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안라이그라스 특징 - itallianlaigeulaseu teugjing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특성과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기술과창조 댓글 0건 조회 724회 작성일 18-05-23 00:33

본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특성과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 일반 생육특성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일년생 및 월년생의 화본과 작물이다.
- 9월 하순~10월 상순에 파종하여 이듬해 5월에 수확 이용할 수 있다.
○ 기온이 따뜻해지는 4월 중순~5월 상순에 생육이 매우 왕성하다.
○ 질소비료를 좋아하는 다비성 작물로 비옥한 토양을 좋아한다.
○ 토양이 비옥하고 수분조건이 좋으면 봄에 가지치기를 많이 한다.
○ 수확할 때도 잎이 많으며, 잎의 표면에 광택이 있다.
○ 토양 보습력이 우수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생산성이 우수하다.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장점
○ 사료가치가 높고 가축의 기호성이 매우 좋다.
○ 뿌리 발달이 지표면에 많이 분포하여 내습성이 강하고, 배수가 양호한 논토양에서도 생육이 좋다.
○ 맥류(청보리, 호밀 등)에 비하여 내습성이 강한 생육특성 때문에 답리작으로 재배하기에 유리한 작물이다.
○ 초기생육이 빠르며 재생력이 좋아 여러 번 수확 이용이 가능하다.
○ 풋베기, 방목, 사일리지 조제, 건초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 식물체에 당분 함량이 많아 사일리지 조제가 잘된다.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단점
○ 토양이 너무 척박하고 건조한 조건에서는 생육이 불량하다.
○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하여 파종시기, 파종방법, 시비량, 진압 등 재배에 필요한 기술을 반드시 적용해야 한다.


▣ 추운지역에서 재배요령 (품종 선택, 적기 파종, 진압 실시)
○ 추위에 약한 작물이기 때문에 중부 및 중북부 지역에서는 내한성 품종(국내개발 품종)을 선택해서 재배해야 한다.
○ 경기북부지역 등 추운지역에서 재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적기에 파종하고 월동 전과 후에 진압(땅 누르기)을 잘해야 한다. 

    • 목록
    • 이전글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국산품종의 주요 생육특성과 수확 가능 시기는 언제인가요? 18.05.23
    • 다음글조사료 내 CP, TDN, NDF, ADF, RFV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18.05.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특성과 장·단점
    (1) 일반 생육특성

     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일년생 및 월년생의 화본과 작물이다.

      - 9월 하순~10월 상순에 파종하여 이듬해 5월에 수확 이용할 수 있다.

     ② 기온이 따뜻해지는 4월 중순~5월 상순에 생육이 매우 왕성하다.

     ③ 질소비료를 좋아하는 다비성 작물로 비옥한 토양을 좋아한다.

     ④ 토양이 비옥하고 수분조건이 좋으면 봄에 가지치기를 많이 한다.

     ⑤ 수확할 때도 잎이 많으며, 잎의 표면에 광택이 있다.

     ⑥ 토양 보습력이 우수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생산성이 우수하다.

    (2)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장점

     ① 사료가치가 높고 가축의 기호성이 매우 좋다.

     ② 뿌리 발달이 지표면에 많이 분포하여 내습성이 강하고, 배수가 양호한 논토양에서도 생육이 좋다.

     ③ 맥류(청보리, 호밀 등)에 비하여 내습성이 강한 생육특성 때문에 답리작으로   재배하기에 유리한 작물이다.

     ④ 초기생육이 빠르며 재생력이 좋아 여러 번 수확 이용이 가능하다.

     ⑤ 풋베기, 방목, 사일리지 조제, 건초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⑥ 식물체에 당분 함량이 많아 사일리지 조제가 잘된다.

    (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단점

     ① 토양이 너무 척박하고 건조한 조건에서는 생육이 불량하다.

     ②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다.

    (4) 추운지역에서 재배요령 (품종 선택, 적기 파종, 진압 실시)

     ① 추위에 약한 작물이기 때문에 중부 및 중북부 지역에서는 내한성 품종을 재배

     ② 추운지역에서는 적기에 파종하고 월동 전과 후에 진압(땅 누르기)을 한다.


    2)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종자생산을 위한 재배기술
    (1) 파종시기- 파종시기가 늦으면 채종시기도 늦어짐으로 적기파종 매우 중요하다.

    (2) 파종량- 파종량 : 20kg/ha☞ 종자생산을 위해서 조파를 해야하고 파종량은 20kg/ha가 충분하다.

    (3) 파종방법

     ① 휴폭 30cm 정도로 넓게 조파한다.

     ② 휴폭이 좁으면 도복이 심하여 채종이 어렵다.

     ③ 파종 후 진압을 잘 해야 건조와 동사피해를 줄일 수 있다.

