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요미우리 조사…'일본은 선진국' 답변, 과학·정치서 크게 줄어

(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일본 국민의 70% 이상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여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1960년대의 조사 결과와 비교해 큰 변화가 없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요미우리신문이 일본 유권자 2천130명(유효 응답 기준)을 대상으로 지난 3~4월 진행해 29일 공개한 사회의식 관련 우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신의 생활 수준을 상·중·하로 나누어 평가해 달라는 질문에 중류라고 응답한 사람이 72%를 차지했다.

이 결과에 대해 요미우리는 1964년 도쿄올림픽 직후인 그해 12월 조사 때 자신이 중류층이라는 응답자가 74%였다면서 생활 수준에 대한 일본 국민의 인식이 반세기 넘게 흘렀지만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1964년 4월 도쿄 도심 거리 모습.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웃과 가족 관계 등을 둘러싼 의식에선 큰 변화가 나타났다.

올해 이웃과의 교류 수준을 묻는 항목에서 '만나면 인사를 나누는 정도'의 가벼운 관계를 선택한 응답자 비율이 70%에 달해 1968년 11월 조사 때(36%)의 거의 두 배로 높아졌다.

반면에 서로의 집을 왕래하는 등 아주 가깝게 지낸다는 답변은 22%에 그쳤다.

이 답변 비율은 1968년 조사 때(61%)와 비교해 3분의 1 정도로 떨어진 것이어서 일본에서도 이웃 간 분절 현상이 심화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노후의 부모를 돌보는 문제를 놓고는 자식들이 모두 책임을 나눠야 한다는 응답이 1968년 조사 때의 30%에서 이번에는 50%로 늘어나 주류를 차지했다.

장남이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37%에서 4%로 급격히 줄었다.

이와 관련, 요미우리는 "1960년대 일본은 평균 국민 연령이 29세로 '젊은 나라'였지만 작년 기준으론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율이 28.4%를 기록해 4배 이상으로 높아졌다"며 인구구조 변화가 가족 관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일본 소매업체 이온이 운영하는 고령자 체조 교실.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도 확연해졌다.

'일은 인간의 의무'라는 응답자 비율이 1968년 같은 조사 때는 13%에서 7%로 낮아진 반면에 '일은 일이고, 쉬는 것은 쉬는 것'이라며 여가를 중시하는 비율은 33%에서 41%로 높아졌다.

일과 개인 생활을 함께 추구하는 사람이 많아진 추세를 반영해 목돈이 생기면 어떻게 할지를 묻는 항목(복수응답)에선 여행을 꼽은 응답자 비율이 15%에서 31%로 반세기여 만에 2배로 늘었다.

그러나 저축하겠다는 비율이 33%에서 59%로 높아지면서 여전히 가장 큰 비율을 보여 일본인의 저축성향이 한층 강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의 국가적 위상과 관련해 사회보장 부문(7→13%)에선 선진국이라고 답변한 비율이 높아졌다.

그러나 과학기술(51→36%)과 정치(9→2%) 부문에서는 이 응답자 비율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직후의 이와테현 오쓰치 마을 모습.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한편 각종 재해 가운데 가장 걱정하는 것(복수응답)으로는 1960년대의 폭풍(태풍 등)(52%), 지진(45%), 대형 화재(32%), 홍수·침수(29%) 순에서 이번 조사에선 지진(95%), 폭풍(60%), 홍수·침수(45%), 쓰나미(22%) 순으로 바뀌었다.

요미우리는 올해 조사에서 우려하는 재해 항목별 답변율이 모두 높아졌다며 2011년의 동일본대지진과 지난해의 태풍 피해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0/05/29 09:25 송고

나라는 부자이나 국민은 거지는 한국 사회 내에서 한국 국민, 한국 언론계에서 일본 사회를 향해 많이 쓰는 말이다.[1][2] 1987년 일본은 경제동물이라는 표현을 국제사회에서 들었기도 했다.[3]

2018년에 OECD및 세계은행에서 구매력 평가 지수를 바탕으로 가처분소득을 비교했을 때 일본의 소득은 중유럽 수준에 불과했지만, 세계에서 가장 평등하게 소득분배가 되는 국가로 통계가 나왔다.

실제로는, 일본의 1인당 금융 자산은 9만 6천 유로 이상으로, 네덜란드와 스웨덴과 비슷하며 한국의 3배가 넘는다.

