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마인크래프트/Skript 기초 이론편

2022. 2. 18. 12:00

스터디립트의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기초 이론편의 3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언어들로 코딩을 해보신 분들은 변수를 이해하기 쉬우실 겁니다.

하지만 스크립트가 첫 코딩이신 분들을 위해, 변수에 대해 잠깐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변수란, 변하는 값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편리합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지는 모르겠지만 계산기에도 대부분 변수 기능이 들어가있습니다.

M+ M- MC 등이 그 기능들이죠.

계산기에서 이 기능들을 사용해보신 분들은 아실테지만, 이 기능들은 계산한 값을 저장해서 원할때 그 값을 불러와 쓸 수 있습니다.

이 M 기능을 변수랑 같이 말해보자면, 계산한 값을 "M" 이라는 변수에 저장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에는, {변수이름} 의 꼴로 사용해야합니다.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을 위해서, 저번 시간에 배웠던 커스텀 명령어와 오늘 배운 변수를 합쳐서, 간단히 변수에 값을 더하고 빼고 변수 값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만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command /변수 [<text>] [<number>]: 
    trigger:
        if arg 1 is "더하기": #만약 arg 1이 더하기라면
            add arg 2 to {변수} #"변수" 라는 이름의 변수에 arg 2만큼 더한다
        else if arg 1 is "빼기": #만약 arg 1이 빼기라면
            subtract arg 2 from {변수} #"변수"라는 이름의 변수에서 arg 2만큼 뺀다
        else if arg 1 is "확인": #만약 arg 1이 확인이라면
            send "%{변수}%" #"변수"라는 이름의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

매우 간단하게 위와 같은 형식으로 만들었습니다.

각 구문의 뜻은 #뒤쪽에 적어놓았으니 참고하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 구문 뒤쪽에 #를 적고 그 뒤에 그 구문에 대한 설명을 적는것을 주석이라고 하며, 실제 스크립트에서 #뒤에 있는 글자들은 없는 셈 치므로 스크립트 파일에 주석을 써놓아도 제대로 작동합니다.

자 그러면 위와 같은 형식으로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테스트해보겠습니다.

스크립트 파일을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우선 자신의 스크립트 폴더에 txt파일을 생성해줍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그 뒤에, 그 txt문서의 파일 형식을 sk파일로 바꿔줍니다.

저는 간단히 변수.sk 로 바꿔주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그 뒤, 만든 파일을 스크립트를 만들기 위한 도구(저같은 경우는 visual studio code) 로 열어주고 위에 나왔던 구문들을 작성해줍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자 이제 ctrl+s 를 눌러서 저장을 해주시고 서버를 열어줍니다. (저같은 경우는 1.12.2 버전으로 서버를 열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오류 없이 잘 스크립트가 적용된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마인크래프트에서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한번 변수에 100을 더해보겠습니다. 지금은 아무것도 변수에 더하지 않았으니 변수의 값은 설정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니, 만약 100을 더한다면 변수의 값은 100이 되어야 합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그 뒤에 변수를 확인해보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정상적으로 100이 출력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자 그러면 한번 이번에는 변수에서 50을 빼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이제 다시 변수의 값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100-50인 50이 출력되어야 할것입니다.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주석 - mainkeulaepeuteu seukeulibteu juseog

50이 정상적으로 잘 출력됩니다.

스터디립트의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 기초 이론편 3편은 여기서 끝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벤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이 있으시다면 이 글의 댓글에 적어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Skript 기초 이론편'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