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고 온도가 안 떨어질 때 - naengdong-go ondoga an tteol-eojil ttae

삼성 냉장고 문제 해결 및 점검 방법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 삼성전자 서비스 냉장고 관련 질의 페이지: 바로가기

1. 냉장고 온도 조절 및 사용 방법

※ 삼성전자 서비스 냉장고 온도 조절 방법 페이지: 바로가기

1. [잠금/풀림]버튼을 3초 이상 눌러 풀림 상태로 변경합니다. 냉장고는 자동으로 잠금 설정이 되지 않으며 3초 이상 버튼을 눌러 잠금 또는 풀림으로 변경합니다.

2. 온도 버튼을 1회 누르면 현재 설정 온도가 표시되고 연속하여 1회 더 누르면 현재 설정 온도보다 '강'쪽으로 1 ℃ 변경됩니다. 원하는 온도가 표시될 때까지 연속으로 누릅니다.

3. 정상적으로 설정되어도 표시되는 온도는 변경 이전의 온도로 돌아간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설정 온도로 바뀌게 됩니다. (온도가 변경되지 않은 것이 아님)


4. 버튼을 누를 때 나타나는 온도는 희망온도이고, 버튼을 누르지 않을 때 표시되는 온도는 현재 온도입니다.

□ 냉동실 조절 방법

-20→-21→-22→-23→-24→-25→-17→-18 →-19→20 ℃ 순으로, 약 → 강으로 변경됩니다.

□ 냉장실 조절 방법

2→1→0→5→4→3→2→1→0 ℃ 순으로, 약 → 강으로 변경됩니다.

5. [잠금/풀림]버튼을 3초 이상 눌러 잠금 상태로 변경합니다. 

2. 냉장이 약해서 시원하지 않은 경우

설정 온도가 높거나 보관된 식품이 많아 냉기 순환이 되지 않는 경우 냉장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냉장고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냉장실 표준 온도는 2 ℃ ~ 3 ℃ 정도입니다.

냉장실은 보관 식품의 양이나 사용환경, 주변 온도 등에 따라 온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그 동안 정상적으로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냉장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 조절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더운 여름철이나 사용을 많이 하는 계절의 경우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 때는 온도를 강쪽으로 한 두 단계 조정이 필요합니다. 현재 냉기가 전혀 없지 않고 약한 경우라면, 현재 온도에서 한 두 단계 정도 강으로 조정하여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냉장고는 내부에 찬 공기를 순환시켜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내부가 꽉 차서 공간이 없거나 냉기가 나오는 곳을 용기가 막고 있으면 찬 공기가 순환하는데 방해가 됩니다. 차가운 공기가 내부에서 쉽게 순환될 수 있도록 냉장고의 보관 식품들을 정리해주시기 바랍니다.

3. 냉장실의 음식이 언 경우

냉장실의 표준 온도는 2 ℃ ~ 3 ℃ 입니다.


냉장실 보관식품 및 사용환경, 주변온도에 따라 온도 조정이 필요하며 정상적으로 사용했어도 음식물이 얼면 온도 변경이 필요 합니다. 냉기가 강하면 현재 온도보다 1 ℃ ~ 2 ℃ 정도 약하게 조정하여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1 ℃면 2 ℃ ~ 3 ℃로 설정해 주십시오.

냉장실에서 가장 차가운 곳은 냉기가 나오는 선반 안쪽(뒷 벽면 쪽)입니다.

냉장고 속의 온도를 평균 2 ℃로 유지하기 위해 0 ℃에 가까운 냉기가 안쪽에서 나옵니다. 수분이 많은 음식물을 냉기가 나오는 쪽에 보관하게 되면 차가운 냉기가 직접 닿아 음식물이 얼 수 있으니, 수분이 많고 얼기 쉬운 음식은 선반의 앞쪽(냉장고 문 쪽)으로 보관해 주십시오.

부득이 선반 안쪽에 보관해야 할 경우 용기에 담아 보관하시거나 냉기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온도에 민감한 음식은 밀폐 용기에 담아 앞쪽(냉장고 문쪽)에 보관하시고 야채, 과일 등은 야채서랍에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온도가 강하게 설정된 경우 야채서랍이라 하더라도 장시간 보관을 하게되면 음식물이 얼 수 있으니,  음식물 정리와 온도를 1℃ ~ 2℃ 정도 높게 조정하여 사용하시면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온도 조절이나 음식 보관위치를 변경하여, 2~3일 정도 지켜본 후 만약, 동일한 상태일 경우 제품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4. 냉동이 약해서 음식물이 녹은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냉동실 표준 온도는 -20 ℃ ~ -21 ℃ 정도입니다.

