데 큰 도움을 주는데요. 운동을 많이 하는 것, 고강도로 근력을 키우는 것도 건강에 무조건 도움이 될까요?

횡문근융해증 초기 증상은 근육통

옛날과 달리 다양한 운동법들이 생겼습니다. 단순히 건강만 챙기는 것이 아니라 다이어트를 위해, 혹은 근육을 키우기 위해서 스피닝이나 크로스 핏과 같은 고강도의 근력 운동이 생겨났죠. 우리 몸 안의 근육은 어느 정도 예열시간이 필요합니다. 고강도의 운동을 하기 위해서, 스트레칭이나 가볍게 달리는 등 근육이 운동할 수 있게 준비과정이 필요하죠. 그런데 간혹 이러한 과정을 무시하고, 근육에 무리가 가는 강도 높은 운동을 바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강도 운동은 근육에 압력을 가합니다. 운동할 준비가 안 되어 느슨해있던 근육이 갑자기 팽창하면서 근육이 놀라기도 하지만, 압력이 가해지기도 하는데요. 이를 근육이 버틸 수 있을까요? 

어느 정도는 버틸 수 있을지 모르나, 고강도의 운동들은 근육에 손상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실제로 고강도 운동이나 급작스런 산행/운동/기합 등을 받은 후에 근육이 놀라 마비되거나 근육통이 심하게 오는 경험을 한번쯤 해보셨을 텐데요. 이때 근육에 가해진 압박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고 있었다면? 근육조직이 파괴되며 녹아 내리게 되는데요. 그로 인해 근육통이 지속되고 근무력/쇠약 등의 증상이 유발된다면, 횡문근융해증이 가장 유력합니다.

근육이 손상되어 녹으며 소변색이 갈색으로

건강을 지키기 위해 시작했던 운동이 오히려 독이 된, 횡문근융해증. 여기서 횡문근은 팔이나 다리 등에 붙어 있는 가로무늬 근육을 말하는데요. 강도 높은 운동으로 근육통이 있을 때 의심해볼 수 있는데, 운동 후에 근육통이 있다면 무조건 횡문근융해증인 걸까요? 

그건 아닙니다. 근육이 녹지 않은, 근육에 무리가 간 경우에도 근육통이 올 수 있죠.

횡문근융해증의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가 바로 갈색_콜라색 소변이 나오는 것입니다. 때문에 근육통보다는 소변색의 변화로 좀 더 쉽게 구분해볼 수 있는데요. 소변색이 이처럼 변한 이유는 근육조직이 파괴되어 녹아 내릴 때 빠져나온 물질, 미오글로빈 때문입니다. 해당 물질이 빠져 나와 혈액 속으로 들어가서 칼륨 등의 다른 물질과 섞이게 되는데요. 혈액 속 노폐물들이 신장을 통해 걸러질 때, 여러 물질과 섞인 미오글로빈이 소변에 포함되어 나오게 됩니다.

그로 인해 소변 색이 달라진 것이므로, 갈색소변이 계속 나온다면 운동을 중단하고 즉시 병원을 찾아가야 합니다.

횡문근 융해증 근육 회복 - hoengmungeun yunghaejeung geun-yug hoebog

심할 경우 신장기능 저하까지, 치료 받자!

근육이 손상된 것이니 운동을 쉬면 낫겠지, 일리 있는 말이긴 합니다. 단, 횡문근융해증이 오래 지속 또는 반복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해당되는 말이죠. 만성적으로 오래 이어진 횡문근융해증은 근육의 회복이 더뎌진 상태로, 쉰다고 회복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병증호전을 위해서는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단순 근육통과 갈색소변이니까 참으면 되지 않나 생각할 수도 있는데, 미오글로빈을 여과하는 것부터가 신장을 망가뜨리게 되죠.

횡문근융해증 한방에서의 치료

실제로 횡문근융해증으로 급성 신부전이 진행되는 경우가 15~30%정도 입니다. 세뇨관의 급성 괴사나 급성 신부전 등 다양한 문제로 신장기능이 줄어들면, 혈액의 질 관리에 차질이 생기게 되는데요. 혈액 속 노폐물이 남아 탁한 상태로 전신을 순환하면 다양한 요독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더욱이 근육의 움직임이나 손상회복은 혈액이 원활히 순환하며 영양분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가능하죠.

이에 한방에서는 횡문근융해증에 내풍처방을 적용해주는데요. 내풍처방은 자율신경과 내분비기능의 균형을 바로잡아 근 긴장을 낮추고, 탁해진 혈액이 맑아질 수 있게, 순환배출이 개선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치료로 맑아진 혈액이 곳곳으로 순환하며 노폐물은 배출하고,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해주죠. 이때 공급된 영양분은 손상된 근육의 재생과 신장의 기능회복을 촉진해줍니다. 신장의 부담이 줄며 혈액이 더욱 맑아지게 되면, 근육회복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죠. 자연스레 횡문근융해증이 치료되므로, 근육통과 근무력감/갈색소변 등의 증상은 서서히 줄어들게 됩니다.

02. 552. 0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