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알고리즘 표현 - nonmun algolijeum pyohyeon

1. 주제를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Lab에서 연구하던 주제를 따라간다. 나중에 좀 더 연구에 익숙해지면 스스로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2. 관련된 최근 논문을 섭렵한다. (문헌조사)

적어도 30편의 논문은 읽어야 그 분야에 대해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힌다. 기존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들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3. 소스코드를 실행해본다.

최소 10개 이상의 알고리즘의 소스코드를 직접 실행해보고 분석한다. 기존 알고리즘들의 실험 결과들을 잘 정리해둔다. 

4. 2,3 단계를 통해 얻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가설을 세운다. 그리고 그 가설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만든다.

5. 그 알고리즘을 python,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한다. 

알아보기 쉽게, 다른 사람이 다시 이 코드를 이용해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코드를 작성한다. 

6. 벤치마크 데이터셋들에 테스트해본다. 세운 가설이 맞다면, 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를 해나간다. 

7. 논문을 작성한다.

LaTeX를 이용해서 논문을 작성한다. 

8. 수정한다. 

선후배들에게 원고를 읽어달라고 부탁한 후 의견을 받아서 수정한다. 

9. 저널에 제출한 후 결과를 기다린다.

적어도 3개월, 늦으면 6-9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10. response letter에 따라 논문을 재차 수정한 후 다시 제출한다. 

여러 차례 SCI 논문을 쓰면서 얻은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꼭 이 절차를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저는 대개 이러한 절차를 따라야 괜찮은 논문을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서강대학교 ICT법경제연구소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검색 알고리즘의 검색 결과가 표현의 자유 원칙하에 표현으로서 보호받을 수 있는 요건이 무엇이고, 해외 판례 분석을 통해 검색 알고리즘의 법적 판단 요소와 특성을 탐색적으로 고찰한다. 검색 알고리즘 관련 판례 분석 결과, 표현 여부를 판단하는데, 첫째, 검색결과의 사실 여부에 따라 보호 대상으로서 표현 여부를 판별하였다. 둘째, 검색 알고리즘이 자체적인 스팸 처리 원칙에 의거한 검색 결과 배제 행위는 편집 행위로 간주되느냐에 따라 표현 여부가 결정되었다. 편집행위는 내용의 공정성, 편집 행위의 공정성과는 상관없이 그 자체로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대상으로 포섭되었다. 셋째, 조작된 콘텐츠 배열이나 순위의 검색 결과와 불법적 상품 판매를 조장하는 검색 결과 노출은 보호받을 수 있는 표현의 영역에 해당하지 않았다. 검색순위 자체는 검색 결과의 편집행위로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 범주에 해당하지만, 허위사실까지 표현으로 보호하지 않는 미국의 입법 철학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검색 알고리즘의 특정 콘텐츠 배제행위가 사적공간에서 일어난 행위라면 표현 여부에 대한 판단이 아닌 표현의 자유 조항 자체가 적용될 수 없다는 결론으로 귀결된다. 검색 알고리즘은 표현의 영역으로 포섭될 가능성이 높지만 사적 포럼으로 간주될 경우 법해석뿐만 아니라 법익간 상충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크다. 우리의 경우도 검색 알고리즘을 표현으로 규정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데, 이 때 경제적 효용 및 이용자 권익간 무엇이 우선이어야 하는지, 검색 알고리즘의 진화에 따른 판단요소 및 논리 변화는 필요하지 않은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quirements for the search result of the search algorithm to be protected as an expression under the principle of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legal judgment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arch algorithm through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The analysis of the cases on the search algorithm shows that, first, whether or not the express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ruth of the search results. Second, whether the search algorithm considers the act of excluding the search result as an editorial act based on its own spam treatment principle determines whether to express it. The editorial act itself was subsum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First Amendment, regardless of the fairness of the content or the fairness of the editorial act. Third,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manipulated content arrangement or ranking, content exposure that encourages illegal product sales was not judged as an expression that could be protected. The search ranking itself is an act of editing the search results and falls under the protection of the First Amendment, but it can confirm the American legislative philosophy that does not protect even false facts with freedom of expression. Lastly, in the case of YouTube, the act of exclusion of content uniquely defines YouTube as a private sphere rather than a public sphere, so that the freedom of expression clause cannot be applied without a legal judgment such as whether or not to express the specific content exclusion act of the search algorithm. A conclusion has been reached. This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of online platforms as private spaces has the potential to expand. Search algorithms a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as expressions, but if it is regarded as a private forum,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conflicts between legal interests as well as legal interpretation will occur. It is not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by defining the search algorithm as an expression, but to start by raising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o is the beneficiary in cases where the search algorithm is protected and who is not, and which judgment is more preferable to protect economic utility and user rights and interest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Search algorithm, Freedom of speech, Opinion, Editorial act, Public forum

피인용 횟수

  • KCI 0회

  • 73 회 열람
  • KCI 원문 미리보기
  • 원문 찾아보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의 핵심인 알고리즘 표현을 실험 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사를 위한 실험 안내 자료를 개발하였다. 텍스트로 제시된 실험 매뉴얼을 순서도 기호를 사용하여 정보 시각화 프로세스에 따라 직선형, 분기형, 반복형 구조의 알고리즘 형태로 변환하였다. 그 예시로, 자석의 성질을 알아보는 실험을 알고리즘 표현을 적용하여 실험 안내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실험 안내 자료는 정보의 적합성과 판단 여부가 표현된 분기 및 반복의 알고리즘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과 실험 과정을 시각화하여 표현했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순차적으로 표현된 실험 안내 자료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실험 안내 자료는 교사들의 알고리즘 사고에 대한 이해와 이를 적용한 실험 실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In this study, experimental guide materials for teachers were developed so that algorithm expression, the core of computational thinking, can be applied to experimental activities. The experimental manuals presented in text was converted into an algorithmic form with a linear, branched, and repetit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using flowchart symbols. As an example, an experiment guide materials was developed by applying an algorithm expression to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properties of a magnet. The developed experiment guide material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xperiment guide materials expressed only sequentially in that it has an algorithmic structure of branching and repetition in which the suitability and judgment of information are expressed, and that the experiment process is visualized and expressed. It is expected that the experimental guid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elp teachers to understand algorithmic thinking and to implement experiments using it.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algorithm expression, computational thinking, experiment guide material, magnetic properties

피인용 횟수

  • KCI 1회

  • 77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