역사[편집]

개요[편집]

"일본은 1인당 국민소득에서 미국을 앞지른 지 오래다. 그렇다면 일본은 정말 잘 사는 나라인가. 일본인들에게 이렇게 질문을 하면 흔히 “일본 기업들은 부자이나, 일본과 일본 국민은 가난하다”는 명답을 내놓는다. 지난 80년대의 폭발적인 경제성장을 통해 일본으 세계 제일의 채권대국, 일본 기업은 세계 최대의 자산을 자랑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일본 국민은 이렇듯 화려한 경제 성장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주도록 일만 했다는 자조와 비판이 최근 높아가고 있다." 라고 한국 언론이 보도했다.[1]

이런 현상을 한국이 따라가고 있다는 요지로, "나라는 부자인데 국민은 거지꼴인 일본처럼 돼가는 거지, 뭐."라는 표현을 한국 언론이 쓰기도 한다.[2]

그런가 하면, 한국이 "국가는 부자이나 국민은 거지", 일본이 "국가는 거지이나 국민이 부자"라는 다른 시각의 분석을 내놓은 한국 언론도 있다.[4]

속담의 실체[편집]

  • 1인당 순금융자산 : 2018년, 일본, 네덜란드는 9.7만 유로, 뉴질랜드도 8.7만 유로로 일본은 서양과 동등하다. 한국은 2.9만 유로다.[5]
  • 1인당 순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 : 미국과 일본은 20% 초반, 싱가포르가 30% 중반, 한국은 92%로 훨씬 높다.[6]
  • 세계최고의 국가 순위 : 2019년에 일본은 2위, 2020년에는 일본은 3위를 했다. 4위는 독일, 5위는 호주였다.[7]
  • 연간 노동시간 비교 : 2017년 OECD 통계 상으론 한국은 2,000시간, 일본은 1,710시간, 캐나다는 1,695시간, 미국 1,780시간이다. 일본이 백인 선진국가들보다 노동시간이 딱히 많지 않다.[8]

일본은 세계에서 중산층 인구를 3위로 많이 가진 국가[편집]

일본 인구의 6,200만명이 중산층이다. 그리고 이는 세계 3위로 중산층 인구를 많이 가졌다. 반면, 한국은 1,700만명에 그친다. 일본과 인구차는 2.5배지만, 중산층은 3.5배 이상 난다.[9] 중산층의 소비 규모도 세계 4위에 드는 수준으로 중산층의 저력이 강한 국가가 또 일본이다.[10][11]

일본과 타 OECD 국가의 중산층 통계[10][11]
국가 전체 인구 인구차 중산층 인구 중산층 중산층 소비규모 소비규모차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일본 (기준)
1억 2,000만명 100% 6,200만명 50% 2조2,030억$ 100%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대한민국
5,100만명 42% 1,700만명 27% 자료 없음 자료 없음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프랑스
6,500만명 54% 2,380만명 38% 1조770억$ 45%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영국
6,780만명 55% 2,700만명 43% 9,700억$ 44%

버블시대 이후 일본 경제에 대한 재평가[편집]

1980년대 미일 경제전쟁에서 미국의 플라자 합의 조치와 일본 버블 붕괴로 인한 장기 불황으로 일본 버블 경제가 전적으로 일본 사회와 경제에게 해만 끼쳤다는 인식이 많은 것과 달리, 일본 사회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도 있다.

일본인들의 노동시간이 줄어들었다.[편집]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일본 연간 노동시간(30人이상 사업장)[12][8][13]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일본 노동시간 / 기준 비율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대한민국 노동시간
1965년 2,300시간 1.08
1975년 2,077시간 0.98
1985년 2,112시간 1(기준)
1995년 1,909시간 0.90
2000년 1,812시간 0.8 2,512시간
2004년 1,840시간 0.87
2017년 1,710시간 0.81 2,024시간

1985년을 버블경제의 기점이라면, 20년 동안 일본 사회는 직장인들의 노동시간을 300시간, 30년 동안 400시간을 줄였다.

반면, 한국은 2020년대에도, 주 52시간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국, 일본보다 200시간 더 일하고 있다.[14][12] 물론, 2000년대에 비하면 그나마 500시간이 줄어들었다.

아주 경제 침체는 아니었다.[15][16][17][편집]

아베노믹스의 첫 번째 화살이라고 불리는 정책이 진행된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GDP 성장률은 평균 1.276%다.