    (4) 시비량 및 시비방법

     ① 질소시용량은 50kg/ha 정도로 적게 시용한다.

     ② 휴폭이 좁고 질소시용량이 많으면 도복이 심하여 채종이 어렵다.

    [표]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채종을 위한 3요소 비료 시용량

    구 분

    시비량(kg/ha)

    질소(N)

    인산(P2O5)

    칼리(K2O)

    기비(파종시)

    40 (요소 87)

    75 (용성인비 375)

    75 (염화칼리 125)

    추비(이른봄)

    50 (요소 109)

    75 (용성인비 375)

    75 (염화칼리 125)

    (5) 국내에서 품종의 숙기별 종자생산 관련 주요특성

     - 국내에서 종자생산은 조생종이 만생종보다 적합하다.

     ☞ 조생종은 채종이 장마 전에 끝나고, 종자수량도 많아 보다 경제적이다.

    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봄 파종 재배
    (1) 품종선택

     - 품종은 조생종 또는 중생종을 선택한다.

      ☞ 조생종(코윈어리, 코그린, 코스피드), 중생종(코윈마스터)


    (2) 파종적기- 파종 시기는 봄에 해동직후 가능한 일찍 파종한다.

     ① 중북부지방 : 3월 상순~중순

     ② 중부지방 : 2월 하순~3월 상순

     ③ 남부지방 : 2월 중순~2월 하순

    (3) 파종량 및 파종방법

     ① 파종량은 ha당 50kg 정도로 많이 파종한다.

     ② 파종방법은 15~20cm 조파 또는 산파로 한다.

     - 파종 후 진압을 잘하면 발아가 촉진되고 봄 건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4) 시비량(ha당) 및 시비방법 

     ① 시비량 : 질소 140kg(요소 304kg), 인산 120kg(용성인비 600kg),
     ② 칼리 120kg(염화가리 200kg)

     ③ 시비방법 : 질소는 2회 분시(기비와 초장 10cm), 인산, 칼리는 전량 기비


    4) 여름에 IRG+귀리 혼파재배해서 두 번 수확 이용하는 방법

    (1) IRG+귀리 재배기술 장점

     - 1회 파종으로 양질조사료를 2회 수확하여 농가 경영비를 절감

    (2) IRG+귀리혼파 재배순서

     - IRG+귀리 파종(8월 하순) → IRG+귀리 수확(10월 하순) → IRG 재생(11월) → 월동 후 IRG 수확(이듬해 5월 상순)


    (3) IRG+귀리 혼파재배 기술

     ① 품종 : 귀리(하이스피드), IRG(코윈어리+그린팜)

     ② 파종량(kg/ha) : 귀리(140) + IRG (40)

     ③ 시비량(질소-인산-칼리, kg/ha) : 기비(60-100-100), 추비(질소 60)

     ④ 파종방법 : IRG 산파 → 귀리(조파, 파종간격 30cm) → 진압

    5) 청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재배 방법
    (1) 혼파의 장점

     ① 기상변화 적응성 향상 : 가뭄 시(청보리), 다습 시(IRG) 유리하다.

     ②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점 보완 : 도복방지, 기계작업 용이하다.

     ③ IRG와 청보리 혼파 시 사일리지의 사료가치를 증진시킨다.

     - 탄수화물, 조단백질 등 영양균형을 이룬다.

    (2) 벼 수확 후 청보리와 IRG 혼파재배

     ① 파종방법 : 청보리 파종 → 배토 및 복토 → IRG 파종 → 진압기로 단단히 진압

     ② 청보리와 IRG의 혼파비율 : 보통 토양은 5 : 5 비율

     ③ 벼 수확 후 파종은 가능한 빨리하고, 진압을 철저히 해야 한다.

    (3) 청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시 유의사항

     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시 조생종 품종을 사용한다.

     ② 토양조건에 따라 혼파비율 (건답 3:7, 습답 7:3) 권장한다.

     ③ IRG 파종 시 깊이 복토하면 발아불량, 진압효과 탁월(필수)하다.

    6) 벼 입모중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 재배

    1) 9월 하순에 종자를 파종 

     - 벼 마지막 물빼기 후 토양

     - 수분이 충분할 때  바로 파종
     - 분무기로 골고루 산파한다.

     2)종자발아 및 정착
    - 벼 베기 전에 종자발아와 정착이 된다.
    - 파종 후 10~15일경에 벼를 빨리수확하

      는 것이 좋다.

     3)논이 빠지지 않을 때 벼 수확 
     - 수분이 많을 때는 수확을 피한다. 
     - 콤바인에 의한 식물체 피해 최소화

    4)벼 수확 후 바로 볏짚 수거

    - 벼 수확과 볏짚수거가 늦으면 파종

       시기가 늦은 것과 같이 좋지 않음

     5)생볏짚 사일리지 조제(베일) 
    - 볏짚은 신속하게 베일로 수거
    - 어린 묘가 햇빛을 받게 한다.

