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튜플 요소 더하기 - paisseon tyupeul yoso deohagi

파이썬 튜플 요소 더하기 - paisseon tyupeul yoso deohagi
파이썬 튜플 요소 더하기 - paisseon tyupeul yoso deohagi

튜플(Tuple)은 

리스트와 비슷하게 

튜플명 = (값, 값, 값)

이런 식으로 선언하고 초기화를 시키는데

파이썬 리스트 사용법 총정리

s파이썬(Python)에서 리스트(List)는 변수명 = []으로 빈 리스트를 선언하거나 혹은 변수명 = [값, 값, 값] 이런 식으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시키는 식으로 작성한다 다른 언어들과는 다르게 파이썬에서는 리..

wakestand.tistory.com

파이썬 튜플 요소 더하기 - paisseon tyupeul yoso deohagi

리스트와 다른점은

튜플은 생성 후 삽입, 변경, 삭제가 불가능하다

즉 만들고 변경이 불가능하다

튜플에서 주로 사용하는 메소드는 다음과 같다

print(튜플)

- 튜플 내용 확인

print(튜플[인덱스])

- 튜플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 가져오기

print(튜플.index(값))

- 값이 튜플의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확인

print(값 in 튜플)

- 튜플 안에 값이 들어있는지 확인(True, False)

print(len(튜플))

- 튜플의 length 확인

print(sum(튜플))

- 튜플의 값 모두 더하기

예제에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tupleVariable = (10, 20, 30)
tupleVariable2 = (10, "A", "C")
tupleVariable3 = ("영희", "철수", 30)  # 튜플 선언 및 초기화

print(tupleVariable)  # 튜플 내용 확인
print(tupleVariable[0])  # tupleVariable 0번째 index 가져오기(0부터 시작)
print(tupleVariable.index(20))  # 튜플 안에 20이 몇번째 index에 있는지 확인
print(3 in tupleVariable)  # 튜플 안에 3이 들어있는지 확인
print(len(tupleVariable))  # 튜플 length 확인
print(sum(tupleVariable))  # 튜플 안의 값 모두 더하기

튜플 자료형의 기본 사용법

변수명 = (값1, 값2, ...)
변수명 = 값1, 값2, ...
변수명 = (값1,)
변수명 = tuple(리스트 자료형)

튜플은 소괄호에 감싸여져 ,을 통해 값들이 구분되어 저장이 되는 형태입니다.
2번째 처럼 괄호는 생략 해도 튜플을 만들 수 있습니다.
3번째를 보시면 튜플에 1가지의 값만 들어가 있습니다. 값이 한개여도 ,을 생략하지 않는 것을 주의 합시다. 튜플 안에 튜플 을 넣는 형태로도 사용가능 합니다.
4번째처럼 tuple()함수로 리스트 자료형을 tuple형으로 변환 시켜서도 사용가능 합니다.

변수명 = (1,2,(5,4),5) 이는 2차 튜플이라고 합니다.

튜플은 최초에 생성된 후 안에 저장된 값들을 수정, 삭제, 추가를 할 수 없습니다.
즉, 튜플 자료형안의 값들이 고정되는 것입니다.

튜플 자료형은 서로 다른 튜플끼리 더하기, 곱하기가 가능합니다.
더한다는 것은 둘의 튜플자료형이 이어붙여 진다는 것을 뜻하고, 곱한다는 것은 튜플에 정수를 곱해서 튜플안의 값들을 곱한 정수만큼 반복해서 이어붙인다는 것입니다.

튜플 더하기

tp1 = (1,2,3)
tp2 = (4,5,6)
tp = tp1 + tp2
print(tp)

튜플 곱하기

tp = (1,2)
tp2 = tp*3
print(tp2)

파이썬 튜플 요소 더하기 - paisseon tyupeul yoso deohagi

+ 튜플 함수.

count(value) -> 튜플에서 일치하는 값의 개수를 반환 해주는 함수.
index(value) -> 튜플에서 일치하는 값의 인덱스 번호를 반환 해주는 함수.

사용법.

tp = (1,1,2,3,4)
print(tp.count(1))

tp = (1,2,3,4,5)
print(tp.index(1))

tuple자료형 변수.count
tuple자료형 변수.index 형식으로 변수 뒤에 .을 이용해 사용합니다.

위의 코드를 토대로 설명하자면
tp.count(1)은 tp라는 튜플자료형에서 1이라는 정수값의 개수(2개)를 반환 해주는 형태
tp.index(1)은 tp라는 튜플자료형에서 1이라는 정수값의 인덱스번호를 반환해 줍니다.

