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 태풍 차이 - pogpung taepung chai

폭풍 태풍 차이 - pogpung taepung chai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태풍과 폭풍의 차이 보니 `아하`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가 화제인 가운데 태풍과 폭풍의 차이에도 눈길이 모인다.

태풍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연안 국가에서 열대성 저기압을 부르는 말로, 중심부근 최대풍속 17 m/s 이상의 바람이 불때, 태풍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세계 기상기구가 보는 태풍과는 조금 다른데 우리나라는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17 m/s 이상이면 태풍이라 칭하는 반면, 세계 기상기구에서는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17 ~ 24 m/s 이면 열대폭풍이라 하고,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25 ~ 32 m/s 이면 강한열대폭풍,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33 m/s 이상일때 비로소 태풍이라고 한다.

폭풍이란 흔히 비와 함께 뒤섞여 세차게 부는 바람으로, 풍력계급 11, 즉 28.5 ~ 32.6 m/s 의 바람을 칭한다.

한편,태풍은 저위도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발생한 수증기가 많을 때 물방울로 응결하면서 발생하는 잠열로 강한 상승기류가 나타날 때 생기게 된다.

태풍의 강도분류

태풍의 강도분류

구분최대풍속현상
- 17m/s(61km/h, 34kt) 이상 ~ 25m/s(90km/h, 48kt) 미만 간판 날아감

(normal)
25m/s(90km/h, 48kt) 이상 ~ 33m/s(119km/h, 64kt) 미만 지붕 날아감

(strong)
33m/s(119km/h, 64kt) 이상 ~ 44m/s(158km/h, 85kt) 미만 기차 탈선
매우강
(very strong)
44m/s(158km/h, 85kt) 이상 ~ 54m/s(194km/h, 105kt) 미만 사람, 커다란 돌 날아감
초강력
(super strong)
54m/s(194km/h, 105kt) 이상 건물 붕괴

태풍의 크기분류

태풍의 크기는 강풍반경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나,
태풍정보서비스 개선에 따라 2020.5.15. 이후 크기 분류 대신 강풍반경과 폭풍반경 정보로 제공한다.

  • 강풍반경 :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1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km)
  • 폭풍반경 :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2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km)

(참고)

태풍 크기에 따른 단계와 풍속 15㎧ 이상의 반경

단계강풍반경(풍속 15m/s 이상의 반경)
소형(Small) 300km 미만
중형(Medium) 300km 이상~500km 미만
대형(Large) 500km 이상~800km 미만
초대형(Extra-large) 800km 이상

태풍은 열대저기압의 한 종류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열대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풍속이 33㎧ 이상인 것을 태풍(TY), 25~32㎧인 것을 강한 열대폭풍(STS), 17~24㎧인 것을 열대폭풍(TS), 그리고 17㎧ 미만인 것을 열대저압부(TD)로 구분한다. 한편,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최대풍속이 17㎧이상인 열대저기압 모두를 태풍이라고 부른다.

열대저기압 태풍의 중심부근 최대풍속별 명칭

중심부근 최대풍속세계기상기구(WMO) 한국/일본
17㎧ 미만(34kt미만)열대저압부(TD : Tropical Depression) TD 열대저압부
17㎧-24㎧(34-47kt)열대폭풍(TS : Tropical Storm) TS 태풍
25㎧-32㎧(48-63kt)강한 열대폭풍(STS : Severe Tropical Storm) STS
33㎧ 이상(64kt이상)태풍(TY : Typhoon) TY

주) 1㎧ ≒ 1.94kt

이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북서태평양에서는 태풍(Typhoon), 북중미에서는 허리케인(Hurricane), 인도양과 남반구에서는 사이클론(Cyclone)이라고 부른다.

태풍은 전향력 효과가 미미한 남북위 5˚이내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7~10월 사이에 발생한다.

태풍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폭풍 태풍 차이 - pogpung taepung chai
태풍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
  • ① 북대서양 서부, 서인도제도 부근
  • ② 북태평양 동부, 멕시코 앞바다
  • ③ 북태평양의 동경(東經) 180˚의 서쪽에서 남중국해
  • ④ 인도양 남부(마다가스카르에서 동경 90˚까지 및 오스트레일리아 북서부)
  • ⑤ 벵골만과 아라비아해
  • ①, ②, ③지역은 7~10월에 많이 발생하며, ④, ⑤지역은 4~6월과 9~12월에 많이 발생한다.

