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장수풍뎅이 한살이 과정을 알아보자!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안녕하세요 루마입니다.
오늘은 <장수풍뎅이 한살이 과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장수풍뎅이 한살이 과정 ①>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장수풍뎅이 알입니다.
부화하는데까지 약 12일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장수풍뎅이 한살이 과정②>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알에서 부화한 후
애벌레는 총 3령까지 기간을 보냅니다.
1령 = 약 15일
2령 = 약 19일
3령 = 약 120일
총 154일을 애벌레로 보내게 되는군요.

<장수풍뎅이 한살이 과정③>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3령애벌레번데기가 되기위해
부엽토를 먹으며 충분히 양분을 저장한 뒤에
땅 속에 들어가 세로로 번데기방을 만듭니다.
세로로 만드는 이유
우화한 후에 땅속에서 나오기 쉽도록 하기위해서 입니다.



<장수풍뎅이 한살이 과정④>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번데기에서 성충이 된 모습입니다.
번데기 기간은 약 3주정도 되고
우화 적응 기간은 약 1주일 정도 된다고 합니다.
뿔이 달린 녀석이 수컷(좌)이고
안 달린 녀석이 암컷(우)입니다.



<장수풍뎅이 수명>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암컷은 짝짓기 후
30~100개의 알을 낳으며
장수풍뎅이의 수명
평균적으로 1~3달을 산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옛날 생각이 많이 났네요~
제가 처음 장수풍뎅이를 키웠던 것은
8살 때 였던 것 같아요!!
마트에서 엄마가 사오셨었죠 ㅎㅎ
(제가 워낙 동물들을 좋아해서 때썻었던 기억이 ㅋㅋ) 

그리고
의정부가 원래 시골이었잖아요 ?
막 사슴벌레나 장수풍뎅이가 저희집 방충망에 붙거나
집 안으로 들어오기도 했었어요. (그때가 그립네요 ㅠㅠ)
곤충들은
개체량이 점점늘어 많이 키우다 보니 힘들어서
친구들한테 다 분양해주었었죠 ~

아무튼 앞으로
블로그에 곤충이나 동물 관련 포스팅을 자주 작성하도록 할게요!!

루마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장수풍뎅이의 일생 (한살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수 풍뎅이의 한살이

장수풍뎅이의 한살이는 알-애벌레-번데기-성충 으로 나뉘게 됩니다.

아래의 사진을 한번 확인해 보세요.

위 사진에는 알이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알은 약20일 지나서 부화합니다.

애벌레는 1령,2령,3령을 거쳐 번데기가 됩니다. 

번데기는 한달 후 껍질을 까고 성충이 됩니다. 

사진의 위가 암컷이며 사진의 아래는 수컷입니다. 암컷의 경우 보통 사람들이 이러한 생김새를 몰라서 쉽게 지나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컷의 경우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장수 풍뎅이 라고 할 수 있겠네요. 

성충의 경우 일반적으로 3 개월 정도를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이에 알을 낳고 죽습니다. 

알의 경우 10개에서 20개 정도를 한번에 낳습니다. 

이상 장수풍뎅이의 일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을 달아 주시면 답변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장수풍뎅이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2004년에 촬영한 장수풍뎅이의 모습.
생물 분류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목: 딱정벌레목
과: 풍뎅이과
아과: 장수풍뎅이아과
속: 장수풍뎅이속
종: 장수풍뎅이 (A. dichotoma)
학명
Allomyrina dichotoma[1]
(Linnaeus, 1771)
이명
Trypoxylus dichotomus[2]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 영어: Japanese rhinoceros beetle)는 장수풍뎅이아과의 곤충이다. 뿔의 생김새가 투구를 쓰고 있는 장수의 모습과 비슷하며 한국에서 가장 크고 힘센 풍뎅이라는 뜻으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몸 길이는 30-54mm(머리뿔 길이 제외), 30-85mm(머리뿔 길이 포함, 최대 90mm)로 체형은 굵고 튼튼하며,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 밤색을 띤다.[3] 수컷은 광택이 나지만, 암컷은 짧고 노란 털이 딱지날개에 빽빽히 나 있어 광택이 없다. 암컷은 이마에 세 개의 짧고 뾰 족한 돌기가 가로로 있다. 수컷은 머리에 긴 뿔이 나 있는데, 끝이 가지처럼 갈라져서 사슴의 뿔처럼 보인다. 또한 암컷은 가슴이 단순하나, 수컷은 가슴 앞쪽에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작은 뿔이 있다. 힘이 매우 강해서 자신의 몸무게의 50배가 넘는 물건도 들거나 끌 수 있다. 낮에는 땅 속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서 활동한다. 주로 졸참나무, 상수리나무의 수액을 먹으며 산다. 성충은 6-8월에 나타나며, 짝짓기를 한 후 썩은 가랑잎이 쌓인 부엽토나 짚두엄 밑에 알을 낳는다. 알은 대략 45-100개까지 낳는다. 유충은 자라는 동안 두 번 탈피를 한 뒤 월동한다. 다음해 초여름에 땅 속으로 들어가서 번데기가 되었다가, 총 3령의 유충 단계와 전용 단계,번데기를 거쳐서 15~20일 뒤에 성충으로 우화한다. 한반도 전체에 분포하며 제주도에서도 상당수가 발견되지만 울릉도와 독도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한국·중국·일본·타이완·동남아시아 등지의 낙엽수림지에 분포한다. 장수풍뎅이의 수명은 성충이 되어서 대략 1-3개월 정도 산다. 애완용 및 약용으로 사육한다.

아종[편집]

  • Allomyrina dichotoma dichotoma : 한국-중국
  • Allomyrina dichotoma septentrionalis : 일본 본토
  • Allomyrina dichotoma tunobosonis : 대만
  • Allomyrina dichotoma politus : 인도차이나 반도
  • Allomyrina dichotoma takarai : 일본 오키나와 제도
  • Allomyrina dichotoma inchachina : 일본 구메섬
  • Allomyrina dichotoma tsuchiyai : 일본 구치노에라부섬
  • Allomyrina dichotoma shizuae : 일본 야쿠시마 섬, 다네가시마 섬

사진[편집]

  •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수컷

  • 암컷

  •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 장수풍뎅이의 한살이 과정 - jangsupungdeng-iui hansal-i gwajeong

유충[편집]

장수풍뎅이의 유충은 1령~3령까지는 하얀색을 띈다. 그리고 3령 후반 (종령)유충은 번데기가 될 준비를 해, 번데기방에 들어가서 3~4일 정도 움직이지도 않고 있는데, 이 단계를 전용이라고 한다. 모든 딱정벌레목은 이 과정을 모두 거친다. 장수풍뎅이의 번데기는 주황색을 띈다.

같이 보기[편집]

  • 흰점박이꽃무지
  • 사슴풍뎅이

참고 자료[편집]

  1.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2. 황슬마로 저. <세계 장수풍뎅이 해설>. 자연과생태. 2011
  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44419&cid=46691&categoryId=46691 국립중앙과학관 - 곤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