참고로 인덱스 번호란 튜플 자료형안에 저장된 값들의 저장된 위치값을 말합니다.
C언어의 배열처럼 0부터 시작하는 형태입니다.

tp튜플 안에 1,2,3,4,5라는 값이 차례로 저장되어있죠. 각 값의 인덱스 번호는 0,1,2,3,4입니다.

+ Packing, Unpacking

 요것이 Packing.

 요것이 Unpacking.


정리.

  • 튜플을 만들때, 값이 한개인 경우 뒤에 콤마는 생략하지 않아야 한다.
  • 튜플을 만들때, ( )는 생략하고 만들수 있다.
  • Tuple자료형은 값을 수정할 수 없다.
  • 튜플끼리의 더하기는 튜플을 이어 붙이는 것과 같다.
  • 튜플에 정수배를 하면 안에 저장된 값이 반복되어 이어 붙여진다.
    • float형은 곱해지지 않으며, 나누기도 안 먹힌다.
  • 튜플함수에는 count()와 index()가 있다.
    • count()는 튜플에서 원하는 값이 얼마나 저장되어있는지 확인가능.
    • index()는 원하는 값이 튜플안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
      • 만약, 위치를 찿고자하는 값이 튜플에 중복으로 저장되어있다면 앞에 있는 값의 인덱스 반환


이번에는 튜플의 메서드와 다양한 사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튜플은 리스트와는 달리 내용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불변, immutable). 따라서 내용을 변경하는 append 같은 메서드는 사용할 수 없고, 요소의 정보를 구하는 메서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2.7.1  튜플에서 특정 값의 인덱스 구하기

index(값)은 튜플에서 특정 값의 인덱스를 구합니다. 이때 같은 값이 여러 개일 경우 처음 찾은 인덱스를 구합니다(가장 작은 인덱스). 다음은 53이 세 번째에 있으므로 인덱스 2가 나옵니다.

>>> a = (38, 21, 53, 62, 19, 53)
>>> a.index(53)
2

그림 22-20 index로 특정 값의 인덱스 구하기
파이썬 튜플 요소 더하기 - paisseon tyupeul yoso deohagi

22.7.2  특정 값의 개수 구하기

count(값) 튜플에서 특정 값의 개수를 구합니다. 다음은 튜플 (10, 20, 30, 15, 20, 40)에서 20의 개수를 구합니다. 여기서는 20이 2개 들어있으므로 2가 나옵니다.

>>> a = (10, 20, 30, 15, 20, 40)
>>> a.count(20)
2

그림 22-21 count로 특정 값의 개수 구하기
파이썬 튜플 요소 더하기 - paisseon tyupeul yoso deohagi

22.7.3  for 반복문으로 요소 출력하기

for 반복문으로 요소를 출력하는 방법은 리스트와 같습니다.

>>> a = (38, 21, 53, 62, 19)
>>> for i in a:
...     print(i, end=' ')
...
38 21 53 62 19

22.7.4  튜플 표현식 사용하기

튜플을 리스트 표현식처럼 생성할 때는 다음과 같이 tuple 안에 for 반복문과 if 조건문을 지정합니다.

  • tuple(식 for 변수 in 리스트 if 조건식)

>>> a = tuple(i for i in range(10) if i % 2 == 0)
>>> a
(0, 2, 4, 6, 8)

참고로 ( )(괄호) 안에 표현식을 넣으면 튜플이 아니라 제너레이터 표현식이 됩니다(제너레이터는 'Unit 40 제너레이터 사용하기'에서 설명하겠습니다).

>>> (i for i in range(10) if i % 2 == 0)
<generator object <genexpr> at 0x050FE420>

22.7.5  tuple에 map 사용하기

튜플에 map을 사용 방법도 리스트와 같습니다.

>>> a = (1.2, 2.5, 3.7, 4.6)
>>> a = tuple(map(int, a))
>>> a
(1, 2, 3, 4)

22.7.6  튜플에서 가장 작은 수, 가장 큰 수, 합계 구하기

물론 튜플도 min, max 함수로 가장 작은 수와 가장 큰 수를 구하고, sum 함수로 요소의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 a = (38, 21, 53, 62, 19)
>>> min(a)
19
>>> max(a)
62
>>> sum(a)
193

지금까지 리스트의 다양한 메서드와 응용 방법을 배웠는데, 내용이 조금 어려웠습니다. 리스트 메서드는 모두 외우지 않아도 되며 파이썬을 사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히게 됩니다. 여기서는 리스트와 반복문을 사용하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특히 파이썬에서는 리스트 표현식을 자주 사용하므로 이 부분을 반복 학습하여 정확하게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