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연구방법 절차 - jiljeog-yeongubangbeob jeolcha

질적 연구 절차(해석적 연구, 방법론적 이원론)

(2) 질적 연구 절차(해석적 연구, 방법론적 이원론)

① 의미 : 연구 대상에 대한 의미 이해를 주요 목적으로 자료 조사와 처리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일정한 결론 및 제언을 도출하는 방법

② 적용분야 : 주로 해석적 연구 과정에서 사회 현상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 적용

③ 과정 : 문제 제기 → 연구 설계 → 자료수집 → 자료의 처리와 해석 → 결론 및 실제 적용

· 연구 주제 선정 :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은 주관적 세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회. 문화 현상을 연구 주제로 선정하는 단계

· 연구 설계 :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 연구 기간, 연구 비용, 연구의 윤리성 확보 방안 등 연구의
                    진행에 필요한 세부적인 계획을 설계하는 과정

· 자료 수집 : - 행위 주체의 주관적인 가치나 행위 동기 등 주관적 세계를 해석할 수 있는 경헙적인 자료
                      를 수집하는 단계임
                    - 주로 오랜 기간에 걸친 일상생활 관찰이나 면접 등을 활용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데,
                      자료 수집 과정에서 연구자의 직관적 통찰이 활용되며, 비공식적 자료의 수집도 중시됨

· 자료 해석 : 감정 이입적인 이해 기법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서 행위자의 주관적 가치나 동기 등
                    주관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임

· 결론 도출 : 개별적인 자료로부터 해석된 행위자의 주관적 세계가 갖는 의미를 종합하여 연구 주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임

④ 연구 방법 : 주로 귀납적 연구 방법과 결합

⑤ 자료 수집 방법 : 주로 면접법과 참여 관찰법 사용, 문허 연구법 병행

질적연구방법 절차 - jiljeog-yeongubangbeob jeolcha

(3) 표본 조사와 전수 조사

· 표본 조사 : 의미 - 모집단에서 일정 수의 표본을 뽑아 조사하는 방법
                   활용 - 대부분의 사회 조사에서 활용, 물가 지수 계산 등

· 전수 조사 : 의미 - 모집단 전체를 모두 조사하는 방법
                   활용 - 인구 센서스와 같은 인구 통계, 가옥 통계 등 

★ 질적 연구와 가설 설정
질적 연구를 수행할 때는 가설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가설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추상적인 형태로 만들어 가설을 수정해 가면서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 가설은 항상 변인 간의 인과 관계로 서술해야 할까?
둘 이상의 변수 간에 연관성이 나타나도록 서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남자보다 여자의 삶의 만족도가 높다.'처럼 서술할 수도 있다.

★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
양적 자료는 수치화된 자료를 뜻하고, 질적 자료는 면담이나 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로서 수치화되지 않은 자료를 뜻한다.

반갑습니다.이투스에서 사회문화, 법과정치를 가르치고 있는 최적입니다.

이전, 사회문화현상의 연구방법,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특징에 대해 개념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절차 과정과 특징 그리고 한계점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자료를 통해 공부하고 싶은 학생분들은 아래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정리해보기를 바랍니다.

http://blog.naver.com/optimumss/220322594082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방법

질적연구방법

절차 : 실증적 방법과는 달리 가설을 설정하지 않고, 자료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형태.

① 문제인식 및 연구 주제의 선정 :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은 주관적 세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회 문화 현상을 연구 주제로 선정하는 단계임

② 연구의 설계 : 연구대상, 자료 수집방법, 자료 해석 방법, 연구 기간, 연구 비용, 연구의 윤리성 확보 방안 등 연구의 진행에 필요한 세부적인 계획을 설계하는 과정임

③ 자료 수집 : 행위 주체의 주관적인 가치나 행위 동기 등 주관적 세계를 해석 할 수 있는 경험적인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임. 주로 오랜 기간에 걸친 일상 생활 관찰이나 면접 등을 활용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데, 자료 수집 과정에서 연구자의 직관적 통찰이 활용되며, 비공식적 자료의 수집도 중시됨

④ 자료해석 : 감정 이입적인 이해 기법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서 행위자의 주관적 가치나 동기 등 주관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임

장점

① 개별적인 사회, 문화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에 유리함

② 개인의 행위 동기와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기 용이함

③ 계량화하기 어려운 인간의 정신적, 주관적 측면의 연구에 적합함

​한계

① 일반화할 수 있는 객관적인 법칙 발견이 어려움

②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 개입으로 연구의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음

③​ 정확하고 정밀한 연구가 어려우며 비교, 분석이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