     6)볏짚 수거 후 월동 전 생육
    - 볏짚 수거 후 밑거름을 사용한다.
    - 토양수분이 부족할 때 물대주기

    7)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확시기별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1) 수확시기는 사료가치와 수량을 고려하여 결정

    ○ 출수기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건물수량은 출수기부터 개화기까지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점차 많아지나

        반대로 사료가치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2) 양질건초를 생산할 때

    ○ 수확적기 : 출수기~개화초기- 출수기에 수확하면 건물소화율이 79% 정도로 매우 사료가치가 높은 건초를 생산할 수 있다.

    - 출수 후 10일 정도 지난 개화기에 수확하면 건초수량은 증가하나 건물소화율은 73%로 다소 낮아지지만 급격한 사료가치의 저하는 없다.

    (3) 사일리지를 조제할 때

    ○ 수확적기 : 출수 후기~개화기

    - 사일리지 수량이 많고 품질이 우수한 시기이다.

    ○ 출수기에 수확하면

    - 수분함량이 80~85%로 사일리지 조제에 부적합하여 1일 또는 2일 정도 예건이 필요하다.

    ○ 개화기에 수확하면- 수분함량이 70~75%로 낮아져 사일리지 조제에 유리하고 건물수량도 많아 조사료 생산성 향상에 유리하다.

    - 수분이 많을 시 1일정도 예건하여 사일리지를 조제한다.


    [표] 수확시기별 수량 및 사료가치 변화

    수확시기

    건물수량

    TDN 수량

    사료가치 (%)

    kg/ha

    지수

    kg/ha

    지수

    ADF

    NDF

    TDN

    건물

    소화율

    수잉기

    출수40%

    출수80%

    개화기

    4,818

    7,244

    9,147

    9,646

    67

    100

    126

    133

    3,311

    4,806

    5,701

    6,009

    69

    100

    119

    125

    25.6

    28.6

    33.6

    33.7

    47.4

    51.5

    55.7

    54.4

    68.7

    66.3

    62.3

    62.3

    82.8

    79.6

    75.3

    73.3

    8)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사료가치와 가축의 기호성

     (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청보리 및 호밀의 사료가치 비교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는 사료가치가 우수하며, 식물체에 당분함량(15.1%)이 높아 고품질 사일리지 조제에 적합하다.

    (2) 초종간 가축 기호성 비교(건물섭취율 %)

    ○ 가축이 잘 먹는 정도는

    - 귀리>이탈리안 라이그라스>유연보리>청보리 순이다.


    (3) 호밀 및 IRG 품종간 가축기호성 비교(건물섭취량, kg/일/8두)
     - 호밀보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가축이 잘 먹는다.


    [표]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청보리, 호밀의 영양소 함량

    구 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TDN

    기호성

    I R G (출수기)

    11.7

    3.8

    29.7

    61.4

    우수

    청보리 (호숙기)

    9.0

    2.6

    33.8

    59.5

    보통

    호 밀 (출수기)

    11.2

    4.7

    38.5

    57.7

    낮음

    [표] 착유우에 대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호밀 급여 효과
                                                                                                                 (2006, 축산과학원)

    구 분

    호밀 위주 TMR

    시험전

    8

    9

    10

    11

    평균

    25.5

    25.4

    25.9

    22.9

    22.1

    24.1(100)

    [표]

    구 분

    IRG 위주 TMR

    시험전

    8

    9

    10

    11

    평균

    25.5

    26.5

    27.7

    25.7

    28.8

    27.2(113)

     ☞ 산유량 : 호밀 섬유질배합사료 급여보다 두당 13% 증가했다.

    [표] 젖소 착유우에 대한 곤포 사일리지 급여 효과(%)

    구 분

    호밀위주 섬유질배합사료

    IRG위주 섬유질배합사료

    시험 전

    시험 후

    비율

    시험 전

    시험 후

    비율

    유지방

    4.76

    4.55

    96

    4.18

    4.99

    119

    유단백질

    3.31

    3.47

    105

    3.17

    3.39

    107

    Lactose

    4.68

    4.48

    96

    4.68

    4.42

    94

    무지고형물

    13.6

    14.40

    106

    12.9

    13.63

    106

    Urea

    12.02

    7.27

    61

    13.17

    10.59

    80

     ☞ 유지방 : 호밀에 비해 유지방이 19% 증가했다.

    (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거세한우 급여효과(2010, 축산과학원)

     ① 일당 증체량 : 0.82kg(볏짚이용 관행 0.67kg 대비 22% 증가)

     ②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 : 80%(볏짚이용 관행 50%)

     ③ 사료비 절감 : 전체 4% 절감(농후사료비 16% 절감)

    자료제공 : 농촌진흥청 국립 축산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