냉장고는 보관 식품 및 사용 환경, 주변 온도 등에 따라 온도 조정이 필요하며 정상적으로 사용했더라도 온도가 약해지면 조절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아이스크림의 적정 보관온도는 유지방 함유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20 ℃ 이하입니다. 이상 온도에서 장기 보관하면 주변 온도 및 사용량에 따라 일부 녹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장기 보관 후 천천히 드실 아이스크림은 냉동실 안쪽이나 서랍에 보관하시면 더욱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안쪽 보관이 어려운 경우 온도를 한 단계 정도 강하게 조정하시어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이스크림의 경우 유제품 특성상 냉동 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동실 도어 가드에 보관시 녹을 수 있으므로 냉동실 선반 안쪽에 보관해주세요.

특히 더운 여름철의 경우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내부 온도가 이보다 약간 높아질 수 있으므로, 온도를 한 단계(-21 ℃ ~ -22 ℃) 정도 강하게 조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삼성전자의 서비스 매뉴얼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포함된 자료(글/이미지)의 저작권은 삼성전자에 있습니다. 

냉장, 냉동이 안된다고요?

냉동은 냉장에 수반되는 행위이기 때문에,  냉장만 안되는 경우에는 일시적인 현상(예를 들어 더운 여름날 같을 때에는 냉장고의 열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기때문에 일시적으로 냉장이 안될 수 있어,,)으로 볼 수도 있지만, 냉동가지 안되는 경우는 냉장고의 사망을 의심해 봐야합니다.

냉장고의 불은 냉장과는 전혀 상관이 없고요,

냉장이 안되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모터의 휴즈가 나갔을 경우나,

두번째는 냉장고의 온도조절 스위치가 고장났을 경우입니다.

보통 냉동은 잘 되고 냉장실만 고장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2가지 경우입니다.  (큰 고장은 아니지요~)

첫번째는 냉장실로 냉기가 가는 덕트 부분이 성애가 꽉찬 경우 이고

이때는 냉장고를 문을 열고 1일 이상 녹게 놔둔 후 동작하면 냉장실이 동작할 겁니다.

두번째는 냉장실로 냉기를 보내는 팬이 고장난 경우 인데,

이때는 A/S를 신청하면 5만원 정도하면 고쳐줍니다.

님의 경우에는 모터 돌아가는 소리가 안나는 것으로 보아 첫번째 경우에 해당되는것 같습니다.

온도조절 스위치가 고장났을 경우 a/s를 통하여 2만원 정도의 비용으로 수리할 수 있지만, 모터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그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사용년수를 고려하여 냉장고를 교체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혹시 냉장고 옆면이 뜨겁거나 하지 않으세요?

냉장고의 원리는 냉장고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그만큼의 냉장을 할 수 있는 것인데요, 더운 여름날씨로 인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냉장고 옆면이 뜨겁고 일시적으로 냉장이 안될 수 있는데요, 혹시 냉장고 옆면을 만졌을 때 평소보다 굉장히 뜨겁다 생각하시면, a/s를 부르시기 바랍니다. 냉장고에서 열이난다는 것은 냉장고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작동이 안되는 것입니다.

상황을 다시한번 체크해 보시고, 모터쪽에 문제가 있다면 냉장고를 교체하셔야 합니다.

냉장실 설정온도에 의해 냉기를 단속하는 댐퍼라는 부품이 정상작동 된다면 냉동실 내부 냉각기 주변에 서리나 얼음이 샇여있어 냉장실로 통하는 냉기구멍을 막아 냉장기능이 되지 않는것 입니다

원인으론 제상회로 타이머에 의해 10시간에 한번씩 12분 동안 서리나 얼음을 제거해 배수구로 흘러 보내게 됩니다  배수구의 히터가 고장이 나면 배수가 되지 않아 얼음이 샇이게 되고 제상회로가 고장일때도 냉각기에 서리나 얼음이 샇여 냉기구멍을 막게 됩니다

냉장고는 냉동실에서 냉기를 만들어 팬을 사용하여 냉동실과 냉장실로 보내어

냉동과 냉장 기능을 수행합니다.

보통 냉동은 잘 되고 냉장실만 고장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2가지 경우입니다.  (큰 고장은 아니지요~)

첫번째는 냉장실로 냉기가 가는 덕트 부분이 성애가 꽉찬 경우 이고

이때는 냉장고를 문을 열고 1일 이상 녹게 놔둔 후 동작하면 냉장실이 동작할 겁니다.

두번째는 냉장실로 냉기를 보내는 팬이 고장난 경우 인데,

이때는 A/S를 신청하면 5만원 정도하면 고쳐줍니다.

# 냉장고 AS 센터

삼성 : 1588-3366

엘지 : 1588-7777

대우 : 1588-1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