버블 시대 이후 일본과 한국의 성장율[16]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일본 GDP(¥)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대한민국 GDP(¥)
1980년 250조 16조
1985년 333조 25조
1990년 453조 41조
1995년 512조 62조
2000년 526조 82조
2005년 524조 103조
2010년 497조 126조
2015년 531조 146조

가구당 가처분소득[편집]

다음 표는 OECD의 "개인당 가처분소득 중간값"으로, 이는 모든 종류의 소득과 세금 및 보건과 교육등의 이전지출을 포함한 통계이다. 이 통계는 평균값 대신 중간값을 사용하여 현실적이며, 최근 개정된 가구소득의 정의를 사용하며, 자신이 소비하기 위해 생산한 물자의 가치도 반영하였다.[18] 이 자료는 세계은행의 PPP전환법을 따라 미국 달러로 환전되었다.[19] 밑에 따로 적혀져있지 않는 이상 이것은 2019년 자료이다.

순위 국가 혹은 영토 2019 가구 가처분소득 중간값, 세금과 이전지출 반영 후 (PPP)
1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미국
$42,800
2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노르웨이
$40,581
3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스위스
$38,805 (2018)
4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캐나다
$36,675
5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오스트리아
$34,808
6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벨기에
$33,573
7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호주
$33,506
8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네덜란드
$32,867
9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덴마크
$32,512 (2018)
10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스웨덴
$31,876
11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독일
$31,323 (2018)
12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핀란드
$29,072
13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아일랜드
$28,889
14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프랑스
$28,585
15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대한민국
$28,151 (2019)
16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슬로베니아
$25,923
17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영국
$25,730
18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스페인
$25,551
19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이탈리아
$25,332 (2018)
20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뉴질랜드
$25,190 (2014)
21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이스라엘
$22,373 (2018)
22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에스토니아
$22,021
23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체코
$21,834
24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일본
$21,728 (2018)
25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폴란드
$19,108 (2018)
26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포르투갈
$19,061
27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리투아니아
$19,003
28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라트비아
$17,649
29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슬로바키아
$16,439
30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러시아
$16,163 (2017)
31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그리스
$15,676
32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코스타리카
$13,560
33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헝가리
$14,759
34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튀르키예
$11,130 (2018)
35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칠레
$10,056 (2017)
36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브라질
$6,941 (2016)
37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멕시코
$6,354 (2017)
38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남아공
$5,489 (2017)
39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중국
$4,485 (2011)
40
일본 중산층 기준 - ilbon jungsancheung gijun
인도
$2,524 (2011)

같이 보기[편집]

  • 지니 계수
  • 경제적 불평등

각주[편집]

  1. ↑ 가 나 “풍요한 일본, 가난한 일본인”. 2006년 5월 5일.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2. ↑ 가 나 "나라는 부자이나 국민은 거지꼴".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3. 기자, 세종=윤성민 (2015년 11월 9일). “[월드 이슈] 선진국 맞벌이들도 ‘근로시간과의 전쟁’… 미국·독일·일본의 현실”.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4. 기자, 세종=신준섭 (2017년 10월 25일). “韓 ‘부자 정부·가난한 국민’ vs 日 ‘가난한 정부·부자 국민’… 180도 다른 경제”.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5. 김토일 (2019년 9월 29일). “[그래픽] 1인당 순 금융자산 순위”.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6. 지면보기, 입력 2020 02 18 00:21 | 종합 24면 (2020년 2월 18일). “[신세돈의 이코노믹스] 개인 순금융자산 10만 달러쯤 돼야 일본 따라간다”.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7. Inc, Digital Chosun. “한국, ‘세계 최고 국가’ 20위…스위스는 4년 연속 1위”.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8. ↑ 가 나 “주 52시간 근무제부터 탄력근무제까지, 노동 시계는 흘러간다”. 2019년 5월 8일.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9. “[Focus] 중국 중산층 인구가 세계 1위인 이유는 ?”. 2016년 11월 18일.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0. ↑ 가 나 고은지 (2011년 5월 8일). “`10대 중산층 소비국가'에 신흥국 대거 포진”.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1. ↑ 가 나 채경옥 (2015년 8월 18일). “2030년 중산층 소비자가 많은 나라는? 한국엔 얼마나?”.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2. ↑ 가 나 "일본이 10년 걸린 근로시간 단축, 서두르면 기업 경쟁력 임금 위협"”. 2018년 2월 8일.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3. “그래픽 뉴스 | 한국인 근로시간, OECD 국가 중 여전히 최장”.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4. 기자, 세종=이종선 (2019년 12월 19일). “‘주52시간’에도… 한국 근로자, 美·日보다 연간 200시간 더 일한다”.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5. “7~9月期GDP、年率1.2%減 2四半期ぶりマイナス” (일본어). 2020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6. ↑ 가 나 “韓国経済の不安要因 日本、米中対立、人口減少、ウォン安”.
  17. “国民経済計算(GDP統計)”.
  18.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Median disposable income (current prices). OECD. Accessed August 6, 2018.
  19. PPP conversion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