옛 문헌에 나타난 우리나라 바람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구려 모본왕(摹本王) 2년 3월(서기 49년 음력 3월)에 폭풍으로 인해 나무가 뽑혔다는 기록이 전해온다. 그 당시 바람의 세기를 현재 기준에 따라 짐작해 보면, 평균풍속 30㎧(시속 110㎞) 이상이다. 이 정도면 중형급 태풍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신라에서는 경주에 큰 바람이 불고 금성동문이 저절로 무너졌다고 전해 내려온다.

고려시대에는 정종(靖宗) 6년(서기 950년) 음력 9월 1일 폭우가 내리고 질풍(疾風)이 불어 길거리에 죽은 사람이 있었으며 광화문이 무너졌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명종(明宗) 17년(서기 1526년) 경상 감사의 서장(書狀)에 의하면, “경상도에서 음력 7월 15~16일 폭풍과 호우가 밤낮으로 계속 몰아쳐 기와가 날아가고 나무가 뽑혔으며, 시냇물이 범람하여 가옥이 표류하였고 인명과 가축도 많이 상하였으며 온갖 농작물이 침해되어 아예 추수할 가망조차 없습니다. 그 중에서도 진주 지방은 민가가 전부 침수되었고 밀양에는 물에 떠내려가 죽은 사람이 매우 많으니 이처럼 혹심한 수재는 근고에 없었던 것입니다.” 라는 내용과 또 “신이 지난 8월 8일에 김해(金海)로부터 안골포(安骨浦)에 당도하였는데 이때에 비바람이 몰아쳐 밤새도록 멈추지 아니하였고 지붕의 기와가 모두 날아갔습니다.” 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태풍’이라는 단어는 1904년부터 1954년까지의 기상관측 자료가 정리된 「기상연보(氣像年報) 50년」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태풍의 ‘태(颱)'라는 글자가 중국에서 가장 처음 사용된 예는 1634년에 편집된 《복건통지(福建通志)》56권 <토풍지(土風志)>에 있다. 중국에서는 옛날에 태풍과 같이 바람이 강하고 회전하는 풍계(風系)를 ‘구풍(具風)'이라고 했으며, 이 ‘구(具)'는 ‘사방의 바람을 빙빙 돌리면서 불어온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Typhoon" 이라는 영어 단어는 어디서 기원했을까? 그리스 신화에 티폰(Typhon)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대지의 여신인 가이아(Gaia)와 거인 족 타르타루스(Tartarus) 사이에서 태어난 티폰(Typhon)은 백 마리의 뱀의 머리와 강력한 손과 발을 가진 용이었으나, 아주 사악하고 파괴적이어서 제우스(Zeus)신의 공격을 받아 불길을 뿜어내는 능력은 빼앗기고 폭풍우 정도만을 일으킬 수 있게 되었다. ‘티폰(Typhon)'을 파괴적인 폭풍우와 연관시킴으로써 'taifung'을 끌어들여 'typhoon'이라는 영어 표현을 만들어 냈다. 영어의 ‘typhoon'이란 용어는 1588년에 영국에서 사용한 예가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1504년 ‘typhon'이라 하였다.

폭풍 태풍 차이 - pogpung taepung chai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태풍과 폭풍의 차이 보니 '아하'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가 화제인 가운데 태풍과 폭풍의 차이에도 눈길이 모인다.

태풍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연안 국가에서 열대성 저기압을 부르는 말로, 중심부근 최대풍속 17 m/s 이상의 바람이 불때, 태풍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세계 기상기구가 보는 태풍과는 조금 다른데 우리나라는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17 m/s 이상이면 태풍이라 칭하는 반면, 세계 기상기구에서는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17 ~ 24 m/s 이면 열대폭풍이라 하고,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25 ~ 32 m/s 이면 강한열대폭풍,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33 m/s 이상일때 비로소 태풍이라고 한다.

폭풍이란 흔히 비와 함께 뒤섞여 세차게 부는 바람으로, 풍력계급 11, 즉 28.5 ~ 32.6 m/s 의 바람을 칭한다.

한편,태풍은 저위도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발생한 수증기가 많을 때 물방울로 응결하면서 발생하는 잠열로 강한 상승기류가 나타날 때 생기게 된다.
와우스타 온라인이슈팀기자
<저작권자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